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보도 |
2022.8.30.(화) 10:20 |
배포 |
2022.8.30.(화) |
|||
담당부서 |
디지털금융혁신국 디지털금융총괄팀 |
책임자 |
국장 |
김용태 |
(02- 3145- 7120) |
|
담당자 |
팀장 |
김택주 |
(02- 3145- 7125) |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빅테크·핀테크 업계 간담회 개최 |
Ⅰ |
빅테크·핀테크 CEO 간담회 개요 |
□ ’22.8.30.(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빅테크·핀테크 대표 등 11명의 핀테크산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젊은 핀테크기업인들을 격려하는 한편,
◦ 디지털금융 혁신 지원 방향을 설명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지속가능한 디지털금융 발전방안을 논의
◦ 또한 간담회 시작 전 프론트원 2층에 위치한 DT(Digital Testbed)존* 및 일자리창출존**을 방문하여 예비 스타트업 지원 및 좋은 일자리 창출 의지를 천명
*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타트업 및 예비 창업자 등의 핀테크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고 그 효과성 등을 검증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및 인프라 등을 지원
**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와 전문인력 채용을 희망하는 핀테크 및 스타트업 기업을 온라인·오프라인으로 매칭
빅테크·핀테크 CEO 간담회 개요 |
||
☑ 일 시 : ’22. 8. 30.(화) 10:20 ~ 11:30 ※ 간담회 시작 전(10:00~10:20) 사전행사로 DT(Digital Testbed)존·일자리창출존 방문(2층) 및 프론트원 입주사 시연 참관(11층) 예정 ☑ 장 소 : 서울시 마포구 프론트원 (5F, 컨퍼런스룸) ☑ 참석자 : (금감원) 금융감독원장, 전략담당 부원장보, 디지털금융혁신국장 (유관기관)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이근주 회장, 한국핀테크지원센터 변영한 이사장 (빅테크) 네이버파이낸셜 박상진 대표, 카카오페이 신원근 대표,비바리퍼블리카(토스) 이승건 대표 (핀테크) 뮤직카우 정현경 대표, 스몰티켓 김정은 대표, 아이콘루프 김종협 대표, 에임스 임종윤 대표, 카사코리아 예창완 대표, 크레파스솔루션 김민정 대표 |
- 1 -
Ⅱ |
금융감독원장 발언요지 |
□ 이복현 원장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금융·非금융 경계가 모호(Big Blur)해지고 플랫폼 비즈니스가 확대되는 등 금융산업의 구조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 빅테크·핀테크가 금융산업 전체의 파이를 키우며 금융시장의 성장과 경쟁 촉진을 견인하며,
- 기존 금융회사가 포용하지 못했던 계층에 대해 금융접근성을 제고시키는 점 등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하였음
◦ 아울러, 금융산업內 빅테크·핀테크의 영향력 확대, 타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금융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책임 있는 금융혁신(Responsible Financial Innovation)“을 당부
□ 이복현 원장은 핀테크 업계의 혁신 노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금융감독원이 다각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뜻을 밝히며,
◦ 플랫폼이 “종합 금융상품 백화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예금, 보험, P2P 등* 다양한 금융회사의 상품들을 비교·추천할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를 운영할 계획이며,
* 플랫폼의 대출, 신용카드 상품 중개는 旣허용
◦ 중심지지원센터의 해외 IR을 개최를 통해 핀테크사의 新시장 개척과 투자유치를 돕는 등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 해외 핀테크산업 관계자를 초청하여 국내 핀테크사의 해외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언급
- 2 -
◦ 또한, 금융감독원 핀테크현장자문단은 핀테크지원센터와 공조를 통해 “원스톱 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 핀테크 유니콘으로의 도약이 가능토록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종합 컨설팅 기능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힘
□ 이복현 원장은 플랫폼의 알고리즘과 관련하여
◦ 금융상품 추천의 핵심요소인 만큼 소비자 이익이 최우선시 될 수 있도록 알고리즘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줄 것을 당부
□ 또한, 막대한 고객정보가 플랫폼에 집중되는 만큼 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에도 지속적 관심을 가져달라고 언급하며,
◦ 소비자 정보주권을 최우선 가치로 고객정보를 수집·활용할 것을 요청
□ 한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相生할 수 있도록 금융플랫폼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할 것을 당부
◦ 특히, 플랫폼 수수료는 국민 생활과 밀접하여 그간 국회 등 사회 다방면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고, 수수료 공시방안에 대한 업계의 우려사항도 잘 알고 있다면서,
◦ 수수료는 시장 참여자에 의해 자율적으로 결정될 사안으로 감독당국이 이에 직접 개입할 의사가 없으며,
- 공시방안도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합리적으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하였음
- 3 -
□ 아울러, 빅테크·핀테크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이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디지털 문해력(Digital literacy)을 높이는 곳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하면서,
◦ 금융당국도「시니어 앱(App) 구성지침」을 마련하는 등 고령 금융소비자의 디지털금융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힘
□ 마지막으로, 이복현 원장은 핀테크 업계가 지속적인 금융혁신을 통해 사업을 크게 발전시켜 젊은 세대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성공적인 창업 신화의 본보기가 되어주기를 바란다며,
◦ 빅테크, 핀테크의 창의와 기술, 기존 금융회사의 노하우 등 각자의 장점을 활용하여 협업하는 디지털금융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것을 당부
◦ 금융감독원도 업계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디지털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감독 관행과 규제를 과감히 개선해 나가겠다고 언급
(별첨)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모두발언 1부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