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보 도 자 료 |
|
|||||
보도 |
2022.3.2.(수) 조간 |
배포 |
2022.2.28.(월) 16:00 |
|||
책 임 자 |
금융위 FIU 가상자산검사과장 이 동 욱(02- 736- 1740) |
담 당 자 |
조 성 조 사무관 (02- 736- 1743) |
제 목 : ’21년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 금융정보분석원(원장 김정각)은 국내 가상자산시장 현황 파악을 위해 신고된 29개 사업자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금번 실태조사를 통해 분석된 주요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별 사업자의 회신값은 대외 공개할 수 없습니다. □ 금번 조사에서 확인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시장규모는 총 55.2조원이며, 일평균 거래규모는 11.3조원입니다.(’21.12말 기준) ㅇ 원화마켓 사업자 거래비중이 약 95%를 차지하여, 원화마켓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국내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총 1,257개, 623종이며, 이중 단독상장 가상자산이 403종으로 매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ㅇ 국내 시장은 글로벌 시장 대비, 주요 가상자산 비중이 낮고*, 비주류ㆍ단독상장 가상자산 투자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비트코인ㆍ이더리움 비중(시가총액) : 글로벌 59% > 원화마켓 27% > 코인마켓 9% ㅇ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절반(219종)은 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MDD)이 70% 이상이므로 이용자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가상자산 사업자를 이용하는 국내 총이용자수는 1,525만명이며, 실제 거래에 참여하는 이용자수는 558만명입니다. (중복포함) ㅇ 연령대로는 3040대가 전체의 58%로 가장 많고, 대다수(56%)는 100만원 이하 규모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ㅇ 거래 참여자들은 1일 평균 4회 거래(매도 및 매수)에 참여하였고, 1회 거래금액은 약 75만원 수준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또한, 금번 조사에서 자금세탁방지 의무 준수를 위한 전담인력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사업자들의 노력이 요구됩니다. □ 금번 실태조사는 국내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첫 번째 조사결과라는 의미가 있으며, 향후 반기별 실태조사를 정기적 실시하여 국내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해나가겠습니다. ※ 기타 상세 내용은 붙임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
금융위원회 대 변 인 prfsc@korea.kr |
|
“혁신금융, 더 많은 기회 함께하는 성장”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붙임]
2021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
|
2022. 2.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Ⅰ. 조사 개요 1 Ⅱ. 신고 현황 1 Ⅲ. 가상자산사업자 영업 현황 2 1. 사업자 현황 2 2. 가상자산 현황 4 Ⅳ. 가상자산시장 이용 현황 7 1. 이용자 일반 7 2. 이용 현황 8 Ⅴ. 시사점 및 평가 9 [참고1] 국내외 가상자산 상위 10개 종목 규모 10 [참고2] 가상자산사업자 주요 통계 비교 11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Ⅰ. 조사 개요 |
□ FIU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현황 파악을 위해
’21.12월말 기준, 29개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개요 > |
||
조사대상 : 29개 가상자산사업자 (24개 거래업자, 5개 기타업자) 조사방법 : 사업자가 제출한 통계자료 등을 기초로 집계 대상기간 및 기준시점 : 21년 하반기 / ’21.12.31. |
Ⅱ. 가상자산사업자 신고 현황 (21.12.31. 기준) |
□ ’21.12월말 기준, FIU에 신고 심사를 접수한 42개 사업자 중, 29개 사업자*가 특금법에 따른 신고 영업을 개시
* ’22.2.21일 기준, 총 33개 사업자가 신고 수리 결정됨에 따라
차기 실태조사(22년도 상반기)에서는 조사대상 수가 증가할 수 있음
구 분 |
신고접수 (21.9.24.) |
수리결정 |
철회/유보 |
||
21.12월말 |
22.2월 현재 |
||||
거래업자 |
원화마켓 |
4 |
4 |
4 |
0 |
코인마켓 |
25 |
20 |
22 |
3 |
|
기타업자(지갑ㆍ보관 등) |
13 |
5 |
7 |
6 |
|
합 계 |
42 |
29 |
33 |
9 |
ㅇ (거래업자) 4개 원화거래 사업자(이하 원화마켓)와 20개 코인마켓 사업자(이하 코인마켓)가 신고 영업 중
ㅇ (기타업자) 가상자산 보관ㆍ관리ㆍ이전 등의 서비스 제공
※ 기타업자 5개사는 대부분 영업초기 단계로 아직 유의미한 통계가 집계되기 어려워 금번 실태조사 결과에서 제외
* 5개 사업자 : 취급 가상자산수 80개, 명목 이용자수 14만명, 수탁고 178억원
- 1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Ⅲ. 가상자산사업자 영업 현황 |
1 |
사업자 관련 |
일거래금액 |
수수료 |
영업이익 |
원화예치금 |
AML 평균인력 |
|
원화마켓 |
10.7조원 |
0.16% |
3.35조원 |
7.63조원 |
18명 |
코인마켓 |
0.6조원 |
0.17% |
0.02조원 |
49.9억원 |
6명 |
합 계 |
11.3조원 |
0.17% |
3.37조원 |
7.64조원 |
8명 |
(거래규모) 총거래액 : 2,073조원 / 일평균거래액 : 11.3조원 |
ㅇ ’21년 하반기(6개월간), 24개 거래업자의 총거래금액*은 2,073조원, 1일 평균 거래(체결)금액 11.3조원
* 거래금액 산정 : ∑가상자산별 거래체결수 × 해당 가상자산의 일별 종가
ㅇ 원화마켓 일거래금액은 10.7조원으로 전체의 95%이며,
코인마켓 일거래금액은 거래규모의 5%인 0.6조원 수준
◈ ’22.2.20일 기준, 일거래금액 : 4.2조원 (원화 4.1조원 / 코인 340억원) |
(수수료) 가상자산사업자 평균 수수료율 : 0.17% |
ㅇ 가상자산 매수ㆍ매도에 대한 평균 수수료율은 0.17%*로 주식 매매수수료율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
* 한국거래소 주식 매매수수료율 0.0027% (+ 증권거래세, 유관기관 제비용)
ㅇ 원화마켓 평균 수수료율 0.16%, 코인마켓 평균 수수료율 0.17%
* 사업자별 수수료율 : 최대 0.30% ~ 최소 0.05%
- 2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영업이익) 3.37조원 |
ㅇ ’21년* 전체 거래업자의 영업이익은 3.37조원이며, 일부(9개사) 코인마켓 사업자는 영업손실 기록
* 산정기간 : ’21년도 1분기~3분기
ㅇ 원화마켓 영업이익 3.35조원(99.3%), 코인마켓 220억원(0.7%)
(원화예치금) 대기성 거래자금 : 7.64조원 |
ㅇ ’21.12월말 기준, 대기성 거래자금인 고객보유 원화예치금은 총 7.64조원
ㅇ 원화마켓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 코인마켓 사업자가 보유한 원화예치금 규모는 ’21년말 기준 49.9억원* (→ 고객반환 대상)
◈ ’22.2.20일 기준, 원화예치금 : 7.18조원 (원화 7.18조원 / 코인 33억원) |
(인력수) 총인원 : 1,717명 / AML 인원 : 200명 |
ㅇ ’21.12월말 기준, 전체 거래업자 종사자수는 1,717명,
사업자별 원화마켓 평균 239명, 코인마켓 평균 38명
ㅇ 자금세탁방지(이하 AML) 업무 관련 인원은 총 200명,
사업자별 원화마켓 평균 18명(7.5%), 코인마켓 평균 6명(17%)
* 임직원수 대비 AML 투입 인력 비율은 코인마켓이 높으나,
다른 업무 겸직률이 높아(41%) 자금세탁방지 노력은 상대적 부족
구분 |
평균 임직원 |
AML 평균인원 |
AML 투입율 |
AML 인원 타업무 겸직률 |
원화마켓 |
239명 |
18명 |
7.5% |
11% |
코인마켓 |
38명 |
6명 |
17% |
41% |
합 계 |
72명 |
8명 |
12% |
31% |
- 3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2 |
가상자산 관련 |
가상자산수 |
시가총액 |
단독상장 가상자산 |
가격변동률 |
|
원화마켓 |
622개 |
53.3조원 |
149개 |
59% |
코인마켓 |
635개 |
1.9조원 |
254개 |
71% |
합 계 |
1,257개 |
55.2조원 |
403개 |
65% |
(가상자산) 국내 유통 가상자산 : 1,257개 / 중복제외 623종 |
ㅇ ’21.12월말 기준, 국내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1,257개(중복 포함), 사업자별 평균 취급 가상자산 수는 55개
ㅇ 사업자별 평균 원화마켓 156개, 코인마켓 33개 가상자산 취급
* 사업자별 가상자산 취급수 : 최대 194개 ~ 최소 6개
ㅇ 사업자간 중복지원 제외시, 국내 유통 가상자산 종류는 623종
(시가총액) 국내 가상자산 시장가치 : 55.2조원 |
ㅇ ’21.12월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장가치*는 55.2조원
* ∑사업자별 보유 가상자산 수량 X 해당 가상자산의 시장가격
ㅇ 원화마켓 시장 53.3조원(96%), 코인마켓 시장 1.9조원(4%)
ㅇ 시가총액 국내 상위 10대 가상자산 중,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에 포함된 가상자산은 5개* (참고1)
*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에이다(ADA), 솔라나(SOL)
- 글로벌 상위 10대 가상자산의 국내 거래 비중(시가총액)은 원화마켓 시장의 41.5%, 코인마켓 시장의 9.2%
- 4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단독상장) 단독상장 가상자산 : 403종 (국내 유통의 65%) |
ㅇ ’21.12월말 기준, 특정 사업자에서만 거래 지원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403개
- 국내 유통 가상자산 623종 중 65%가 단독상장 가상자산
ㅇ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국내 시장가치는 6.9조원
- 시가총액(55.2조원)에서 차지하는 비중 약 12%이나, 코인마켓 시가총액(1.9조원) 중 75%로 높은 비중* 차지
* 시가총액 기준 단독상장 가상자산 비중이 90% 이상 사업자는 7개사
- 시가총액 코인마켓 상위 10대 가상자산 중, 6개가 단독상장 가상자산
* 사업자별 단독상장 가상자산 비중(시가총액) : 최대 98% ~ 최소 0%
ㅇ 단독상장 가상자산에 대한 평균 취급비율*은 원화마켓 24%, 코인마켓 40%
* 취급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수 ÷ 취급하는 가상자산수
- 단독상장 가상자산을 과반수 이상 취급하는 사업자는 7개사
* 사업자별 단독상장 가상자산 비율(가상자산수) : 최대 80% ~ 최소 0%
(신규 및 폐지) 신규 153건 / 중단 329건 / 유의 215건 |
ㅇ ’21년 하반기(6개월간), 가상자산 신규 거래지원 건수는 153건, 거래중단 329건, 유의지정 215건
ㅇ 원화마켓 57개 순증(신규- 중단), 코인마켓 233개 순감*
* ’20년 대폭 신규 거래지원한 가상자산을 ’21년 대폭 중단함에 기인
- 5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ㅇ 신규 거래지원이 거래중단 보다 많은 사업자는 8개사
* ’21년 하반기 사업자별 신규 거래지원 : 최대 43개 ~ 최소 0개
’21년 하반기 사업자별 기존 거래중단 : 최대 110개 ~ 최소 0개
ㅇ ’21년 상반기 대비, 전반적으로 신규 거래지원ㆍ폐지ㆍ유의지정 수가 감소하며 일부 안정화 양상
구분 |
신규거래지원(상장) |
거래중단(폐지) |
유의종목 지정 |
|
원화마켓 |
하반기 |
74 |
17 |
24 |
상반기 |
130 |
53 |
68 |
|
코인마켓 |
하반기 |
79 |
312 |
191 |
상반기 |
221 |
432 |
400 |
|
합 계 |
하반기 |
153 |
329 |
215 |
상반기 |
351 |
485 |
468 |
(변동성) 가상자산 가격변동성 MDD : 65% |
ㅇ ’21년 하반기(6개월간), 국내 유통되는 가상자산의 평균 MDD*는 약 65%로 매우 높은 변동성 (유가증권 시장의 4.4배)
* MDD(Max Draw Down) : ’21.하반기(7~12월) 동안 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
개별 가상자산의[(최고가 – 최저가)/최고가]
ㅇ 원화마켓 시장의 평균 MDD는 59%, 코인마켓 시장은 71%
* 사업자별 평균 MDD : 최대 95% ~ 최소 19%
ㅇ MDD가 70% 이상 가상자산은 498개(중복포함)로 전체의 41%,
이 중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219개(약 44%)
MDD |
50% 미만 |
50 ~ 70% |
70 ~ 90% |
90% 이상 |
원화마켓 |
194개 (31%) |
268개 (43%) |
101개 (17%) |
58개 (9%) |
코인마켓 |
141개 (24%) |
105개 (18%) |
128개 (22%) |
211개 (36%) |
- 6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Ⅳ. 가상자산사업자 이용 현황 |
1 |
이용자 일반 |
등록 이용자수 |
실제 이용자수 |
||
KYC 이행률 |
|||
원화마켓 |
13,395,173 |
5,528,940 |
41.3% |
코인마켓 |
1,858,948 |
55,713 |
3.0% |
합 계 |
15,254,121 |
5,584,653 |
36.6% |
(명목 이용자수) 1,525만명 |
ㅇ ’21.12월말 기준, 24개 사업자에 계정이 개설된 등록 이용자수는 총 1,525만명 (휴면 및 탈퇴 계정 제외, 중복포함)
ㅇ 원화마켓 이용자수 1,340만명, 코인마켓 이용자수 186만명
ㅇ 개인 이용자수 1,525만명, 법인 이용자수 4,426명
(실제 이용자수) 558만명 * KYC: Know Your Customer |
ㅇ ’21.12월말 기준, 고객확인의무(KYC)를 이행 완료한 거래가능 이용자수는 558만명으로 등록 이용자수 대비 36.6%* (중복포함)
* 사업자별 KYC 이행률 : 최대 49.5% ~ 최소 0.1%
ㅇ 원화마켓 이용자수 553만명, 코인마켓 이용자수 5.6만명*
* KYC 이행률 : 원화마켓 41.3%, 코인마켓 3.0%**
** KYC는 사업자가 신고 영업을 개시한 날부터 이행하며, 신고 영업일이 다소 늦은 코인마켓의 KYC 이행률이 상대적으로 낮음
◈ ’22.2.4일 기준, KYC 이행률 : 41.4% (원화 46.8% / 코인 5.6%) |
- 7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2 |
개인 이용자 분석 |
(연령별) 가장 많은 이용 연령대 : 30대 남성 |
ㅇ 30대(31%) > 40대(27%) > 20대(23%) > 50대(14%) > 60대(4%)
ㅇ 남성(67%)이 여성(33%)보다 2배 정도 높은 이용률
20대 이하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합계 |
|
남 성 |
97만명 |
121만명 |
98만명 |
46만명 |
12만명 |
374만명 |
여 성 |
37만명 |
53만명 |
50만명 |
34만명 |
10만명 |
184만명 |
합 계 (비중) |
134만명 (24%) |
174만명 (31%) |
148만명 (27%) |
80만명 (14%) |
23만명 (4%) |
558만명 |
(보유규모) 대다수 100만원 이하 보유 |
ㅇ ’21.12월말 기준, 이용자의 56%(313만명)가 100만원 이하 보유*
* (보유 가상자산수 × 해당 가상자산의 시장가격) + 원화예치금(대기성 자금)
ㅇ 1천만원 이상 가상자산을 보유한 이용자는 82만명(15%)
보유 없음 |
1백만원 이하 |
1백만~1천만원 |
1천만~1억원 |
1억~10억원 |
10억원 이상 |
37만명 (7%) |
276만명 (49%) |
163만명 (29%) |
73만명 (13%) |
9만명 (1.6%) |
4천명 (0.1%) |
(거래규모) 1일 평균 거래횟수 : 4회 / 1회 평균 : 75만원 |
ㅇ ’21년 4분기 거래분석 결과, 거래 참여자의 1일 평균 거래횟수*는 4.1회**, 1회 평균 거래금액은 75만원 (원화마켓 기준)
* 거래 참여자를 기준으로 매도 및 매수 횟수를 합산한 값
** 3개월간 거래횟수(금액) 합산 ÷ 90일 ÷ 거래 참여자수
구 분 |
20대 이하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평균 |
1일 거래횟수 |
3.6회 |
5회 |
4.5회 |
4.2회 |
3.3회 |
4.1회 |
1회 거래금액 |
56만원 |
76만원 |
74만원 |
67만원 |
102만원 |
75만원 |
- 8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Ⅴ. 시사점 및 평가 |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첫 실태조사 결과 |
ㅇ 가상자산 사업자의 영업 현황 및 고객 이용 현황 등을 최초 조사ㆍ분석한 결과로 가상자산 시장 동향에 대한 정보 제공
- 다만, 사업자가 임의 제출한 자료에 기반하고, 아직 대다수 사업자가 영업 초기 단계인 만큼 향후 지속적 통계 보완* 필요
* 지갑ㆍ보관업자에 대한 통계, KYC 이행률 등
ㅇ 향후 반기별 실태조사를 정기 실시하여 추세값 등 비교
원화마켓 시장의 높은 시장 지배력 |
ㅇ 코인마켓 대비 원화마켓의 시장 지배력이 매우 높으며, 일부 경쟁력이 약한 코인마켓* 사업자의 사업구조 변화 등 전망
* 신고일이 상대적으로 늦은 코인마켓 사업자의 짧은 영업기간도 고려할 필요
변동성이 높은 단독상장 가상자산 거래에 각별히 유의 |
ㅇ 일부 사업자는 가격 변동성이 큰 단독상장 가상자산에 대한 높은 취급률을 보이는 만큼 이용자의 신중한 접근 필요
ㅇ 글로벌 시장과 국내 시장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비중 차이*
* 비트코인(BTC)ㆍ이더리움(ETH) 비중 : 글로벌 59% > 원화마켓 27% > 코인마켓 9%
전담인력 확보 등 자금세탁방지 노력 필요 |
ㅇ 가상자산은 자금세탁 위험성이 매우 높은 분야이나, 자금세탁방지(AML) 인력 비중(8%)이 낮으므로* 추가 전담 인력 확보 필요
* AML 투입비율 12% × AML 전담율 70% = 실제 AML 투입비율 8%
- 9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참고1 |
국내외 가상자산 상위 10개 종목 비교 |
||||||||||||||||||||||||||||||||||||||||||||||||||||||||||||||||||||||||||||||||||||||||||||||||||||||||||||||||||||||||||||||||||||||||||||||||||||||||||||||||||||||||||||||||||||||||||||||||||||||||||
□ 글로벌 상위 10개 ↔ 국내 상위 10개 (단위 : 조원)
* ’21.12.31 코인마켓캡 기준 (글로벌 시가총액 2,660조원 추정) ** ’21.12.31 사업자 실태조사 결과 기준 (시가총액 55.2조원) □ 원화마켓 상위 10개 ↔ 코인마켓 상위 10개 (단위 : 조원)
|
- 10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참고2 |
가상자산사업자 주요 통계 비교 |
|
(’21.9.24일 ~ ’21.12월말) 일거래규모 |
||
|
||
가상자산사업자수 |
코인마켓 원화예치금 |
|
|
|
|
주요 가상자산 비중(시가총액) |
||
|
가상자산수 |
신규 거래지원수 |
|
|
단독상장 취급비율(가상자산수) |
|
|
|
수수료율 비교 |
가격변동성(MDD) 비교 |
|
|
- 11 -
통계분석: 박성수 차장 / 보도자료: 조성조 사무관
이용자수 |
연령대별 이용자수 |
|
|
가상자산 보유규모 |
이용자 거래횟수 및 거래규모 |
|
|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