|
소비자동향조사 |
|
2023년 10월 25일 공보 2023- 10- 18호 |
|
이 자료는 10월 25일 석간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방송/인터넷 매체는 10월 25일 06:00 이후부터 취급 가능 |
||
제 목 : 2023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
□ 10월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1로 전월대비 1.6p 하락 * CCSI(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심리지표로서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2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 |
문의처 : 경제통계국 통계기획부 통계조사팀 과장 정서림(02- 759- 5673), 팀장 황희진(02- 759- 4443) Fax : (02) 759- 4430 E- mail : est@bok.or.kr 공보관 : Tel (02) 759- 4015, 4016 |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bok.or.kr)에, 세부 통계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붙 임>
2023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Ⅰ. 소비자심리지수
― 소비자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심리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10월중 98.1로 전월대비 1.6p 하락
소비자심리지수1) 추이 |
|
주: 1) 2003∼2022년중 장기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하여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 2) 실선은 표본개편 시점(2013.1월, 2018.9월, 2022.7월)을 의미 |
구성지수의 기여도 |
||||||||||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
소비자심리지수 |
90.2 |
92.0 |
95.1 |
98.0 |
100.7 |
103.2 |
103.1 |
99.7 |
98.1 |
|
(전월 대비 지수차) |
△0.5 |
1.8 |
3.1 |
2.9 |
2.7 |
2.5 |
△0.1 |
△3.4 |
△1.6 |
|
구 성 지수의기여도 (p) |
현재생활형편 |
0.0 |
0.3 |
1.1 |
0.3 |
0.3 |
0.5 |
0.0 |
△0.5 |
△0.3 |
생활형편전망 |
△0.5 |
1.1 |
0.8 |
0.5 |
0.3 |
0.3 |
0.3 |
△0.8 |
△0.5 |
|
가계수입전망 |
△0.4 |
0.4 |
0.0 |
0.4 |
0.4 |
0.4 |
0.4 |
△0.4 |
△0.4 |
|
소비지출전망 |
0.7 |
△0.7 |
0.0 |
0.3 |
0.7 |
0.0 |
0.0 |
△0.3 |
0.3 |
|
현재경기판단 |
△0.3 |
0.4 |
0.6 |
0.6 |
0.5 |
0.6 |
△0.3 |
△0.6 |
△0.2 |
|
향후경기전망 |
0.0 |
0.4 |
0.6 |
0.7 |
0.5 |
0.7 |
△0.5 |
△0.7 |
△0.5 |
- 1/7 -
Ⅱ. 소비자동향지수
1.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생활형편CSI(88) 및 생활형편전망CSI(90)는 전월대비 각각 1p, 2p 하락
― 가계수입전망CSI(98)는 전월대비 1p 하락하고 소비지출전망CSI(113)는 전월대비 1p 상승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
현재생활형편CSI1) |
82 |
83 |
87 |
88 |
89 |
91 |
91 |
89 |
88 |
(△1) |
생활형편전망CSI2) |
83 |
87 |
90 |
92 |
93 |
94 |
95 |
92 |
90 |
(△2) |
가계수입전망CSI2) |
95 |
96 |
96 |
97 |
98 |
99 |
100 |
99 |
98 |
(△1) |
소비지출전망CSI2) |
112 |
110 |
110 |
111 |
113 |
113 |
113 |
112 |
113 |
(+1) |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2.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경기판단CSI(64) 및 향후경기전망CSI(70)는 전월대비 각각 2p, 4p 하락
― 취업기회전망CSI(78) 및 금리수준전망CSI(128)는 전월대비 각각 1p, 10p 상승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
현재경기판단CSI1) |
48 |
52 |
58 |
64 |
69 |
75 |
72 |
66 |
64 |
(△2) |
향후경기전망CSI2) |
60 |
63 |
68 |
74 |
78 |
84 |
80 |
74 |
70 |
(△4) |
취업기회전망CSI2) |
69 |
70 |
74 |
78 |
81 |
85 |
84 |
77 |
78 |
(+1) |
금리수준전망CSI2) |
113 |
120 |
111 |
114 |
105 |
112 |
118 |
118 |
128 |
(+10) |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2/7 -
3.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가계저축CSI(91) 및 가계저축전망CSI(94)는 전월대비 각각 2p, 1p 하락
― 현재가계부채CSI(101) 및 가계부채전망CSI(99)는 모두 전월과 동일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
현재가계저축CSI1) |
89 |
89 |
92 |
91 |
91 |
93 |
93 |
93 |
91 |
(△2) |
가계저축전망CSI2) |
91 |
93 |
95 |
94 |
95 |
97 |
95 |
95 |
94 |
(△1) |
현재가계부채CSI1) |
102 |
101 |
99 |
100 |
100 |
100 |
100 |
101 |
101 |
(- ) |
가계부채전망CSI3) |
100 |
100 |
98 |
99 |
99 |
98 |
99 |
99 |
99 |
(- ) |
주: 1)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2)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4.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물가, 주택가격 및 임금수준전망)
― 물가수준전망CSI(151)는 전월대비 4p 상승
― 주택가격전망CSI(108) 및 임금수준전망CSI(116)는 전월대비 각각 2p, 1p 하락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
물가수준전망CSI1) |
153 |
151 |
148 |
146 |
146 |
144 |
147 |
147 |
151 |
(+4) |
주택가격전망CSI1) |
71 |
80 |
87 |
92 |
100 |
102 |
107 |
110 |
108 |
(△2) |
임금수준전망CSI1) |
113 |
112 |
114 |
116 |
116 |
118 |
118 |
117 |
116 |
(△1) |
주: 1)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 |
- 3/7 -
(기대인플레이션율)
―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은 전월과 동일하고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대비 0.1%p 상승
물가인식 및 기대인플레이션율1) (%, %p) |
||||||||||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
물 가 인 식2) |
5.2 |
5.1 |
4.9 |
4.7 |
4.6 |
4.3 |
4.2 |
4.1 |
4.1 |
(- ) |
기대인플레이션율3) |
4.0 |
3.9 |
3.7 |
3.5 |
3.5 |
3.3 |
3.3 |
3.3 |
3.4 |
(+0.1) |
주: 1) 중앙값(median) 2)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 3)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
기대인플레이션율 응답 분포 (%, %p) |
||||||||||
구성비 |
‘23.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B- A) |
하락 ( - ) |
2.4 |
2.6 |
2.7 |
2.5 |
2.9 |
2.6 |
1.7 |
1.6 |
1.1 |
(△0.5) |
0~1% |
2.7 |
2.6 |
3.4 |
3.5 |
4.0 |
4.2 |
3.6 |
4.2 |
3.9 |
(△0.3) |
1~2% |
8.4 |
9.6 |
10.5 |
11.0 |
11.6 |
13.1 |
12.9 |
12.6 |
11.4 |
(△1.2) |
2~3% |
15.9 |
15.2 |
18.5 |
19.4 |
19.8 |
22.0 |
24.6 |
22.4 |
21.7 |
(△0.7) |
3~4% |
19.0 |
20.9 |
20.6 |
22.4 |
23.1 |
22.4 |
22.1 |
23.6 |
24.1 |
(+0.5) |
4~5% |
18.4 |
19.5 |
16.8 |
16.5 |
15.3 |
14.3 |
15.4 |
15.3 |
15.3 |
(- ) |
5~6% |
14.9 |
15.0 |
13.2 |
11.1 |
10.9 |
10.3 |
8.5 |
9.4 |
10.2 |
(+0.8) |
6% 이상 |
16.5 |
12.5 |
12.0 |
10.8 |
9.8 |
8.4 |
8.5 |
8.5 |
9.7 |
(+1.2) |
모르겠음 |
1.8 |
2.0 |
2.3 |
2.7 |
2.5 |
2.7 |
2.6 |
2.3 |
2.6 |
(+0.3) |
―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공공요금(63.3%), 석유류제품(62.4%), 농축수산물(32.5%) 순이었으며,
전월에 비해서는 석유류제품(+7.5%p), 공공요금(+2.4%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농축수산물(△4.9%p) 비중은 감소
물가상승 기대형성 요인에 대한 응답 비중1)2) |
|
주: 1) 복수선택이 가능한 문항으로 총합이 100%가 아님 2) ( )내는 전월대비 증감 |
- 4/7 -
<통계편>
소비자동향조사
(p, %, %p)
지 수 명 |
2023 |
(B- A) |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A) |
10월(B) |
||||
소비자심리지수 |
90.2 |
92.0 |
95.1 |
98.0 |
100.7 |
103.2 |
103.1 |
99.7 |
98.1 |
(△1.6) |
||
현재생활형편 |
82 |
83 |
87 |
88 |
89 |
91 |
91 |
89 |
88 |
(△1) |
||
생활형편전망 |
83 |
87 |
90 |
92 |
93 |
94 |
95 |
92 |
90 |
(△2) |
||
가계수입전망 |
95 |
96 |
96 |
97 |
98 |
99 |
100 |
99 |
98 |
(△1) |
||
소비지출전망 |
112 |
110 |
110 |
111 |
113 |
113 |
113 |
112 |
113 |
(+1) |
||
내구재 |
91 |
90 |
93 |
94 |
96 |
95 |
96 |
95 |
95 |
(- ) |
||
의류비 |
92 |
94 |
95 |
97 |
99 |
98 |
98 |
97 |
97 |
(- ) |
||
외식비 |
90 |
91 |
94 |
96 |
97 |
97 |
99 |
96 |
94 |
(△2) |
||
여행비 |
91 |
94 |
97 |
99 |
101 |
101 |
99 |
97 |
95 |
(△2) |
||
교육비 |
101 |
99 |
99 |
99 |
100 |
100 |
100 |
101 |
100 |
(△1) |
||
의료‧보건비 |
112 |
112 |
113 |
112 |
114 |
114 |
113 |
113 |
113 |
(- ) |
||
교양‧오락‧문화비 |
91 |
92 |
93 |
94 |
96 |
95 |
95 |
94 |
93 |
(△1) |
||
교통‧통신비 |
117 |
112 |
111 |
109 |
111 |
110 |
113 |
113 |
115 |
(+2) |
||
주거비 |
108 |
106 |
106 |
105 |
106 |
105 |
106 |
107 |
107 |
(- ) |
||
현재경기판단 |
48 |
52 |
58 |
64 |
69 |
75 |
72 |
66 |
64 |
(△2) |
||
향후경기전망 |
60 |
63 |
68 |
74 |
78 |
84 |
80 |
74 |
70 |
(△4) |
||
취업기회전망 |
69 |
70 |
74 |
78 |
81 |
85 |
84 |
77 |
78 |
(+1) |
||
금리수준전망 |
113 |
120 |
111 |
114 |
105 |
112 |
118 |
118 |
128 |
(+10) |
||
현재가계저축 |
89 |
89 |
92 |
91 |
91 |
93 |
93 |
93 |
91 |
(△2) |
||
가계저축전망 |
91 |
93 |
95 |
94 |
95 |
97 |
95 |
95 |
94 |
(△1) |
||
현재가계부채 |
102 |
101 |
99 |
100 |
100 |
100 |
100 |
101 |
101 |
(- ) |
||
가계부채전망 |
100 |
100 |
98 |
99 |
99 |
98 |
99 |
99 |
99 |
(- ) |
||
물가수준전망 |
153 |
151 |
148 |
146 |
146 |
144 |
147 |
147 |
151 |
(+4) |
||
주택가격전망 |
71 |
80 |
87 |
92 |
100 |
102 |
107 |
110 |
108 |
(△2) |
||
임금수준전망 |
113 |
112 |
114 |
116 |
116 |
118 |
118 |
117 |
116 |
(△1) |
||
물가인식 |
5.2 |
5.1 |
4.9 |
4.7 |
4.6 |
4.3 |
4.2 |
4.1 |
4.1 |
(- ) |
||
기대인플레이션율 |
4.0 |
3.9 |
3.7 |
3.5 |
3.5 |
3.3 |
3.3 |
3.3 |
3.4 |
(+0.1) |
- 5/7 -
<부록 1>
2023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개요
1. 조사대상 : 전국 도시 2,500가구 (응답 2,318 가구)
2. 조사기간 : 2023. 10. 10 ~ 10. 17
3. 소비자동향지수(CSI)의 개념 및 조사내용
― 소비자동향지수(Consumer Survey Index: CSI)는 소비자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과 향후 소비지출전망 등을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지수화한 통계자료임
o 개별 소비자동향지수 = |
(매우긍정×1.0+다소긍정×0.5+비슷×0.0)-(다소부정×0.5+매우부정×1.0) |
×100+100 |
전체 응답가구수 |
조 사 항 목 |
조 사 내 용 |
|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생활형편1)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
생활형편전망1) |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가계수입전망2) |
〃 |
|
소비지출전망2) |
〃 |
|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경기판단1)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
향후경기전망1) |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취업기회전망2) |
〃 |
|
금리수준전망2) |
〃 |
|
가계 저축 및 부채 상황에 대한 인식 |
현재가계저축2)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
가계저축전망2) |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현재가계부채2) |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
|
가계부채전망2) |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 |
|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
물가수준전망2) |
현재와 비교한 1년 후 전망 |
주택가격전망2) |
〃 |
|
임금수준전망2) |
〃 |
|
물 가 인 식 |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 |
|
기대인플레이션율 |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 |
주 : 1) 100보다 큰 경우 긍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가 부정적으로 응답한 가구수보다 많음을, 100보다 작은 경우 그 반대를 나타냄
2) 100보다 큰 경우 증가 또는 상승할 것으로 응답한 가구수가 감소 또는 하락할 것으로 응답한 가구수보다 많음을, 100보다 작은 경우 그 반대를 나타냄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http://ecos.bok.or.kr) - 통계검색에서 아래의 통계 분류 항목명을 이용하여 해당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본 보도자료 관련 세부통계는 보도 당일 08:00 ECOS에 수록)
통계표 명칭 |
ECOS 분류 항목명 |
구성지수의 기여도(p.1) |
― |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p.2) |
6.2.1 소비자동향조사(전국, 월, 2008.9~) |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p.2) |
|
가계 저축 및 부채상황에 대한 인식(p.3) |
|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p.3) |
|
6.2.3 기대인플레이션율(전국, 월) |
|
물가인식 및 기대인플레이션율(p.4) |
- 6/7 -
<부록 2>
소비자심리지수 개요
1.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CCSI)의 개념
― 현재생활형편,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등 6개의 주요 개별지수를 표준화하여 합성한 지수로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판단
o 6개 개별지수를 표준화 구간(2003년~전년 12월, 매년 초에 전년 12월까지 연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이를 합성한 종합적인 소비자심리지표임
o 소비자심리지수가 100보다 클 경우 경제상황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인 기대심리가 과거(2003년~전년 12월)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관적임을 의미
2. 산출방식
구성지수 |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
개별지수의 표준화 |
개별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특정 개별지수의 과도한 영향력을 조정) |
― 개별 표준화 지수 :
‧
* : 개별지수 구분첨자(1~6), t : 해당월
‧
* t(=1, ..., T) : 표준화 구간(2003년 1월~전년 12월)으로 매년초에 전년 12월까지 연장 ‧
|
소비자심리지수 산출 |
개별 표준화 지수의 합산지수를 산출하여 이를 표준화한 후 소비자심리지수의 장기평균이 100.0, 장기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재조정 |
― 소비자심리지수 :
‧ : t시점의 6개 개별 표준화 지수의 합
‧ : 의 표준화구간 중 평균
‧ : 의 표준화구간 중 표준편차
|
- 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