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업동향조사 |
통계청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2. 2. 10.(목) 12:00 |
배포 일시 |
2022. 2. 10.(목) 08:30 |
담당 부서 |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책임자 |
과 장 |
이민경 |
(042- 481- 2585) |
서비스업동향과 |
담당자 |
서기관 |
명노섭 |
(042- 481- 2190) |
2021년 4/4분기 및 연간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
담당 부서 |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책임자 |
과 장 |
이민경 |
(042- 481- 2585) |
서비스업동향과 |
담당자 |
서기관 |
명노섭 |
(2190)서비스업생산 |
|
담당자 |
사무관 |
김성규 |
(2197)소매판매 |
일 러 두 기 |
||
|
||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은 시도별 경기동향 파악을 위하여 작성한 통계로 시도 간 자료 비교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각 시도 업종 및 업태별 기준액과 가중치가 서로 다릅니다. □ 2015년 기준년 개편(업종, 가중치 변경 등)으로 지수의 기준 시점이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변경되어 시계열 자료(불변지수)가 작성되었으며, 연간보정, 디플레이터 변경 등으로 과거 시계열자료도 변경되었습니다. ○ 또한, 세종특별자치시가 새롭게 작성되어 일부 업종에 대한 통계가 수록되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통계청 홈페이지 보도자료란의 ‘2015년 기준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통계 지수개편 결과’(보도 참고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경상지수는 비교시 매출액을 기준년도(2015년) 평균 매출액(기준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이며, 불변지수는 경상지수를 물가디플레이터로 나누어 작성하였습니다. ○ 불변지수는 실질성장을 분석하기 위해 가격변동을 제거하여 작성되는 지표이나 설, 추석 명절의 이동 및 영업일수 변동 등의 효과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문에 수록된 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및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통계자료의 최근 수치에는 잠정치(p)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추후 수정될 수 있습니다. |
목 차 |
||
|
||
◇ 2021년 4/4분기 시도 서비스업동향통계(인포그래픽) 1 Ⅰ. 요약 2 Ⅱ. 2021년 4/4분기 시도별 동향 4 1. 서 울 4 2. 부 산 6 3. 대 구 8 4. 인 천 10 5. 광 주 12 6. 대 전 14 7. 울 산 16 8. 경 기 18 9. 강 원 20 10. 충 북 22 11. 충 남 24 12. 전 북 26 13. 전 남 28 14. 경 북 30 15. 경 남 32 16. 제 주 34 17. 세 종 36 Ⅲ. 2021년 연간 시도별 동향 37 Ⅳ. 시도별 통계표 43 Ⅴ. 부록 71 1. 통계작성 개요 73 2. 보도자료에 수록된 업종 및 업태 안내 75 3. 공표일정 77 |
2021년 4/4분기 시도별 동향(요약)
◇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1년 4/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16개 시‧도 모두에서 증가 ○ 제주(8.6%), 강원(7.0%), 인천(6.7%) 등은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도소매 등에서 생산이 늘어 증가 - (제주) 숙박·음식점(20.8%),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24.3%), 도소매(6.4%), 운수·창고(9.0%), 정보통신(6.0%) 등에서 증가 - (강원) 숙박·음식점(21.2%), 예술·스포츠·여가(28.7%), 도소매(6.6%), 보건·사회복지(4.5%), 부동산(15.7%) 등에서 증가 - (인천) 운수·창고(16.7%), 숙박·음식점(16.1%), 부동산(14.1%), 보건·사회복지(4.6%), 금융·보험(5.2%) 등에서 증가 |
◇ (시도 소매판매) 2021년 4/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4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1개는 감소, 1개 보합 ○ 제주(11.8%), 서울(10.5%)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백화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 (제주) 면세점(49.3%), 전문소매점(9.1%)에서 증가 - (서울) 전문소매점(14.9%), 백화점(28.2%)에서 증가 - (강원) 전문소매점(18.8%), 승용차·연료소매점(7.1%)에서 증가 - (대전) 백화점(63.0%), 전문소매점(11.2%)에서 증가 - (전남) 승용차·연료소매점(12.9%), 전문소매점(6.5%)에서 증가 ○ 울산(- 0.7%)은 승용차·연료소매점,슈퍼·잡화·편의점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
□ 2021년 4/4분기 시도별 주요지표
(전년동기비, %)
시도 |
서비스업생산 |
소매판매 |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서울 |
1.2 |
1.0 |
5.9 |
6.0 |
7.9 |
4.3 |
5.6 |
- 8.9 |
- 11.5 |
6.4 |
2.9 |
6.5 |
5.6 |
10.5 |
|
부산 |
- 4.2 |
- 3.7 |
4.1 |
0.5 |
6.1 |
4.4 |
5.4 |
- 4.4 |
- 7.6 |
6.0 |
4.3 |
4.8 |
5.9 |
9.2 |
|
대구 |
- 3.0 |
- 1.6 |
3.2 |
2.6 |
5.3 |
1.6 |
3.2 |
- 3.0 |
- 5.1 |
2.8 |
9.5 |
- 0.4 |
0.6 |
2.2 |
|
인천 |
- 9.9 |
- 11.6 |
3.0 |
- 4.7 |
5.1 |
5.1 |
6.7 |
- 8.4 |
- 10.1 |
- 1.0 |
- 2.7 |
- 3.9 |
1.1 |
1.8 |
|
광주 |
- 1.6 |
- 1.2 |
2.9 |
0.1 |
4.1 |
2.4 |
4.6 |
- 0.4 |
- 2.8 |
1.9 |
5.1 |
- 4.2 |
5.1 |
2.1 |
|
대전 |
- 2.5 |
- 2.5 |
2.6 |
1.2 |
3.4 |
1.5 |
4.1 |
0.2 |
- 0.1 |
3.9 |
8.2 |
- 4.3 |
5.0 |
7.6 |
|
울산 |
- 3.2 |
- 2.4 |
2.0 |
0.0 |
3.3 |
1.7 |
3.2 |
- 0.1 |
- 2.2 |
- 1.3 |
4.5 |
- 5.8 |
- 2.9 |
- 0.7 |
|
경기 |
- 1.0 |
- 1.6 |
4.3 |
1.9 |
5.3 |
3.7 |
6.1 |
1.6 |
0.7 |
2.3 |
4.4 |
- 1.0 |
4.3 |
1.7 |
|
강원 |
- 5.0 |
- 5.1 |
4.0 |
- 0.8 |
5.2 |
4.4 |
7.0 |
- 0.4 |
- 5.3 |
3.1 |
1.1 |
- 2.5 |
4.7 |
9.3 |
|
충북 |
- 3.2 |
- 3.5 |
3.1 |
0.1 |
3.7 |
3.0 |
5.3 |
0.4 |
- 2.0 |
2.4 |
4.4 |
- 2.2 |
4.1 |
3.9 |
|
충남 |
- 3.2 |
- 3.2 |
3.8 |
1.4 |
5.7 |
4.0 |
4.4 |
1.7 |
- 1.9 |
0.8 |
3.8 |
- 3.8 |
2.1 |
1.6 |
|
전북 |
- 1.3 |
- 3.1 |
2.6 |
0.4 |
2.4 |
2.8 |
4.7 |
0.8 |
- 3.0 |
0.8 |
1.3 |
- 5.1 |
3.8 |
3.7 |
|
전남 |
- 1.9 |
- 3.6 |
2.6 |
- 0.4 |
3.5 |
2.3 |
4.9 |
4.3 |
- 0.2 |
3.9 |
4.1 |
0.0 |
4.0 |
7.5 |
|
경북 |
- 4.5 |
- 4.8 |
3.6 |
1.6 |
5.1 |
2.8 |
4.7 |
0.5 |
- 2.5 |
1.7 |
2.2 |
- 0.7 |
2.2 |
3.4 |
|
경남 |
- 2.3 |
- 2.1 |
2.5 |
0.1 |
3.2 |
2.2 |
4.4 |
2.1 |
0.7 |
0.3 |
3.9 |
- 3.3 |
0.7 |
0.0 |
|
제주 |
- 10.4 |
- 9.5 |
2.6 |
- 6.3 |
5.3 |
2.8 |
8.6 |
- 26.8 |
- 32.7 |
5.7 |
- 8.1 |
15.7 |
4.9 |
11.8 |
|
전국 |
- 2.0 |
- 2.0 |
4.3 |
2.2 |
5.7 |
3.9 |
5.4 |
- 0.2 |
- 1.2 |
5.5 |
6.4 |
4.4 |
5.0 |
6.2 |
< 서비스업생산 증감률(%) > |
|
< 소매판매 증감률(%) > |
|
주) 전국은 무점포소매 포함, 시도는 무점포소매 제외 |
2021년 4/4분기 시도별 동향
1. 서울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서울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5.6%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4.3%)보다 1.3%p 확대
◦ 운수·창고, 금융·보험, 도소매, 숙박·음식점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운수·창고(27.3%), 금융·보험(3.9%), 도소매(4.4%), 숙박·음식점(19.6%), 정보통신(4.3%) 등 |
‧감소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4.5%)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13.0 |
120.5 |
119.7 |
115.2 |
118.7 |
117.5 |
127.2 |
- |
전년동기비 |
- |
1.2 |
1.0 |
5.9 |
6.0 |
7.9 |
4.3 |
5.6 |
- |
- 도소매 |
194.7 |
- 4.2 |
- 3.7 |
3.8 |
2.0 |
5.9 |
2.9 |
4.4 |
0.76 |
- 운수‧창고 |
79.9 |
- 29.8 |
- 28.8 |
13.9 |
- 8.7 |
24.5 |
16.6 |
27.3 |
1.33 |
- 숙박‧음식점 |
44.3 |
- 15.9 |
- 23.5 |
2.6 |
- 8.6 |
1.0 |
- 1.3 |
19.6 |
0.59 |
- 정보통신 |
119.1 |
- 1.3 |
- 3.2 |
2.9 |
0.5 |
1.8 |
4.6 |
4.3 |
0.59 |
- 금융‧보험 |
242.5 |
22.2 |
25.1 |
10.8 |
23.3 |
11.6 |
6.2 |
3.9 |
1.23 |
- 부동산 |
34.3 |
14.6 |
7.2 |
3.9 |
0.4 |
13.3 |
1.9 |
0.9 |
0.03 |
- 전문‧과학‧기술 |
76.6 |
0.0 |
- 0.8 |
2.4 |
2.2 |
5.7 |
0.7 |
1.0 |
0.08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7 |
- 5.9 |
- 4.8 |
0.9 |
- 1.3 |
2.4 |
1.4 |
0.9 |
0.04 |
- 교육 |
62.1 |
- 4.8 |
- 2.8 |
2.7 |
- 0.2 |
4.7 |
0.9 |
5.5 |
0.26 |
- 보건‧사회복지 |
59.7 |
2.1 |
- 1.8 |
3.4 |
0.9 |
4.8 |
3.1 |
4.7 |
0.32 |
- 예술‧스포츠‧여가 |
13.7 |
- 47.3 |
- 50.4 |
8.3 |
- 34.5 |
37.9 |
7.6 |
40.2 |
0.25 |
- 협회‧수리‧개인 |
21.6 |
- 12.8 |
- 12.5 |
0.4 |
- 5.8 |
1.3 |
1.3 |
4.0 |
0.07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8 |
4.1 |
8.0 |
1.9 |
4.6 |
6.8 |
1.6 |
- 4.5 |
- 0.01 |
< 서울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서울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0.5% 증가하였으며, 전분기(5.6%)보다 4.9%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 4.6%), 대형마트(- 6.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14.9%), 백화점(28.2%)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7.1 |
111.1 |
114.0 |
104.8 |
115.3 |
113.2 |
122.8 |
- |
전년동기비 |
- |
- 8.9 |
- 11.5 |
6.4 |
2.9 |
6.5 |
5.6 |
10.5 |
- |
- 백 화 점 |
137.9 |
- 8.9 |
- 8.4 |
23.2 |
24.2 |
25.4 |
14.9 |
28.2 |
3.60 |
- 대형마트 |
77.2 |
0.8 |
1.4 |
- 5.1 |
- 2.9 |
- 3.2 |
- 7.5 |
- 6.8 |
- 0.40 |
- 면세점 |
57.4 |
- 24.7 |
- 26.6 |
19.0 |
11.8 |
43.5 |
9.0 |
17.3 |
2.58 |
- 슈퍼‧잡화‧편의점 |
132.7 |
- 0.2 |
- 6.3 |
- 5.2 |
- 10.0 |
- 8.7 |
- 2.0 |
0.0 |
- 0.13 |
- 승용차‧연료소매점 |
148.9 |
8.5 |
2.2 |
- 1.7 |
10.4 |
- 5.7 |
- 3.5 |
- 4.6 |
- 0.76 |
- 전문소매점 |
445.9 |
- 12.2 |
- 14.1 |
6.1 |
- 3.1 |
2.4 |
10.6 |
14.9 |
5.54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2. 부산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부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5.4%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4.4%)보다 1.0%p 확대
◦ 운수·창고, 도소매, 숙박·음식점,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운수·창고(14.3%), 도소매(5.3%), 숙박·음식점(17.8%), 보건·사회복지(3.9%),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10.3%) 등 |
‧감소 : |
부동산(- 6.7%), 전문·과학·기술(- 1.6%), 수도·하수·폐기물처리(- 5.2%) 등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1.3 |
104.7 |
105.5 |
101.0 |
105.9 |
104.7 |
110.4 |
- |
전년동기비 |
- |
- 4.2 |
- 3.7 |
4.1 |
0.5 |
6.1 |
4.4 |
5.4 |
- |
- 도소매 |
227.9 |
- 4.0 |
- 3.5 |
4.3 |
1.4 |
5.7 |
4.9 |
5.3 |
1.15 |
- 운수‧창고 |
159.2 |
- 12.8 |
- 10.6 |
9.8 |
0.5 |
12.6 |
11.1 |
14.3 |
2.11 |
- 숙박‧음식점 |
63.0 |
- 21.9 |
- 27.6 |
0.5 |
- 16.1 |
2.4 |
- 1.5 |
17.8 |
0.82 |
- 정보통신 |
42.2 |
0.3 |
1.4 |
3.4 |
- 1.6 |
5.7 |
4.6 |
5.0 |
0.24 |
- 금융‧보험 |
112.1 |
9.3 |
13.7 |
5.0 |
11.4 |
6.3 |
2.3 |
0.8 |
0.11 |
- 부동산 |
32.2 |
23.1 |
26.6 |
- 0.8 |
- 3.3 |
10.5 |
- 2.1 |
- 6.7 |
- 0.30 |
- 전문‧과학‧기술 |
42.7 |
- 0.2 |
- 1.7 |
- 1.1 |
- 1.8 |
0.0 |
- 1.0 |
- 1.6 |
- 0.06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7 |
- 10.5 |
- 9.3 |
8.0 |
- 0.6 |
12.0 |
10.5 |
10.3 |
0.50 |
- 교육 |
104.2 |
- 4.1 |
- 3.1 |
1.4 |
1.6 |
3.1 |
1.0 |
- 0.2 |
- 0.02 |
- 보건‧사회복지 |
111.5 |
1.4 |
0.1 |
3.2 |
0.2 |
3.3 |
5.5 |
3.9 |
0.54 |
- 예술‧스포츠‧여가 |
15.9 |
- 39.6 |
- 44.7 |
9.3 |
- 22.6 |
19.3 |
9.0 |
40.2 |
0.36 |
- 협회‧수리‧개인 |
30.6 |
- 11.6 |
- 15.5 |
- 3.7 |
- 1.4 |
- 5.8 |
- 7.1 |
0.0 |
0.00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8.9 |
- 0.5 |
0.5 |
- 1.4 |
- 3.8 |
1.6 |
2.2 |
- 5.2 |
- 0.04 |
< 부산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부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9.2% 증가하였으며, 전분기(5.9%)보다 3.3%p 확대
◦ 대형마트(- 4.4%), 면세점(- 30.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15.2%), 백화점(22.5%)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7.6 |
100.0 |
103.5 |
96.9 |
104.3 |
103.7 |
109.2 |
- |
전년동기비 |
- |
- 4.4 |
- 7.6 |
6.0 |
4.3 |
4.8 |
5.9 |
9.2 |
- |
- 백 화 점 |
113.5 |
- 7.2 |
- 6.4 |
19.1 |
26.4 |
20.5 |
7.9 |
22.5 |
2.83 |
- 대형마트 |
97.6 |
1.3 |
2.3 |
- 0.7 |
3.5 |
1.3 |
- 2.7 |
- 4.4 |
- 0.37 |
- 면세점 |
26.8 |
- 66.9 |
- 75.7 |
- 37.0 |
- 60.2 |
10.6 |
- 27.2 |
- 30.6 |
- 0.28 |
- 슈퍼‧잡화‧편의점 |
138.5 |
- 1.1 |
- 5.1 |
- 4.6 |
- 7.5 |
- 8.4 |
- 3.4 |
1.5 |
- 0.02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49.6 |
6.4 |
0.3 |
11.1 |
16.9 |
13.1 |
9.4 |
5.8 |
1.85 |
- 전문소매점 |
374.0 |
- 8.1 |
- 11.0 |
5.6 |
- 2.1 |
- 0.8 |
10.5 |
15.2 |
4.97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3. 대구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대구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3.2%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1.6%)보다 1.6%p 확대
◦ 숙박·음식점,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도소매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5.7%), 금융·보험(5.5%), 보건·사회복지(4.1%), 도소매(2.8%), 정보통신(6.6%) 등 |
‧감소 : |
부동산(- 15.7%), 수도·하수·폐기물처리(- 4.2%)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3.0 |
107.3 |
106.3 |
101.7 |
106.9 |
105.9 |
110.7 |
- |
전년동기비 |
- |
- 3.0 |
- 1.6 |
3.2 |
2.6 |
5.3 |
1.6 |
3.2 |
- |
- 도소매 |
233.4 |
- 3.0 |
- 1.9 |
3.5 |
4.3 |
4.2 |
2.7 |
2.8 |
0.63 |
- 운수‧창고 |
67.8 |
- 23.6 |
- 21.1 |
2.6 |
- 3.3 |
7.2 |
1.0 |
5.4 |
0.27 |
- 숙박‧음식점 |
65.7 |
- 19.8 |
- 17.0 |
5.0 |
0.4 |
4.6 |
- 1.5 |
15.7 |
0.78 |
- 정보통신 |
44.6 |
4.5 |
2.4 |
4.6 |
3.1 |
5.2 |
3.2 |
6.6 |
0.31 |
- 금융‧보험 |
118.4 |
9.1 |
12.1 |
7.5 |
10.8 |
8.4 |
5.5 |
5.5 |
0.75 |
- 부동산 |
34.4 |
24.0 |
26.7 |
- 5.6 |
- 0.4 |
15.4 |
- 17.2 |
- 15.7 |
- 0.78 |
- 전문‧과학‧기술 |
38.6 |
- 2.4 |
3.0 |
2.3 |
5.8 |
6.9 |
- 4.0 |
0.0 |
0.00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3.7 |
- 9.5 |
- 8.8 |
1.2 |
- 2.9 |
2.5 |
1.9 |
3.3 |
0.13 |
- 교육 |
130.0 |
- 3.0 |
- 0.6 |
1.3 |
- 0.1 |
2.8 |
2.4 |
0.2 |
0.02 |
- 보건‧사회복지 |
135.6 |
1.0 |
0.5 |
2.8 |
0.1 |
2.4 |
4.5 |
4.1 |
0.72 |
- 예술‧스포츠‧여가 |
17.8 |
- 23.5 |
- 19.7 |
12.8 |
- 4.0 |
34.6 |
10.5 |
13.0 |
0.19 |
- 협회‧수리‧개인 |
60.1 |
- 15.0 |
- 14.3 |
1.4 |
6.7 |
0.5 |
- 4.8 |
3.9 |
0.20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0.0 |
9.7 |
3.9 |
- 0.7 |
- 4.4 |
5.7 |
0.1 |
- 4.2 |
- 0.04 |
< 대구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대구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2.2% 증가하였으며, 전분기(0.6%)보다 1.6%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 6.9%), 대형마트(- 4.9%)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10.1%), 백화점(13.7%)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8.3 |
102.5 |
101.1 |
98.2 |
104.4 |
96.8 |
104.8 |
- |
전년동기비 |
- |
- 3.0 |
- 5.1 |
2.8 |
9.5 |
- 0.4 |
0.6 |
2.2 |
- |
- 백 화 점 |
114.2 |
- 12.3 |
- 5.0 |
19.3 |
42.1 |
22.6 |
5.2 |
13.7 |
1.78 |
- 대형마트 |
94.4 |
- 1.1 |
1.3 |
- 0.6 |
4.7 |
1.7 |
- 3.4 |
- 4.9 |
- 0.42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28.8 |
5.0 |
2.4 |
- 5.9 |
- 11.8 |
- 9.7 |
1.0 |
- 2.7 |
- 0.38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67.3 |
7.0 |
- 3.9 |
- 1.9 |
14.9 |
- 6.4 |
- 5.9 |
- 6.9 |
- 2.14 |
- 전문소매점 |
393.8 |
- 10.6 |
- 10.1 |
6.3 |
7.5 |
2.0 |
6.0 |
10.1 |
3.34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4. 인천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인천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6.7%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5.1%)보다 1.6%p 확대
◦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부동산,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운수·창고(16.7%), 숙박·음식점(16.1%), 부동산(14.1%), 보건·사회복지(4.6%), 금융·보험(5.2%) 등 |
‧감소 : |
전문·과학·기술(- 2.4%), 수도·하수·폐기물처리(- 1.4%)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9.5 |
100.9 |
102.5 |
97.5 |
102.2 |
102.7 |
107.7 |
- |
전년동기비 |
- |
- 9.9 |
- 11.6 |
3.0 |
- 4.7 |
5.1 |
5.1 |
6.7 |
- |
- 도소매 |
188.5 |
- 4.1 |
- 2.5 |
1.9 |
0.6 |
1.7 |
3.5 |
1.8 |
0.36 |
- 운수‧창고 |
219.8 |
- 32.4 |
- 36.8 |
3.4 |
- 21.7 |
12.1 |
13.9 |
16.7 |
2.74 |
- 숙박‧음식점 |
70.1 |
- 22.2 |
- 26.5 |
0.9 |
- 11.0 |
2.9 |
- 3.9 |
16.1 |
0.82 |
- 정보통신 |
24.4 |
- 3.5 |
- 0.7 |
6.7 |
0.4 |
9.6 |
7.5 |
9.1 |
0.27 |
- 금융‧보험 |
59.8 |
10.2 |
10.7 |
4.2 |
6.6 |
2.5 |
2.8 |
5.2 |
0.40 |
- 부동산 |
38.5 |
17.6 |
9.2 |
9.3 |
- 5.1 |
9.0 |
20.9 |
14.1 |
0.74 |
- 전문‧과학‧기술 |
49.5 |
0.3 |
- 0.5 |
0.6 |
1.7 |
6.1 |
- 2.9 |
- 2.4 |
- 0.14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9 |
- 3.7 |
- 1.2 |
3.2 |
0.8 |
4.5 |
5.0 |
2.4 |
0.13 |
- 교육 |
120.0 |
- 7.0 |
- 6.7 |
1.6 |
- 0.1 |
4.4 |
- 0.3 |
3.0 |
0.32 |
- 보건‧사회복지 |
107.9 |
1.9 |
- 1.5 |
3.6 |
1.0 |
3.0 |
5.4 |
4.6 |
0.68 |
- 예술‧스포츠‧여가 |
19.6 |
- 31.0 |
- 32.6 |
1.4 |
- 18.9 |
11.1 |
5.2 |
10.8 |
0.16 |
- 협회‧수리‧개인 |
35.5 |
- 11.3 |
- 12.4 |
2.5 |
- 0.7 |
1.7 |
1.6 |
7.5 |
0.24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6.4 |
- 0.8 |
- 1.4 |
- 1.7 |
- 2.6 |
1.3 |
- 4.0 |
- 1.4 |
- 0.02 |
< 인천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인천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8% 증가하였으며, 전분기(1.1%)보다 0.7%p 확대
◦ 대형마트(- 5.6%), 승용차‧연료소매점(- 0.9%)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4.3%), 면세점(96.8%)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1.8 |
100.7 |
100.8 |
96.6 |
103.1 |
101.0 |
102.5 |
- |
전년동기비 |
- |
- 8.4 |
- 10.1 |
- 1.0 |
- 2.7 |
- 3.9 |
1.1 |
1.8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86.2 |
- 1.7 |
0.9 |
- 2.4 |
- 1.1 |
2.7 |
- 5.1 |
- 5.6 |
- 0.44 |
- 면세점 |
96.6 |
- 78.2 |
- 95.8 |
- 74.1 |
- 93.1 |
- 71.6 |
- 45.4 |
96.8 |
0.58 |
- 슈퍼‧잡화‧편의점 |
136.6 |
2.4 |
- 3.8 |
- 4.7 |
- 8.9 |
- 10.5 |
0.2 |
0.8 |
0.12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25.9 |
7.5 |
8.6 |
1.9 |
12.4 |
- 0.9 |
- 1.6 |
- 0.9 |
- 0.39 |
- 전문소매점 |
312.0 |
- 4.4 |
- 2.0 |
2.6 |
3.6 |
- 4.7 |
7.8 |
4.3 |
1.36 |
* ’20.1/4분기부터 백화점 수가 3개 미만으로 미공표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5. 광주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광주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6%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4%)보다 2.2%p 확대
◦ 숙박·음식점, 교육, 도소매,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8.2%), 교육(5.3%), 도소매(2.9%), 보건·사회복지(3.2%), 금융·보험(4.5%) 등 |
‧감소 : |
-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6.7 |
109.8 |
109.8 |
105.3 |
110.7 |
108.1 |
114.9 |
- |
전년동기비 |
- |
- 1.6 |
- 1.2 |
2.9 |
0.1 |
4.1 |
2.4 |
4.6 |
- |
- 도소매 |
206.7 |
- 1.6 |
- 1.3 |
2.8 |
2.4 |
1.6 |
4.6 |
2.9 |
0.56 |
- 운수‧창고 |
70.1 |
- 16.8 |
- 13.4 |
2.2 |
- 5.6 |
2.9 |
4.3 |
7.1 |
0.38 |
- 숙박‧음식점 |
60.4 |
- 18.5 |
- 24.7 |
1.2 |
- 14.1 |
1.0 |
- 0.1 |
18.2 |
0.81 |
- 정보통신 |
49.9 |
- 0.2 |
0.5 |
5.2 |
2.1 |
10.3 |
3.5 |
4.8 |
0.28 |
- 금융‧보험 |
100.0 |
12.8 |
14.6 |
6.1 |
12.7 |
5.9 |
1.8 |
4.5 |
0.53 |
- 부동산 |
71.4 |
19.3 |
25.1 |
2.0 |
- 5.1 |
11.1 |
- 1.8 |
4.2 |
0.41 |
- 전문‧과학‧기술 |
37.3 |
2.8 |
2.2 |
2.0 |
2.5 |
5.2 |
- 1.6 |
1.4 |
0.05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3.2 |
- 7.8 |
- 8.5 |
- 0.5 |
- 3.8 |
0.4 |
0.2 |
1.0 |
0.05 |
- 교육 |
136.5 |
- 6.9 |
- 3.9 |
3.9 |
1.5 |
7.1 |
1.7 |
5.3 |
0.62 |
- 보건‧사회복지 |
142.6 |
0.8 |
- 1.8 |
2.0 |
- 0.5 |
2.1 |
3.2 |
3.2 |
0.55 |
- 예술‧스포츠‧여가 |
20.9 |
- 30.4 |
- 28.0 |
13.5 |
- 12.7 |
25.3 |
28.6 |
18.1 |
0.28 |
- 협회‧수리‧개인 |
41.5 |
- 6.1 |
- 9.5 |
- 1.9 |
- 2.7 |
- 6.3 |
0.6 |
0.9 |
0.04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9.5 |
1.5 |
0.5 |
- 2.2 |
- 11.8 |
4.4 |
- 12.0 |
10.1 |
0.10 |
< 광주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광주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2.1% 증가하였으나, 전분기(5.1%)보다 3.0%p 감소
◦ 전문소매점(6.0%), 백화점(22.0%)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 8.0%), 대형마트(- 6.1%) 등에서 감소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9.8 |
101.4 |
101.7 |
98.4 |
103.0 |
101.7 |
103.5 |
- |
전년동기비 |
- |
- 0.4 |
- 2.8 |
1.9 |
5.1 |
- 4.2 |
5.1 |
2.1 |
- |
- 백 화 점 |
90.0 |
- 5.6 |
- 5.1 |
18.4 |
22.8 |
7.5 |
22.7 |
22.0 |
2.03 |
- 대형마트 |
80.9 |
- 4.7 |
- 4.5 |
- 2.2 |
0.2 |
- 0.7 |
- 2.5 |
- 6.1 |
- 0.41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53.0 |
2.8 |
- 6.2 |
- 6.5 |
- 13.3 |
- 13.3 |
- 0.6 |
2.4 |
0.36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33.5 |
9.5 |
4.7 |
- 2.4 |
11.5 |
- 8.1 |
- 1.8 |
- 8.0 |
- 2.33 |
- 전문소매점 |
442.4 |
- 5.7 |
- 5.4 |
5.6 |
7.0 |
- 0.6 |
10.5 |
6.0 |
2.40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6. 대전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대전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1%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1.5%)보다 2.6%p 확대
◦ 숙박·음식점, 도소매,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5.9%), 도소매(4.4%), 금융·보험(7.7%), 운수·창고(9.0%), 보건·사회복지(3.6%) 등 |
‧감소 : |
교육(- 2.2%), 수도·하수·폐기물처리(- 2.8%)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2 |
113.5 |
107.9 |
100.3 |
107.0 |
106.1 |
118.2 |
- |
전년동기비 |
- |
- 2.5 |
- 2.5 |
2.6 |
1.2 |
3.4 |
1.5 |
4.1 |
- |
- 도소매 |
173.5 |
- 0.5 |
0.8 |
3.5 |
5.4 |
1.5 |
3.0 |
4.4 |
0.72 |
- 운수‧창고 |
79.0 |
- 19.1 |
- 19.1 |
4.5 |
- 1.9 |
7.7 |
2.7 |
9.0 |
0.56 |
- 숙박‧음식점 |
54.6 |
- 17.6 |
- 21.0 |
1.0 |
- 12.6 |
2.1 |
- 2.1 |
15.9 |
0.72 |
- 정보통신 |
63.7 |
- 1.2 |
- 4.0 |
3.9 |
1.3 |
4.3 |
3.7 |
5.9 |
0.42 |
- 금융‧보험 |
78.0 |
10.1 |
12.1 |
7.7 |
11.7 |
8.5 |
3.3 |
7.7 |
0.68 |
- 부동산 |
23.9 |
15.6 |
8.1 |
- 0.8 |
- 0.9 |
- 4.0 |
- 2.3 |
4.1 |
0.11 |
- 전문‧과학‧기술 |
169.7 |
- 1.0 |
2.1 |
0.9 |
- 0.7 |
1.4 |
0.3 |
1.8 |
0.34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5.7 |
- 1.4 |
- 0.4 |
1.0 |
0.4 |
2.2 |
1.1 |
0.4 |
0.02 |
- 교육 |
121.4 |
- 4.8 |
- 5.0 |
0.4 |
0.6 |
5.1 |
- 1.2 |
- 2.2 |
- 0.22 |
- 보건‧사회복지 |
108.0 |
1.8 |
- 0.4 |
2.5 |
0.6 |
2.0 |
3.3 |
3.6 |
0.46 |
- 예술‧스포츠‧여가 |
19.4 |
- 21.7 |
- 23.3 |
4.1 |
- 4.2 |
7.8 |
1.2 |
11.6 |
0.16 |
- 협회‧수리‧개인 |
31.9 |
- 5.8 |
- 8.8 |
3.5 |
- 3.8 |
8.6 |
- 0.2 |
7.9 |
0.23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1.2 |
0.2 |
0.6 |
- 1.2 |
0.9 |
1.4 |
- 3.7 |
- 2.8 |
- 0.06 |
< 대전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대전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7.6% 증가하였으며, 전분기(5.0%)보다 2.6%p 증가
◦ 승용차‧연료소매점(- 10.8%), 대형마트(- 6.4%)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63.0%), 전문소매점(11.2%)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1.9 |
106.4 |
105.9 |
100.0 |
103.6 |
105.5 |
114.5 |
- |
전년동기비 |
- |
0.2 |
- 0.1 |
3.9 |
8.2 |
- 4.3 |
5.0 |
7.6 |
- |
- 백 화 점 |
107.0 |
- 12.2 |
- 9.4 |
38.5 |
17.5 |
10.4 |
60.1 |
63.0 |
6.67 |
- 대형마트 |
113.2 |
- 0.8 |
1.1 |
- 3.7 |
0.7 |
- 2.4 |
- 6.2 |
- 6.4 |
- 0.56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47.5 |
2.9 |
- 1.9 |
- 5.0 |
- 6.6 |
- 13.4 |
- 0.9 |
2.4 |
0.35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28.5 |
9.8 |
5.1 |
- 2.3 |
12.5 |
- 6.1 |
- 0.9 |
- 10.8 |
- 3.07 |
- 전문소매점 |
403.4 |
- 3.1 |
- 0.4 |
5.6 |
11.9 |
- 2.6 |
2.8 |
11.2 |
4.21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7. 울산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울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3.2%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1.7%)보다 1.5%p 확대
◦ 숙박·음식점, 보건·사회복지, 교육,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4.1%), 보건·사회복지(4.4%), 교육(4.1%), 운수·창고(3.4%), 정보통신(4.5%) 등 |
‧감소 : |
부동산(- 3.0%)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7.9 |
101.1 |
99.9 |
96.7 |
100.2 |
98.5 |
104.3 |
- |
전년동기비 |
- |
- 3.2 |
- 2.4 |
2.0 |
0.0 |
3.3 |
1.7 |
3.2 |
- |
- 도소매 |
195.5 |
- 1.5 |
- 0.6 |
1.0 |
2.7 |
0.6 |
0.5 |
0.3 |
0.06 |
- 운수‧창고 |
131.7 |
- 8.1 |
- 7.0 |
1.4 |
- 2.3 |
1.5 |
3.1 |
3.4 |
0.42 |
- 숙박‧음식점 |
78.8 |
- 20.5 |
- 23.8 |
- 0.4 |
- 16.4 |
2.4 |
- 2.1 |
14.1 |
0.74 |
- 정보통신 |
30.4 |
- 0.6 |
2.3 |
2.9 |
- 3.0 |
3.9 |
6.1 |
4.5 |
0.17 |
- 금융‧보험 |
87.7 |
9.8 |
12.6 |
3.6 |
10.3 |
3.4 |
- 0.3 |
1.6 |
0.16 |
- 부동산 |
23.4 |
17.9 |
27.5 |
4.2 |
- 3.7 |
26.6 |
1.2 |
- 3.0 |
- 0.09 |
- 전문‧과학‧기술 |
59.9 |
2.0 |
2.2 |
2.5 |
0.1 |
7.3 |
- 0.1 |
2.1 |
0.11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7.0 |
- 11.9 |
- 11.1 |
2.4 |
- 1.9 |
3.6 |
5.7 |
2.6 |
0.14 |
- 교육 |
138.8 |
- 3.9 |
- 2.3 |
3.4 |
1.7 |
4.6 |
3.0 |
4.1 |
0.52 |
- 보건‧사회복지 |
118.6 |
1.2 |
0.5 |
2.4 |
0.5 |
1.6 |
3.1 |
4.4 |
0.67 |
- 예술‧스포츠‧여가 |
22.1 |
- 20.6 |
- 18.9 |
4.5 |
- 9.5 |
18.3 |
4.3 |
6.0 |
0.11 |
- 협회‧수리‧개인 |
37.8 |
- 10.0 |
- 14.3 |
- 2.8 |
- 5.0 |
- 1.6 |
- 6.2 |
1.2 |
0.04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8.5 |
7.0 |
12.0 |
1.6 |
- 1.4 |
0.3 |
2.2 |
4.7 |
0.10 |
< 울산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울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0.7% 감소하였으며, 전분기(- 2.9%)보다 2.2%p 증가
◦ 전문소매점(5.6%), 백화점(10.8%)에서 증가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 7.1%), 슈퍼·잡화·편의점(- 4.3%) 등에서 감소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6.5 |
98.2 |
95.2 |
94.4 |
95.3 |
93.6 |
97.5 |
- |
전년동기비 |
- |
- 0.1 |
- 2.2 |
- 1.3 |
4.5 |
- 5.8 |
- 2.9 |
- 0.7 |
- |
- 백 화 점 |
119.3 |
- 12.3 |
- 9.9 |
9.9 |
18.3 |
5.3 |
6.1 |
10.8 |
1.05 |
- 대형마트 |
114.6 |
- 0.7 |
- 0.2 |
- 4.6 |
- 1.8 |
- 7.6 |
- 4.3 |
- 4.9 |
- 0.47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70.4 |
8.5 |
2.5 |
- 8.1 |
- 10.2 |
- 14.6 |
- 2.8 |
- 4.3 |
- 0.80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61.4 |
8.3 |
4.5 |
- 1.9 |
16.8 |
- 4.9 |
- 9.1 |
- 7.1 |
- 2.26 |
- 전문소매점 |
333.4 |
- 7.9 |
- 8.7 |
1.4 |
2.2 |
- 3.5 |
1.4 |
5.6 |
1.70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8. 경기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경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6.1%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3.7%)보다 2.4%p 확대
◦ 정보통신, 숙박·음식점, 도소매,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정보통신(10.1%), 숙박·음식점(19.8%), 도소매(3.0%), 운수·창고(9.6%), 보건·사회복지(5.1%) 등 |
‧감소 : |
-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9.3 |
113.0 |
114.0 |
107.9 |
115.6 |
112.6 |
119.9 |
- |
전년동기비 |
- |
- 1.0 |
- 1.6 |
4.3 |
1.9 |
5.3 |
3.7 |
6.1 |
- |
- 도소매 |
229.6 |
- 0.8 |
0.7 |
3.7 |
3.2 |
4.5 |
4.2 |
3.0 |
0.65 |
- 운수‧창고 |
69.9 |
- 6.8 |
- 4.5 |
10.6 |
9.2 |
14.8 |
9.0 |
9.6 |
0.64 |
- 숙박‧음식점 |
68.9 |
- 14.7 |
- 22.2 |
1.9 |
- 12.2 |
2.0 |
- 1.4 |
19.8 |
0.93 |
- 정보통신 |
82.4 |
7.8 |
6.8 |
6.4 |
4.7 |
6.5 |
3.8 |
10.1 |
1.12 |
- 금융‧보험 |
65.8 |
9.5 |
9.2 |
6.8 |
7.3 |
6.6 |
5.7 |
7.4 |
0.58 |
- 부동산 |
33.9 |
17.7 |
17.5 |
7.1 |
5.1 |
14.9 |
9.0 |
0.6 |
0.03 |
- 전문‧과학‧기술 |
103.1 |
1.4 |
1.8 |
2.7 |
2.9 |
2.0 |
- 0.2 |
5.9 |
0.59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2.8 |
- 3.7 |
- 3.3 |
0.8 |
- 1.0 |
1.1 |
1.4 |
1.8 |
0.07 |
- 교육 |
122.6 |
- 4.8 |
- 5.3 |
1.8 |
0.3 |
1.9 |
1.6 |
3.2 |
0.34 |
- 보건‧사회복지 |
102.0 |
1.5 |
- 1.4 |
3.8 |
0.7 |
4.5 |
4.9 |
5.1 |
0.64 |
- 예술‧스포츠‧여가 |
29.7 |
- 35.9 |
- 38.4 |
5.7 |
- 18.0 |
13.2 |
5.3 |
22.1 |
0.39 |
- 협회‧수리‧개인 |
35.5 |
- 8.7 |
- 12.4 |
0.1 |
- 2.8 |
- 1.2 |
- 1.5 |
5.7 |
0.17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3.9 |
5.4 |
2.0 |
2.4 |
- 2.6 |
6.1 |
5.2 |
0.7 |
0.01 |
< 경기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경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7% 증가하였으나, 전분기(4.3%)보다 2.6%p 감소
◦ 승용차‧연료소매점(- 6.6%), 대형마트(- 3.8%)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8.4%), 백화점(21.9%)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7.5 |
110.3 |
110.0 |
104.1 |
112.1 |
111.4 |
112.2 |
- |
전년동기비 |
- |
1.6 |
0.7 |
2.3 |
4.4 |
- 1.0 |
4.3 |
1.7 |
- |
- 백 화 점 |
67.3 |
- 12.8 |
- 6.8 |
21.5 |
23.2 |
17.7 |
23.7 |
21.9 |
1.50 |
- 대형마트 |
116.2 |
3.9 |
5.5 |
- 0.3 |
1.0 |
2.1 |
- 0.4 |
- 3.8 |
- 0.42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82.1 |
4.2 |
- 1.7 |
- 3.6 |
- 5.2 |
- 7.5 |
- 1.5 |
0.1 |
0.02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66.3 |
8.8 |
7.2 |
1.0 |
12.5 |
- 0.2 |
0.6 |
- 6.6 |
- 2.08 |
- 전문소매점 |
367.9 |
- 3.7 |
- 3.4 |
4.5 |
1.9 |
- 1.9 |
10.4 |
8.4 |
2.70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9. 강원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강원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7.0%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4.4%)보다 2.6%p 확대
◦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21.2%), 예술·스포츠·여가(28.7%), 도소매(6.6%), 보건·사회복지(4.5%), 부동산(15.7%) 등 |
‧감소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0.9%)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1.7 |
103.3 |
105.8 |
97.6 |
106.8 |
108.1 |
110.5 |
- |
전년동기비 |
- |
- 5.0 |
- 5.1 |
4.0 |
- 0.8 |
5.2 |
4.4 |
7.0 |
- |
- 도소매 |
174.9 |
- 1.7 |
- 2.9 |
3.0 |
1.5 |
- 0.2 |
3.9 |
6.6 |
1.13 |
- 운수‧창고 |
71.3 |
- 12.6 |
- 12.2 |
1.5 |
- 4.7 |
3.6 |
0.6 |
6.3 |
0.43 |
- 숙박‧음식점 |
107.5 |
- 20.4 |
- 27.2 |
0.9 |
- 16.2 |
2.1 |
- 1.2 |
21.2 |
1.68 |
- 정보통신 |
54.7 |
1.3 |
2.8 |
3.8 |
1.5 |
3.9 |
5.7 |
4.3 |
0.25 |
- 금융‧보험 |
70.6 |
16.7 |
23.8 |
7.9 |
17.1 |
6.1 |
5.9 |
3.4 |
0.32 |
- 부동산 |
20.6 |
12.8 |
13.0 |
9.6 |
1.2 |
9.7 |
11.6 |
15.7 |
0.45 |
- 전문‧과학‧기술 |
33.1 |
2.0 |
2.4 |
6.7 |
0.7 |
13.6 |
6.0 |
6.0 |
0.22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0.3 |
- 3.0 |
- 0.5 |
3.3 |
- 0.5 |
4.2 |
3.6 |
5.8 |
0.31 |
- 교육 |
165.7 |
- 3.3 |
- 4.4 |
1.3 |
0.2 |
2.7 |
0.3 |
2.0 |
0.30 |
- 보건‧사회복지 |
117.4 |
1.7 |
0.0 |
2.4 |
0.4 |
2.0 |
2.9 |
4.5 |
0.66 |
- 예술‧스포츠‧여가 |
74.3 |
- 38.4 |
- 33.3 |
25.7 |
- 20.1 |
55.2 |
46.4 |
28.7 |
1.27 |
- 협회‧수리‧개인 |
40.7 |
- 8.5 |
- 9.7 |
- 0.9 |
- 3.0 |
1.2 |
- 2.2 |
0.0 |
0.00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8.8 |
7.1 |
4.2 |
3.5 |
- 0.1 |
9.0 |
5.8 |
- 0.9 |
- 0.02 |
< 강원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강원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9.3% 증가하였으며,
전분기(4.7%)보다 4.6%p 확대
◦ 전문소매점(18.8%), 승용차‧연료소매점(7.1%) 등에서 모두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7 |
103.7 |
109.0 |
99.1 |
109.8 |
113.7 |
113.3 |
- |
전년동기비 |
- |
- 0.4 |
- 5.3 |
3.1 |
1.1 |
- 2.5 |
4.7 |
9.3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84.2 |
3.6 |
6.8 |
2.7 |
4.7 |
4.4 |
0.7 |
1.2 |
0.1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240.0 |
5.0 |
1.3 |
- 3.5 |
- 7.7 |
- 10.3 |
1.7 |
2.5 |
0.62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94.7 |
5.3 |
- 4.2 |
4.8 |
6.2 |
3.1 |
3.4 |
7.1 |
2.42 |
- 전문소매점 |
363.1 |
- 9.2 |
- 12.5 |
6.7 |
2.8 |
- 3.4 |
10.1 |
18.8 |
5.85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0. 충북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충북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5.3%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3.0%)보다 2.3%p 확대
◦ 숙박·음식점, 도소매, 운수·창고, 교육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7.8%), 도소매(4.3%), 운수·창고(8.8%), 교육(4.1%), 금융·보험(5.8%) 등 |
‧감소 : |
-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0 |
107.4 |
108.3 |
102.1 |
109.6 |
108.2 |
113.1 |
- |
전년동기비 |
- |
- 3.2 |
- 3.5 |
3.1 |
0.1 |
3.7 |
3.0 |
5.3 |
- |
- 도소매 |
190.3 |
- 1.6 |
- 1.2 |
3.3 |
3.1 |
1.6 |
4.3 |
4.3 |
0.76 |
- 운수‧창고 |
85.9 |
- 14.7 |
- 16.4 |
1.5 |
- 8.0 |
3.4 |
1.5 |
8.8 |
0.66 |
- 숙박‧음식점 |
81.4 |
- 16.2 |
- 18.9 |
1.3 |
- 12.4 |
- 0.3 |
- 0.4 |
17.8 |
1.16 |
- 정보통신 |
48.4 |
- 0.7 |
1.8 |
4.7 |
1.9 |
6.5 |
6.7 |
3.8 |
0.19 |
- 금융‧보험 |
76.6 |
5.9 |
5.2 |
6.5 |
8.2 |
6.3 |
5.5 |
5.8 |
0.54 |
- 부동산 |
20.0 |
14.0 |
7.8 |
9.5 |
9.8 |
5.2 |
15.8 |
7.6 |
0.19 |
- 전문‧과학‧기술 |
48.4 |
- 0.1 |
2.1 |
0.4 |
0.5 |
4.1 |
- 5.9 |
1.6 |
0.08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7.9 |
- 4.7 |
- 4.0 |
1.3 |
- 1.6 |
1.2 |
5.0 |
0.9 |
0.05 |
- 교육 |
162.6 |
- 2.2 |
- 1.2 |
2.7 |
- 0.1 |
5.1 |
1.4 |
4.1 |
0.62 |
- 보건‧사회복지 |
126.0 |
1.2 |
- 1.6 |
2.1 |
- 0.1 |
1.9 |
3.0 |
3.5 |
0.54 |
- 예술‧스포츠‧여가 |
29.8 |
- 20.1 |
- 19.4 |
4.6 |
- 6.5 |
12.7 |
1.7 |
8.9 |
0.19 |
- 협회‧수리‧개인 |
42.6 |
- 9.0 |
- 8.5 |
4.6 |
1.5 |
6.2 |
3.0 |
6.9 |
0.29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30.3 |
4.8 |
7.9 |
4.4 |
3.4 |
9.4 |
4.2 |
0.6 |
0.02 |
< 충북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충북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3.9% 증가하였으나, 전분기(4.1%)보다 0.2%p 축소
◦ 슈퍼·잡화·편의점(- 3.0%), 대형마트(- 6.3%)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14.1%), 승용차‧연료소매점(1.0%)에서 판매가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2.4 |
105.4 |
104.9 |
100.1 |
105.1 |
104.7 |
109.5 |
- |
전년동기비 |
- |
0.4 |
- 2.0 |
2.4 |
4.4 |
- 2.2 |
4.1 |
3.9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71.8 |
- 2.2 |
- 0.3 |
- 4.2 |
- 1.4 |
- 4.0 |
- 5.5 |
- 6.3 |
- 0.37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96.5 |
4.7 |
0.3 |
- 3.4 |
- 4.1 |
- 6.5 |
- 0.2 |
- 3.0 |
- 0.67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28.4 |
6.0 |
- 0.1 |
3.5 |
10.9 |
0.1 |
3.1 |
1.0 |
0.41 |
- 전문소매점 |
367.7 |
- 7.2 |
- 4.9 |
6.2 |
3.5 |
- 2.8 |
10.8 |
14.1 |
4.19 |
* ’15.4/4분기부터 백화점 수가 3개 미만으로 미공표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1. 충남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충남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4%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4.0%)보다 0.4%p 확대
◦ 숙박·음식점, 금융·보험, 운수·창고,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7.0%), 금융·보험(7.9%), 운수·창고(7.7%), 보건·사회복지(3.3%), 도소매(2.3%) 등 |
‧감소 : |
교육(- 1.5%), 수도·하수·폐기물처리(- 0.5%)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4.7 |
107.6 |
108.7 |
103.0 |
109.3 |
110.3 |
112.3 |
- |
전년동기비 |
- |
- 3.2 |
- 3.2 |
3.8 |
1.4 |
5.7 |
4.0 |
4.4 |
- |
- 도소매 |
190.9 |
- 0.8 |
- 1.0 |
2.4 |
3.1 |
1.0 |
3.3 |
2.3 |
0.43 |
- 운수‧창고 |
89.2 |
- 17.5 |
- 17.4 |
6.2 |
- 1.2 |
12.5 |
6.0 |
7.7 |
0.58 |
- 숙박‧음식점 |
82.3 |
- 16.8 |
- 18.5 |
2.2 |
- 10.1 |
2.3 |
- 0.6 |
17.0 |
1.03 |
- 정보통신 |
41.7 |
- 0.4 |
3.0 |
6.3 |
2.9 |
9.6 |
6.6 |
6.4 |
0.28 |
- 금융‧보험 |
69.0 |
8.4 |
9.6 |
6.6 |
8.4 |
5.4 |
4.8 |
7.9 |
0.71 |
- 부동산 |
22.2 |
13.3 |
18.0 |
11.1 |
5.4 |
16.1 |
16.3 |
6.9 |
0.21 |
- 전문‧과학‧기술 |
40.4 |
0.9 |
- 1.0 |
6.9 |
1.8 |
18.1 |
0.8 |
4.7 |
0.22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3.2 |
- 6.1 |
- 9.4 |
2.6 |
- 0.9 |
3.2 |
6.6 |
1.6 |
0.07 |
- 교육 |
192.1 |
- 2.5 |
- 1.0 |
- 0.2 |
- 1.2 |
3.9 |
- 1.8 |
- 1.5 |
- 0.29 |
- 보건‧사회복지 |
124.3 |
0.2 |
- 3.1 |
2.2 |
0.2 |
2.0 |
3.2 |
3.3 |
0.50 |
- 예술‧스포츠‧여가 |
23.9 |
- 23.0 |
- 24.0 |
10.4 |
- 9.8 |
17.2 |
13.2 |
19.3 |
0.34 |
- 협회‧수리‧개인 |
43.0 |
- 6.7 |
- 7.7 |
3.6 |
- 0.2 |
4.4 |
2.7 |
7.3 |
0.28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7.9 |
7.2 |
18.6 |
18.8 |
29.9 |
22.0 |
29.8 |
- 0.5 |
- 0.02 |
< 충남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충남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6% 증가하였으며, 전분기(2.1%)보다 0.5%p 축소
◦ 슈퍼·잡화·편의점(- 2.8%), 대형마트(- 2.1%)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6.3%)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7.5 |
109.2 |
108.4 |
103.0 |
110.1 |
109.4 |
111.0 |
- |
전년동기비 |
- |
1.7 |
- 1.9 |
0.8 |
3.8 |
- 3.8 |
2.1 |
1.6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77.4 |
- 0.5 |
- 0.9 |
- 0.5 |
0.8 |
- 1.1 |
0.3 |
- 2.1 |
- 0.14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214.4 |
5.8 |
1.3 |
- 5.1 |
- 6.0 |
- 9.6 |
- 1.9 |
- 2.8 |
- 0.63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28.5 |
6.8 |
1.0 |
2.1 |
7.6 |
0.1 |
1.6 |
- 0.3 |
- 0.12 |
- 전문소매점 |
344.1 |
- 4.6 |
- 5.7 |
3.3 |
6.9 |
- 5.3 |
6.3 |
6.3 |
1.86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2. 전북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전북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7%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8%)보다 1.9%p 확대
◦ 숙박·음식점, 도소매,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8.9%), 도소매(4.3%), 금융·보험(4.5%), 보건·사회복지(3.3%), 운수·창고(6.5%) 등 |
‧감소 : |
교육(- 1.0%)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3.5 |
104.7 |
106.2 |
100.9 |
107.1 |
107.2 |
109.6 |
- |
전년동기비 |
- |
- 1.3 |
- 3.1 |
2.6 |
0.4 |
2.4 |
2.8 |
4.7 |
- |
- 도소매 |
191.7 |
- 1.0 |
- 2.3 |
2.6 |
1.7 |
0.2 |
4.6 |
4.3 |
0.79 |
- 운수‧창고 |
77.7 |
- 13.4 |
- 15.7 |
1.2 |
- 3.2 |
0.9 |
0.5 |
6.5 |
0.42 |
- 숙박‧음식점 |
75.7 |
- 19.0 |
- 26.4 |
0.8 |
- 15.9 |
1.7 |
- 1.2 |
18.9 |
0.93 |
- 정보통신 |
40.5 |
0.0 |
2.2 |
2.9 |
1.2 |
3.1 |
4.2 |
3.2 |
0.14 |
- 금융‧보험 |
106.2 |
14.2 |
14.8 |
5.5 |
10.3 |
4.6 |
2.8 |
4.5 |
0.63 |
- 부동산 |
21.0 |
10.4 |
7.1 |
4.5 |
0.7 |
4.3 |
6.1 |
7.2 |
0.19 |
- 전문‧과학‧기술 |
43.2 |
1.4 |
1.2 |
5.4 |
2.5 |
5.8 |
7.5 |
5.8 |
0.24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38.4 |
- 8.5 |
- 13.0 |
2.8 |
- 0.6 |
5.1 |
1.2 |
5.1 |
0.18 |
- 교육 |
160.8 |
- 2.8 |
- 3.1 |
0.2 |
- 0.4 |
1.2 |
0.8 |
- 1.0 |
- 0.15 |
- 보건‧사회복지 |
151.2 |
1.4 |
- 1.2 |
1.9 |
- 0.2 |
1.1 |
3.0 |
3.3 |
0.58 |
- 예술‧스포츠‧여가 |
24.6 |
- 6.4 |
- 7.3 |
7.7 |
- 6.2 |
14.3 |
6.8 |
15.4 |
0.36 |
- 협회‧수리‧개인 |
45.1 |
- 7.5 |
- 12.8 |
2.1 |
- 2.3 |
1.9 |
2.5 |
6.5 |
0.25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4.0 |
1.4 |
0.0 |
2.1 |
- 0.5 |
4.9 |
- 1.1 |
4.4 |
0.11 |
< 전북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전북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3.7% 증가하였으며, 전분기(3.8%)보다 0.1%p 축소
◦ 대형마트(- 11.2%), 승용차‧연료소매점(- 1.2%)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9.8%), 슈퍼·잡화·편의점(3.8%)에서 판매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2.3 |
102.0 |
103.1 |
97.0 |
104.2 |
105.5 |
105.8 |
- |
전년동기비 |
- |
0.8 |
- 3.0 |
0.8 |
1.3 |
- 5.1 |
3.8 |
3.7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77.4 |
- 2.0 |
1.2 |
- 4.8 |
- 1.7 |
- 0.9 |
- 5.6 |
- 11.2 |
- 0.69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177.0 |
2.1 |
0.6 |
- 2.0 |
- 5.6 |
- 6.6 |
0.5 |
3.8 |
0.66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03.8 |
5.0 |
- 0.2 |
0.2 |
7.1 |
- 5.3 |
1.5 |
- 1.2 |
- 0.42 |
- 전문소매점 |
416.7 |
- 1.7 |
- 7.0 |
2.6 |
- 1.0 |
- 5.9 |
8.1 |
9.8 |
3.76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3. 전남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전남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9%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3%)보다 2.6%p 확대
◦ 숙박·음식점, 도소매,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9.5%), 도소매(4.1%), 운수·창고(5.6%), 금융·보험(4.9%), 보건·사회복지(3.0%) 등 |
‧감소 : |
전문·과학·기술(- 0.3%)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6 |
106.7 |
108.3 |
103.4 |
109.1 |
108.9 |
111.9 |
- |
전년동기비 |
- |
- 1.9 |
- 3.6 |
2.6 |
- 0.4 |
3.5 |
2.3 |
4.9 |
- |
- 도소매 |
182.5 |
0.5 |
- 0.3 |
2.5 |
1.7 |
0.8 |
3.3 |
4.1 |
0.70 |
- 운수‧창고 |
110.3 |
- 14.8 |
- 14.7 |
1.8 |
- 4.1 |
3.4 |
2.0 |
5.6 |
0.55 |
- 숙박‧음식점 |
75.6 |
- 11.7 |
- 19.7 |
1.6 |
- 15.8 |
1.9 |
1.7 |
19.5 |
1.20 |
- 정보통신 |
46.4 |
1.9 |
3.6 |
3.8 |
4.0 |
4.4 |
4.3 |
2.5 |
0.13 |
- 금융‧보험 |
80.5 |
11.8 |
12.6 |
5.4 |
9.4 |
4.9 |
3.0 |
4.9 |
0.52 |
- 부동산 |
18.2 |
11.2 |
8.7 |
3.3 |
3.1 |
3.6 |
0.4 |
6.2 |
0.14 |
- 전문‧과학‧기술 |
36.0 |
3.1 |
2.0 |
1.5 |
0.8 |
5.5 |
- 1.0 |
- 0.3 |
- 0.01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8.8 |
- 1.9 |
- 4.4 |
1.5 |
- 1.7 |
3.9 |
1.7 |
2.5 |
0.11 |
- 교육 |
155.2 |
- 1.7 |
- 2.2 |
1.4 |
0.6 |
4.0 |
- 0.4 |
1.5 |
0.20 |
- 보건‧사회복지 |
150.0 |
0.8 |
- 1.8 |
1.8 |
- 0.4 |
1.7 |
3.2 |
3.0 |
0.51 |
- 예술‧스포츠‧여가 |
28.6 |
- 13.9 |
- 16.8 |
3.5 |
- 5.6 |
7.2 |
4.2 |
6.6 |
0.17 |
- 협회‧수리‧개인 |
40.3 |
- 8.7 |
- 14.7 |
- 0.3 |
- 4.3 |
- 0.5 |
- 0.8 |
4.4 |
0.16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7.9 |
- 0.8 |
- 3.6 |
12.0 |
- 1.6 |
27.7 |
10.3 |
13.7 |
0.45 |
< 전남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전남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7.5% 증가하였으며, 전분기(4.0%)보다 3.5%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12.9%), 전문소매점(6.5%) 등에서 모두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8 |
104.8 |
109.9 |
106.8 |
110.7 |
109.3 |
112.7 |
- |
전년동기비 |
- |
4.3 |
- 0.2 |
3.9 |
4.1 |
0.0 |
4.0 |
7.5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68.8 |
1.7 |
3.9 |
- 0.2 |
0.7 |
0.2 |
- 1.7 |
0.1 |
0.01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205.2 |
9.9 |
5.8 |
- 3.0 |
- 4.0 |
- 9.2 |
- 0.1 |
1.7 |
0.37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24.4 |
9.8 |
3.1 |
12.3 |
16.3 |
13.9 |
6.4 |
12.9 |
4.89 |
- 전문소매점 |
392.6 |
- 3.2 |
- 7.0 |
0.0 |
- 2.3 |
- 8.5 |
5.1 |
6.5 |
2.21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4. 경북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경북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7%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8%)보다 1.9%p 확대
◦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도소매,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16.4%), 운수·창고(9.5%), 도소매(3.6%), 보건·사회복지(3.5%), 교육(3.0%) 등 |
‧감소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2.1%)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0.5 |
102.8 |
104.1 |
99.5 |
104.8 |
104.3 |
107.6 |
- |
전년동기비 |
- |
- 4.5 |
- 4.8 |
3.6 |
1.6 |
5.1 |
2.8 |
4.7 |
- |
- 도소매 |
187.9 |
- 1.6 |
- 1.1 |
3.3 |
2.9 |
3.3 |
3.4 |
3.6 |
0.66 |
- 운수‧창고 |
98.0 |
- 14.3 |
- 14.0 |
7.2 |
0.1 |
11.5 |
7.3 |
9.5 |
0.82 |
- 숙박‧음식점 |
79.5 |
- 19.2 |
- 20.7 |
5.6 |
- 0.1 |
7.1 |
- 0.8 |
16.4 |
1.07 |
- 정보통신 |
40.9 |
0.2 |
2.0 |
3.7 |
1.0 |
3.8 |
6.2 |
3.9 |
0.18 |
- 금융‧보험 |
76.7 |
7.3 |
7.3 |
3.1 |
7.7 |
3.5 |
- 0.3 |
1.7 |
0.16 |
- 부동산 |
18.8 |
5.5 |
10.8 |
10.1 |
9.6 |
12.5 |
12.0 |
6.5 |
0.15 |
- 전문‧과학‧기술 |
46.3 |
1.6 |
- 0.9 |
4.9 |
0.5 |
11.1 |
3.9 |
3.6 |
0.18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3.5 |
- 10.4 |
- 12.1 |
1.9 |
- 2.2 |
4.1 |
5.5 |
0.9 |
0.04 |
- 교육 |
176.0 |
- 4.9 |
- 4.4 |
2.0 |
0.1 |
3.8 |
1.5 |
3.0 |
0.48 |
- 보건‧사회복지 |
125.8 |
0.4 |
- 2.0 |
2.2 |
0.1 |
2.6 |
2.8 |
3.5 |
0.51 |
- 예술‧스포츠‧여가 |
31.0 |
- 16.8 |
- 14.7 |
7.2 |
2.7 |
13.3 |
2.7 |
9.5 |
0.27 |
- 협회‧수리‧개인 |
40.7 |
- 10.9 |
- 11.3 |
2.6 |
2.4 |
3.0 |
- 1.2 |
6.0 |
0.23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34.9 |
3.3 |
- 0.9 |
- 0.6 |
- 0.2 |
0.6 |
- 0.7 |
- 2.1 |
- 0.07 |
< 경북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경북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3.4% 증가하였으며, 전분기(2.2%)보다 1.2%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 1.8%), 대형마트(- 1.1%)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11.9%) 등에서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99.8 |
101.5 |
101.5 |
96.9 |
102.4 |
101.8 |
105.0 |
- |
전년동기비 |
- |
0.5 |
- 2.5 |
1.7 |
2.2 |
- 0.7 |
2.2 |
3.4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80.2 |
- 2.4 |
0.7 |
1.6 |
1.6 |
2.1 |
3.8 |
- 1.1 |
- 0.07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208.7 |
4.5 |
0.0 |
- 2.8 |
- 6.9 |
- 7.6 |
0.8 |
2.9 |
0.64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45.9 |
4.6 |
- 0.3 |
2.5 |
8.9 |
3.1 |
0.6 |
- 1.8 |
- 0.75 |
- 전문소매점 |
350.2 |
- 5.8 |
- 7.4 |
4.1 |
0.9 |
- 1.1 |
4.3 |
11.9 |
3.55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5. 경남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경남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4%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2%)보다 2.2%p 확대
◦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도소매,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운수·창고(10.0%), 숙박·음식점(15.6%), 도소매(3.1%), 보건·사회복지(3.2%), 교육(3.2%) 등 |
‧감소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3.0%)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2.4 |
104.7 |
105.0 |
100.5 |
105.1 |
104.9 |
109.3 |
- |
전년동기비 |
- |
- 2.3 |
- 2.1 |
2.5 |
0.1 |
3.2 |
2.2 |
4.4 |
- |
- 도소매 |
200.9 |
- 1.7 |
- 0.9 |
2.9 |
2.0 |
2.5 |
4.0 |
3.1 |
0.59 |
- 운수‧창고 |
94.8 |
- 8.5 |
- 7.8 |
6.4 |
- 0.3 |
11.6 |
4.3 |
10.0 |
0.91 |
- 숙박‧음식점 |
79.8 |
- 16.3 |
- 20.0 |
1.2 |
- 12.4 |
2.6 |
- 1.6 |
15.6 |
0.88 |
- 정보통신 |
40.4 |
- 0.5 |
0.7 |
3.1 |
1.1 |
3.9 |
4.2 |
3.3 |
0.14 |
- 금융‧보험 |
103.3 |
5.5 |
8.0 |
2.2 |
4.8 |
1.7 |
0.8 |
2.1 |
0.25 |
- 부동산 |
26.4 |
12.1 |
17.4 |
6.8 |
1.6 |
12.0 |
7.4 |
6.5 |
0.20 |
- 전문‧과학‧기술 |
49.3 |
- 0.2 |
- 1.4 |
2.0 |
3.2 |
3.4 |
1.4 |
0.1 |
0.00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2.6 |
- 5.8 |
- 5.1 |
2.4 |
0.0 |
3.5 |
1.9 |
4.0 |
0.15 |
- 교육 |
139.9 |
- 1.4 |
- 0.4 |
2.1 |
0.8 |
3.5 |
0.8 |
3.2 |
0.41 |
- 보건‧사회복지 |
136.7 |
1.2 |
0.4 |
1.8 |
- 0.2 |
1.3 |
3.1 |
3.2 |
0.55 |
- 예술‧스포츠‧여가 |
24.3 |
- 23.4 |
- 25.6 |
0.6 |
- 13.5 |
3.9 |
- 0.7 |
13.5 |
0.25 |
- 협회‧수리‧개인 |
39.9 |
- 8.5 |
- 11.1 |
- 1.4 |
- 4.8 |
- 1.1 |
- 3.2 |
3.5 |
0.13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1.7 |
11.8 |
9.3 |
- 0.9 |
2.2 |
- 2.2 |
0.0 |
- 3.0 |
- 0.08 |
< 경남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경남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0.0% 보합
◦ 전문소매점(10.5%), 백화점(22.7%) 등에서 증가하였으며, 승용차‧연료소매점(- 7.6%), 슈퍼·잡화·편의점(- 1.4%) 등에서 감소하여 보합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2.2 |
106.8 |
102.5 |
99.6 |
101.7 |
101.7 |
106.8 |
- |
전년동기비 |
- |
2.1 |
0.7 |
0.3 |
3.9 |
- 3.3 |
0.7 |
0.0 |
- |
- 백 화 점 |
42.5 |
- 18.2 |
- 21.0 |
11.0 |
8.5 |
7.4 |
3.5 |
22.7 |
0.77 |
- 대형마트 |
76.8 |
- 0.2 |
0.2 |
- 1.7 |
- 0.8 |
- 0.2 |
- 3.0 |
- 2.7 |
- 0.17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슈퍼‧잡화‧편의점 |
203.2 |
0.9 |
- 2.8 |
- 5.0 |
- 9.1 |
- 8.7 |
- 1.0 |
- 1.4 |
- 0.27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46.5 |
12.6 |
11.0 |
0.2 |
15.2 |
- 1.3 |
- 3.0 |
- 7.6 |
- 3.31 |
- 전문소매점 |
331.0 |
- 6.0 |
- 7.4 |
3.4 |
- 0.2 |
- 4.4 |
8.1 |
10.5 |
2.94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6. 제주
서비스업생산 |
□ 2021년 4/4분기 제주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8.6%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8%)보다 5.8%p 확대
◦ 숙박·음식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도소매, 운수·창고 등에서 생산 증가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증가 : |
숙박·음식점(20.8%),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24.3%), 도소매(6.4%), 운수·창고(9.0%), 정보통신(6.0%) 등 |
‧감소 : |
- |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5.7 |
106.4 |
108.4 |
100.9 |
106.9 |
110.0 |
115.6 |
- |
전년동기비 |
- |
- 10.4 |
- 9.5 |
2.6 |
- 6.3 |
5.3 |
2.8 |
8.6 |
- |
- 도소매 |
189.6 |
- 13.6 |
- 16.8 |
3.1 |
- 3.5 |
7.3 |
2.2 |
6.4 |
1.12 |
- 운수‧창고 |
82.2 |
- 19.6 |
- 20.7 |
1.3 |
- 15.6 |
12.3 |
2.4 |
9.0 |
0.71 |
- 숙박‧음식점 |
135.7 |
- 21.2 |
- 16.3 |
5.0 |
- 10.7 |
7.0 |
0.2 |
20.8 |
2.38 |
- 정보통신 |
117.1 |
- 12.0 |
- 3.6 |
- 5.8 |
- 19.8 |
- 11.6 |
7.4 |
6.0 |
0.70 |
- 금융‧보험 |
76.5 |
7.7 |
9.6 |
4.7 |
6.9 |
4.3 |
3.3 |
4.2 |
0.50 |
- 부동산 |
16.8 |
- 2.9 |
- 6.8 |
10.8 |
- 3.3 |
17.1 |
16.6 |
15.9 |
0.32 |
- 전문‧과학‧기술 |
36.7 |
- 0.7 |
- 2.0 |
2.4 |
- 1.1 |
1.1 |
2.4 |
6.5 |
0.26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8.1 |
- 11.0 |
- 5.1 |
17.0 |
2.2 |
42.3 |
3.2 |
24.3 |
1.44 |
- 교육 |
105.4 |
- 5.8 |
- 5.8 |
- 0.6 |
- 2.7 |
1.8 |
- 2.2 |
0.8 |
0.08 |
- 보건‧사회복지 |
92.5 |
0.9 |
- 1.5 |
1.9 |
- 0.7 |
1.8 |
2.8 |
3.8 |
0.41 |
- 예술‧스포츠‧여가 |
49.5 |
- 37.8 |
- 38.0 |
10.0 |
- 10.8 |
22.8 |
6.8 |
21.0 |
0.57 |
- 협회‧수리‧개인 |
31.4 |
- 6.6 |
- 9.4 |
1.5 |
- 5.7 |
1.9 |
2.2 |
7.0 |
0.21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8.6 |
- 5.2 |
- 6.8 |
- 0.2 |
- 3.1 |
4.7 |
- 3.7 |
1.4 |
0.01 |
< 제주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판매 |
□ 2021년 4/4분기 제주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1.8% 증가하였으며, 전분기(4.9%)보다 6.9%p 확대
◦ 면세점(49.3%), 전문소매점(9.1%) 등에서 모두 증가
(2015=100, 불변, %, %p)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기여도 |
|||||||||
총 지 수 |
1000.0 |
101.7 |
98.7 |
107.5 |
99.5 |
114.3 |
105.8 |
110.3 |
- |
전년동기비 |
- |
- 26.8 |
- 32.7 |
5.7 |
- 8.1 |
15.7 |
4.9 |
11.8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80.9 |
- 1.3 |
0.3 |
1.0 |
3.7 |
5.4 |
- 4.7 |
0.0 |
0.0 |
- 면세점 |
195.0 |
- 70.6 |
- 73.4 |
28.3 |
- 35.6 |
123.4 |
51.9 |
49.3 |
6.74 |
- 슈퍼‧잡화‧편의점 |
188.3 |
1.3 |
- 3.2 |
- 2.2 |
- 8.1 |
- 2.5 |
- 1.5 |
3.4 |
0.78 |
- 승용차‧연료소매점 |
220.0 |
4.3 |
- 4.3 |
6.0 |
4.8 |
11.1 |
1.5 |
6.2 |
1.74 |
- 전문소매점 |
315.9 |
- 17.9 |
- 24.6 |
2.6 |
- 2.6 |
3.6 |
0.0 |
9.1 |
2.5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17. 세종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
□ (서비스업생산) 2021년 4/4분기 세종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부동산에서 14.5% 증가
□ (소매판매) 2021년 4/4분기 세종 소매판매는 대형마트와 승용차·연료소매점에서 전년동분기대비 각각 0.6%, 0.7% 감소
(전년동분기비, %)
가중치 |
’20년 |
4/4 |
’21년P |
1/4 |
2/4 |
3/4 |
4/4P |
||
서비스업생산 |
- 부동산 |
66.8 |
25.9 |
33.2 |
5.9 |
6.9 |
12.5 |
- 9.9 |
14.5 |
소매판매 |
- 대형마트 |
155.0 |
11.6 |
15.2 |
6.1 |
15.9 |
8.5 |
2.2 |
- 0.6 |
- 승용차‧연료소매점 |
338.3 |
20.4 |
16.5 |
7.1 |
20.5 |
5.3 |
6.6 |
- 0.7 |
* 세종시 인구증가(전년동분기대비 4.7%)로 증가세를 보임
< 서비스업생산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세종특별자치시를 충청남도에서 신규 분리(2018년 1/4분기)하였으며, 빠른 도시성장과 표본조사의 한계를 고려하여 일부 업종만 공표
※ 사업체 폐업 등으로 보건‧사회복지 2019.1/4분기부터 미공표
2021년 연간 시도별 동향
1. 서울
□ (서비스업생산) 서울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10.8%), 운수·창고(13.9%), 도소매(3.8%), 정보통신(2.9%), 보건·사회복지(3.4%) 등 모든 업종에서 늘어 전년대비 5.9% 증가
□ (소매판매) 서울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5.2%), 대형마트(- 5.1%)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23.2%), 면세점(19.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6.4% 증가
2. 부산
□ (서비스업생산) 부산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3.7%)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운수·창고(9.8%), 도소매(4.3%), 금융·보험(5.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1% 증가
□ (소매판매) 부산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4.6%), 면세점(- 37.0%)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11.1%), 백화점(19.1%) 등에서 늘어 전년대 6.0% 증가
3. 대구
□ (서비스업생산) 대구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 5.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7.5%), 도소매(3.5%), 보건·사회복지(2.8%)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2% 증가
□ (소매판매) 대구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5.9%), 승용차·연료소매점(- 1.9%)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19.3%), 전문소매점(6.3%)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8% 증가
4. 인천
□ (서비스업생산) 인천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 1.7%)에서 감소하였으나, 부동산(9.3%), 운수·창고(3.4%)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0% 증가
□ (소매판매) 인천 소매판매는 승용차·연료소매점(1.9%), 전문소매점(2.6%) 등에서 늘었으나, 면세점(- 74.1%), 슈퍼·잡화·편의점(- 4.7%)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1.0% 감소
5. 광주
□ (서비스업생산) 광주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1.9%)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6.1%), 도소매(2.8%), 교육(3.9%)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9% 증가
□ (소매판매) 광주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6.5%), 승용차·연료소매점(- 2.4%) 등에서 줄었으나, 전문소매점(5.6%), 백화점(18.4%)에서 증가하여 전년대비 1.9% 증가
6. 대전
□ (서비스업생산) 대전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 1.2%)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7.7%), 도소매(3.5%), 보건·사회복지(2.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6% 증가
□ (소매판매) 대전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5.0%), 승용차·연료소매점(- 2.3%)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38.5%), 전문소매점(5.6%)에서 증가하여 전년대비 3.9% 증가
7. 울산
□ (서비스업생산) 울산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2.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교육(3.4%), 금융·보험(3.6%), 보건·사회복지(2.4%)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0% 증가
□ (소매판매) 울산 소매판매는 백화점(9.9%), 전문소매점(1.4%)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슈퍼·잡화·편의점(- 8.1%), 승용차‧연료소매점(- 1.9%)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1.3% 감소
8. 경기
□ (서비스업생산) 경기 서비스업생산은 도소매(3.7%), 운수·창고(10.6%), 정보통신(6.4%), 금융·보험(6.8%), 보건·사회복지(3.8%) 등 모두 업종에서 늘어 전년대비 4.3% 증가
□ (소매판매) 경기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3.6%), 대형마트(- 0.3%) 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4.5%), 백화점(21.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3% 증가
9. 강원
□ (서비스업생산) 강원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0.9%)에서 감소하였으나, 예술·스포츠·여가(25.7%), 금융·보험(7.9%), 도소매(3.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0% 증가
□ (소매판매) 강원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3.5%)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6.7%), 승용차·연료소매점(4.8%) 등에서 증가하여 전년대비 3.1% 증가
10. 충북
□ (서비스업생산) 충북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6.5%), 도소매(3.3%), 교육(2.7%), 보건·사회복지(2.1%), 부동산(9.5%) 등 모든 업종에서 늘어 전년대비 3.1% 증가
□ (소매판매) 충북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3.4%)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6.2%), 승용차‧연료소매점(3.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4% 증가
11. 충남
□ (서비스업생산) 충남 서비스업생산은 교육(- 0.2%)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6.6%), 수도·하수·폐기물처리(18.8%), 운수·창고(6.2%)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8% 증가
□ (소매판매) 충남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5.1%), 대형마트(- 0.5%)에서 감소하였으나, 전문소매점(3.3%), 승용차·연료소매점(2.1%)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0.8% 증가
12. 전북
□ (서비스업생산) 전북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5.5%), 도소매(2.6%), 보건·사회복지(1.9%), 전문·과학·기술(5.4%), 예술·스포츠·여가(7.7%) 등 모든 업종에서 늘어 전년대비 2.6% 증가
□ (소매판매) 전북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2.0%), 대형마트(- 4.8%)에서 줄었으나, 전문소매점(2.6%)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0.8% 증가
13. 전남
□ (서비스업생산) 전남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0.3%)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5.4%), 도소매(2.5%), 수도·하수·폐기물처리(12.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6% 증가
□ (소매판매) 전남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3.0%), 대형마트(- 0.2%) 에서 줄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12.3%)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9% 증가
14. 경북
□ (서비스업생산) 경북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 0.6%)에서 감소하였으나, 운수·창고(7.2%), 도소매(3.3%), 숙박·음식점(5.6%)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6% 증가
□ (소매판매) 경북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2.8%)에서 줄었으나, 전문소매점(4.1%), 승용차·연료소매점(2.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1.7% 증가
15. 경남
□ (서비스업생산) 경남 서비스업생산은 협회·수리·개인(- 1.4%)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운수·창고(6.4%), 도소매(2.9%), 보건·사회복지(1.8%)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5% 증가
□ (소매판매) 경남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5.0%), 대형마트(- 1.7%) 에서 줄었으나, 전문소매점(3.4%), 백화점(11.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0.3% 증가
16. 제주
□ (서비스업생산) 제주 서비스업생산은 정보통신(- 5.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17.0%), 금융·보험(4.7%), 도소매(3.1%)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6% 증가
□ (소매판매) 제주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 2.2%)에서 감소하였으나, 면세점(28.3%), 승용차·연료소매점(6.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5.7% 증가
< 연간 시도별 증감률 >
[전년비, %]
시도 |
서비스업생산 |
소매판매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P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P |
|
전 국 |
1.9 |
2.3 |
1.4 |
- 2.0 |
4.3 |
1.9 |
4.3 |
2.4 |
- 0.2 |
5.5 |
서 울 |
2.7 |
3.6 |
1.7 |
1.2 |
5.9 |
1.8 |
5.6 |
5.2 |
- 8.9 |
6.4 |
부 산 |
1.5 |
1.9 |
0.3 |
- 4.2 |
4.1 |
- 0.3 |
0.9 |
0.2 |
- 4.4 |
6.0 |
대 구 |
1.7 |
1.3 |
0.6 |
- 3.0 |
3.2 |
0.8 |
0.5 |
- 1.0 |
- 3.0 |
2.8 |
인 천 |
2.3 |
2.6 |
1.2 |
- 9.9 |
3.0 |
1.7 |
3.5 |
0.5 |
- 8.4 |
- 1.0 |
광 주 |
1.9 |
2.1 |
1.3 |
- 1.6 |
2.9 |
- 0.2 |
1.3 |
- 1.9 |
- 0.4 |
1.9 |
대 전 |
1.5 |
1.3 |
0.7 |
- 2.5 |
2.6 |
0.9 |
0.1 |
- 1.1 |
0.2 |
3.9 |
울 산 |
- 0.3 |
0.7 |
- 0.3 |
- 3.2 |
2.0 |
- 1.4 |
- 0.5 |
- 0.8 |
- 0.1 |
- 1.3 |
경 기 |
2.5 |
2.6 |
1.7 |
- 1.0 |
4.3 |
0.9 |
2.3 |
- 0.7 |
1.6 |
2.3 |
강 원 |
1.5 |
2.1 |
0.2 |
- 5.0 |
4.0 |
1.5 |
2.7 |
- 0.6 |
- 0.4 |
3.1 |
충 북 |
2.3 |
2.4 |
0.6 |
- 3.2 |
3.1 |
1.0 |
1.4 |
- 2.4 |
0.4 |
2.4 |
충 남 |
2.6 |
1.8 |
1.3 |
- 3.2 |
3.8 |
2.2 |
1.1 |
- 0.5 |
1.7 |
0.8 |
전 북 |
1.4 |
0.5 |
1.1 |
- 1.3 |
2.6 |
- 0.7 |
- 0.3 |
0.5 |
0.8 |
0.8 |
전 남 |
1.2 |
1.9 |
1.7 |
- 1.9 |
2.6 |
- 1.0 |
2.0 |
- 0.8 |
4.3 |
3.9 |
경 북 |
1.6 |
1.0 |
1.0 |
- 4.5 |
3.6 |
- 0.2 |
- 0.5 |
- 1.1 |
0.5 |
1.7 |
경 남 |
1.1 |
1.2 |
0.5 |
- 2.3 |
2.5 |
- 1.2 |
- 0.5 |
0.9 |
2.1 |
0.3 |
제 주 |
4.9 |
2.4 |
2.2 |
- 10.4 |
2.6 |
2.2 |
11.2 |
10.6 |
- 26.8 |
5.7 |
Ⅲ. 통 계 표
□ 16개 시도 총괄지수(불변)44 □ 16개 시도별 서비스업생산지수(불변)46 □ 16개 시도별 소매판매액지수(불변)62 □ 세종특별자치시 서비스업생산지수(불변) 및 소매판매액지수(불변)70 |
Ⅳ. 부 록 |
||
1. 통계작성 개요 73 2. 보도자료에 수록된 업종 및 업태 안내 75 3. 공표일정 77 |
부록 |
1. 통계작성 개요 |
□ 작성목적
○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 시도별 서비스업 부문 경영실태를 파악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립·평가,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GRDP 추계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시도 소매판매액지수) 시도별 소비용 상품의 판매동향을 시의성 있게 파악하여 지역의 소비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 작성범위
○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 17개 시도별, 「한국표준산업분류」의 13개 대분류
※ 세종특별자치시는 부동산업만 공표
※ 사업체 폐업 등으로 보건‧사회복지 2019.1/4분기부터 미공표
○ (시도 소매판매액지수) 17개 시도별,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소매업(G47) 및 자동차판매업(G45)내 6개* 업태별
* 백화점, 대형마트, 면세점,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
(지역 구분이 곤란한 무점포소매는 제외)
※ 세종특별자치시는 대형마트, 승용차·연료소매업만 공표
□ 작성주기: 매분기
□ 표본설계
○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
- 표본틀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결과자료*
* 한국표준산업분류의 13개 대분류에 해당하는 자료(하수처리업 모집단 명부 포함)
- 설계단위 : 시도별 대표업종(시도 구분 가능성 등을 고려 총 133개 대표업종 선정)
- 표본추출 : 약 13,680개 표본(소매업 포함)
○ 시도 소매판매액지수
- 표본틀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결과자료*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도소매업중 소매업(G47)과 자동차판매업(G45, 승용차에 한함)
- 설계단위 : 시도별 대표업종
- 표본추출 : 약 3,880개 표본
□ 가중치
○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부가가치 및 매출액
○ 시도별 천분비로 산정
□ 지수산식 : 기준(2015년)시점 고정 가중평균법(라스파이레스 산식)
○ 작성방법 : 시도 대표업종별 지수를 가중산술평균하여 시도 대분류(업종) 및 업태별 지수 작성
대표업종 지수 |
= |
대표업종 비교시 매출액 |
× |
100 |
대표업종 기준시(2015년) 평균 매출액 |
대분류/업태별 지수 |
= |
∑(대표업종 지수×대표업종 가중치) |
||
∑시도별 대표업종 가중치 |
□ 이용시 참고사항
○ 경상지수 : 비교시 매출액(상품판매액)을 2015년 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작성
불변지수 : 경상지수를 물가디플레이터로 나누어 작성(실질성장 분석에 활용)
○ 백 화 점 : 사업체수가 3개 미만인 시도는 통계 미공표
○ 면 세 점 : 서울, 부산, 인천, 제주 4개 지역만 공표
※ 사업체 연간결산 등 최신자료를 매년 초 보정함에 따라 지수가 수정될 수 있음
부록 |
2. 보도자료에 수록된 업종 및 업태 안내 |
이용자의 이해를 돕고자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의 업종 및 업태를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람.
○ 시도 서비스업생산지수
산업분류명 |
표기명 |
업종사례 |
G. 도매 및 소매업 |
도소매 |
‧자동차 판매, 도매, 소매(대형할인점, 백화점 등) |
H. 운수 및 창고업 |
운수·창고 |
‧육상‧수상‧항공 운송, 여객 및 화물 터미널 운영, 화물운송 중개 등 |
I. 숙박 및 음식점업 |
숙박·음식점 |
‧숙박업 : 호텔, 여관, 휴양콘도 등 ‧음식점업 : 접객시설을 갖추고 조리된 음식을 제공(일반음식점, 주점, 커피숍 등) |
J. 정보통신업 |
정보통신 |
‧출판, 영화상영, 방송, 우편, 유‧무선통신,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등 |
K. 금융 및 보험업 |
금융·보험 |
‧은행 및 저축기관, 신용카드, 할부금융, 보험업, 연금 및 공제업 등 |
L. 부동산업 |
부동산 |
‧부동산중개 및 대리, 부동산 관리, 부동산임대 |
M. 전문, 과학 및 |
전문·과학·기술 |
‧연구개발, 법무, 회계, 광고, 경영컨설팅, 건축기술 및 엔지니어링, 전문디자인 등 |
N.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사업시설의 청소‧방제‧관리, 고용지원, |
P. 교육 서비스업 |
교육 |
‧유치원, 정규교육기관(초‧중‧고, 대학), |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
보건·사회복지 |
‧보건업 : 종합병원, 치과, 의원 등 ‧사회복지서비스업 : 노인거주복지시설, |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 |
예술·스포츠·여가 |
‧공연장 운영, 스포츠센터, 박물관, 경마‧경륜‧경정, 카지노, 복권, 골프장, 스포츠클럽, 유원지 및 테마파크 등 |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
협회·수리·개인 |
‧산업단체, 자동차수리, 가전제품수리, 이미용실, 목욕탕, 세탁소, 예식장 등 |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수도업, 하수처리업, 폐기물 수집운반 및 처리업, 금속원료 재생업 |
○ 시도 소매판매액 지수
소매업태 |
내 용 |
매장면적 |
산업분류 |
백화점 |
다수의 매장으로 구획된 판매시설을 갖추고 각종 상품을 판매하는 종합소매점 |
3,000㎡ 이상 |
47111 |
대형마트 |
대형매장(백화점 제외)을 갖추고 식료품, 의류 등의 각종 유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종합소매점 |
3,000㎡ 이상 |
47112 47119 |
면세점 |
각종 상품을 종합적으로 취급하고 여행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소비세, 주세, 수입품 관세 등)을 면제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점(공항·항만, 시내, 내국인 면세점 등) |
- |
47130 |
슈퍼마켓· 잡화점 및 편의점 |
단일경영체제하에서 음식료품, 각종 생활잡화 등을 함께 판매하는 소매점과 체인계약을 체결 하고 각종 상품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 판매하는 소매점 |
3,000㎡ 미만 |
47121, 47122 47129, 47190 |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
승용차, 차량연료 등을 판매하는 소매점 |
- |
45110 4771, 4772 |
전문소매점 |
일정한 매장을 갖추고 특정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점 |
- |
472~478 * 477은 제외 |
부록 |
3. 공표일정 |
보 도 자 료 명 |
공 표 일 자 |
2021년 1/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
2021년 5월 |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
2021년 8월 |
2021년 3/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
2021년 11월 |
2021년 4/4분기 및 연간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동향 |
2022년 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