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도자료 |
보도일시 |
2021. 12. 08.(수) 12:00 |
|
|
배포일시 |
2021. 12. 08.(수) 08:30 |
|||
담당부서 |
사회통계국 사회통계기획과 |
|||
담 당 자 |
과 장: 강유경 (042- 481- 2233) |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
||||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일 러 두 기 |
||
|
||
□ 최근 우리 사회는 전체 가구 유형 중 1인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다양한 관련 정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이에 통계청에서는 인구·가구, 주거, 고용, 소득·소비·자산, 건강, 복지 등 주요 영역별로 1인가구 관련 통계를 종합‧정리한「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보도를 기획하였습니다. ㅇ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는 각종 국가승인통계에서 1인가구 관련 내용을 발췌하거나 재분류‧가공하여 수록하였습니다. ㅇ 또한, 전체 가구(또는 인구)와 비교‧분석함으로써 1인가구의 삶을 절대적 수준뿐만 아니라 상대적 수준도 함께 조명하였습니다. □ 보도자료에 수록된 수치는 반올림한 것으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
목 차 |
|
|
||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요약] 1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5 Ⅰ. 인구·가구 1. 성·연령대별 1인가구6 2. 1인가구의 지역별 분포7 3.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11 4.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12 5. 1인가구 사유13 6. 1인가구의 어려움14 Ⅱ. 주 거 7. 주거유형15 8. 주거면적16 9. 주거환경 만족도17 10. 주거지원 프로그램 선호도18 11. 마시는 물19 12. 소방시설 보유20 Ⅲ. 고 용 13. 경제활동21 14. 주당 평균 취업시간23 |
Ⅳ. 소득·소비·자산 15. 소득24 16. 소득 분포25 17. 월평균 소비지출26 18. 자산‧부채27 19. 소득 및 소비생활 만족도28 Ⅴ. 건강 20. 의료비29 21. 건강 관리30 22. 유병 기간31 Ⅵ. 복지 23.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32 24.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33 25.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34 26. 선호 장례방법35 27. 1인가구 지원 정책 순위36 Ⅶ. 여가 28. 여가 활용37 29. 하루 평균 여가시간38 30.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39 31. 여가생활 만족도40 Ⅷ. 안전·환경 32.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41 33. 현재 체감 환경42 ▣ 통계표 44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요약)
2020년 기준 1인가구 5가구 중 1가구가 20대 이하임 |
ㅇ ’20년 1인가구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대가 19.1%로 가장 많고, 30대(16.8%), 50대(15.6%)와 60대(15.6%), 40대(13.6%) 등의 순임
ㅇ 여자는 60대 이상 고령층(45.1%)의 비중이 높고, 남자는 30~50대(56.9%)의 비중이 높아, 성별에 따른 1인가구의 연령대가 확연히 다름
ㅇ 1인가구의 사유는 본인의 학업·직장(24.4%), 배우자의 사망(23.4%), 혼자 살고 싶어서(16.2%) 등의 순임
< 1인가구 연령대별 비중(2020) > |
< 1인가구 성‧연령대별 비중(2020) > |
|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 44.0%, 아파트 32.0% 순임 |
ㅇ ‘20년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44.0%), 아파트(32.0%), 연립‧다세대 (11.3%) 등의 순이고, 2가구 중 1가구는 주거면적 40㎡ 이하에서 거주함
ㅇ ’20년 1인가구가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전세자금 대출(32.4%), 월세 보조금(19.5%), 장기 공공임대 주택공급(15.9%) 순임
< 주거유형(2020) > |
< 주거지원 프로그램(2020) > |
|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자료: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2020년 10월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약 6가구(59.6%)가 취업상태임 |
ㅇ ‘20년 10월 취업자인 1인가구는 370만 가구로 59.6%가 취업 중이고, 연령대별로는 50~64세(27.7%), 30대(22.0%), 40대(18.9%) 순으로 비중이 높음
ㅇ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0시간이며, 남자는 41.4시간, 여자는 35.8시간으로 남녀 모두 ‘15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임
< 취업자 비중 > |
< 주당 평균 취업시간 > |
|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2019년 기준 1인가구 연소득은 2,162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36.5% 수준 |
ㅇ ‘19년 1인가구의 연소득은 2,1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하였으며, 전체 가구(5,924만 원)의 36.5% 수준임
ㅇ ’20년 1인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132만 원으로 전체 가구(240만 원) 대비 55.0% 수준이고, 주거‧수도‧광열비 지출이 19.5%로 가장 높음
ㅇ ’20년 1인가구 자산은 1억 7천 6백만 원으로 전체 가구(4억 4천 5백만 원) 대비 39.4%, 부채는 약 2천5백만 원으로 전체 가구(8,256만 원)대비 30.5% 수준임
< 가구 소득 > |
< 가구 월평균 주요 소비지출(2020) > |
|
|
자료: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가계금융복지조사」 |
자료: 통계청,「가계동향조사」 |
- 2 -
2018년 기준 1인가구의 의료비는 95만 5천 원으로 18세 이상 인구의 약 1.4배 수준임 |
ㅇ ’18년 1인가구의 연간 의료비는 95만 5천 원으로 18세 이상 의료비(68만 5천 원) 대비 약 1.4배 수준으로 ’15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음
ㅇ ‘20년 1인가구의 건강관리 실천율은 전체 인구보다 낮으며, 정기 건강검진과 적정수면 실천율은 75% 내외이나, 규칙적 운동 실천율은 39.2%로 낮음
ㅇ ‘20년 조사대상 기간 2주일 동안의 1인가구의 유병률은 38.9%이고, 유병자의 평균 유병일수는 11.3일임
< 연간 의료비 > |
< 건강관리 실천율(2020) > |
|
|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의료패널조사」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2021년 기준 1인가구의 53.2%는 본인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마련함 |
ㅇ ‘21년 기준 1인가구의 53.2%는 본인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마련하고, 정부‧사회단체(31.2%), 자녀‧친척 지원(15.6%) 순임
- 정부‧사회단체의 비중은 1인가구가 31.2%로 전체 인구의 2.3배 수준임
ㅇ ’20년 기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가구는 약 101만 3천여 가구로, 수급대상가구 10가구 중 7가구(69.4%)가 1인가구임
ㅇ ’20년 기준 1인가구 지원 정책 1순위는 주택 안정 지원(50.1%), 돌봄서비스 지원(13.4%), 건강증진 지원(9.7%) 순임
<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60세 이상, 2021) > |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 |
|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자료: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
- 3 -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4.7시간임 |
ㅇ ‘20년 1인가구의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4.7시간으로 전체 인구(3.7시간) 보다 1시간 더 많음
ㅇ ‘21년 1인가구는 전체인구에 비하여 동영상 콘텐츠 시청, 휴식활동 등 정적인 활동으로 여가를 보내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음
ㅇ ‘20년 기준 1인가구의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은 15만 원 이상이 31.4%로 가장 많고, 3만 원 미만(21.0%), 9~15만 원(17.2%), 5~7만 원(15.7%) 순임
< 하루 평균 여가시간(2020) > |
< 여가 활용(주말 기준, 2021) > |
|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국민여가활동조사」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2020년 1인가구 3가구 중 1가구(32.4%)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응답함 |
ㅇ ‘20년 1인가구의 32.4%는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해 안전하다고, 26.6%는 범죄에 대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응답함
ㅇ ‘20년 기준 1인가구의 44.2%는 현재 전반적인 생활환경이 좋다고 응답함
< 전반적인 사회 안전 의식(2020) > |
< 현재 생활환경(2020) > |
|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 4 -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
||
Ⅰ. 인구·가구
1. 성·연령대별 1인가구
2020년 기준 전체 가구 10가구 중 3가구(31.7%)가 1인가구임 |
□ '20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1.7%인 664만 3천 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ㅇ 20대가 전체 1인가구의 19.1%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30대(16.8%), 50대(15.6%)와 60대(15.6%), 40대(13.6%) 등의 순임
ㅇ 여자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45.1%를 차지하는 반면, 남자는 30~50대가 56.9%를 차지하는 등 성별에 따른 1인가구의 연령대가 확연히 다름
- 남자는 30대에서, 여자는 20대에서 1인가구 비중이 가장 큼
< 1인가구 연령대별 비중(2020) > |
< 1인가구 성‧연령대별 비중(2020) > |
|
|
< 가구원 수별 가구 >
(단위: 천 가구, %)
전체 가구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이상가구 |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
2016 |
19,368 |
100.0 |
5,398 |
27.9 |
5,067 |
26.2 |
4,152 |
21.4 |
4,751 |
24.5 |
2017 |
19,674 |
100.0 |
5,619 |
28.6 |
5,260 |
26.7 |
4,179 |
21.2 |
4,616 |
23.5 |
2018 |
19,979 |
100.0 |
5,849 |
29.3 |
5,446 |
27.3 |
4,204 |
21.0 |
4,481 |
22.4 |
2019 |
20,343 |
100.0 |
6,148 |
30.2 |
5,663 |
27.8 |
4,218 |
20.7 |
4,315 |
21.2 |
2020 |
20,927 |
100.0 |
6,643 |
31.7 |
5,865 |
28.0 |
4,201 |
20.1 |
4,218 |
20.2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성·연령대별 1인가구(2020) >
(단위: 천 가구, %)
1인가구 |
||||||
계 |
||||||
남자 |
여자 |
|||||
비중 |
비중 |
비중 |
||||
계 |
6,643 |
100.0 |
3,304 |
100.0 |
3,339 |
100.0 |
20세 미만 |
76 |
1.1 |
36 |
1.1 |
40 |
1.2 |
20〜29세 |
1,267 |
19.1 |
650 |
19.7 |
617 |
18.5 |
30〜39세 |
1,116 |
16.8 |
715 |
21.6 |
401 |
12.0 |
40〜49세 |
904 |
13.6 |
572 |
17.3 |
332 |
9.9 |
50〜59세 |
1,039 |
15.6 |
595 |
18.0 |
445 |
13.3 |
60〜69세 |
1,039 |
15.6 |
451 |
13.6 |
588 |
17.6 |
70〜79세 |
733 |
11.0 |
199 |
6.0 |
534 |
16.0 |
80세 이상 |
470 |
7.1 |
87 |
2.6 |
383 |
11.5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 1인가구의 지역별 분포
2020년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4가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함 |
□ ‘20년 전체 1인가구의 지역별 비중은 경기도가 21.2%로 가장 높고, 그다음은 서울(20.9%), 부산(6.9%), 경남(6.3%) 등의 순임
< 1인가구 지역별 분포(2020) > |
□ 각 지역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대전이 36.3%로 가장 높고, 그다음은 강원(35.0%), 서울(34.9%), 충북(34.8%), 충남(34.2%) 등의 순임
ㅇ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은 경기(27.6%), 울산(27.7%), 인천(28.3%) 순임
<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의 비중(2020) > |
|
< 가구의 지역별 분포(2020) >
(단위: 천 가구, %)
전체 가구(A) |
1인가구(B) |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B/A) |
|||
비중 |
비중 |
||||
계 |
20,927 |
100.0 |
6,643 |
100.0 |
31.7 |
서울 |
3,982 |
19.0 |
1,391 |
20.9 |
34.9 |
부산 |
1,405 |
6.7 |
455 |
6.9 |
32.4 |
대구 |
986 |
4.7 |
305 |
4.6 |
30.9 |
인천 |
1,147 |
5.5 |
325 |
4.9 |
28.3 |
광주 |
599 |
2.9 |
194 |
2.9 |
32.4 |
대전 |
631 |
3.0 |
229 |
3.4 |
36.3 |
울산 |
444 |
2.1 |
123 |
1.8 |
27.7 |
세종 |
139 |
0.7 |
44 |
0.7 |
31.3 |
경기 |
5,098 |
24.4 |
1,406 |
21.2 |
27.6 |
강원 |
661 |
3.2 |
231 |
3.5 |
35.0 |
충북 |
679 |
3.2 |
236 |
3.6 |
34.8 |
충남 |
892 |
4.3 |
305 |
4.6 |
34.2 |
전북 |
756 |
3.6 |
255 |
3.8 |
33.8 |
전남 |
762 |
3.6 |
257 |
3.9 |
33.7 |
경북 |
1,132 |
5.4 |
389 |
5.9 |
34.4 |
경남 |
1,350 |
6.5 |
418 |
6.3 |
30.9 |
제주 |
263 |
1.3 |
82 |
1.2 |
31.1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6 -
2020년 기준 세종, 대전, 서울의 1인가구 2가구 중 1가구는 30대 이하임 |
□ 세종, 대전, 서울 지역은 1인가구 2가구 중 1가구는 30대 이하임
ㅇ 특히, 세종과 대전의 경우 1인가구 3가구 중 1가구는 20대 이하임
□ 전남의 경우 1인가구의 절반이 60대 이상이며, 경북, 전북, 경남, 강원의 경우에도 60대 이상이 4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지역 내 특정 연령대의 1인가구 비중 _ 상위 5개 지역(2020) > |
||
|
|
|
< 지역별 1인가구의 연령대 분포(2020) >
(단위: %)
계 |
20세 미만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 이상 |
|
계 |
100.0 |
1.1 |
19.1 |
16.8 |
13.6 |
15.6 |
15.6 |
11.0 |
7.1 |
서울 |
100.0 |
1.0 |
26.1 |
22.3 |
13.1 |
12.1 |
12.4 |
8.6 |
4.5 |
부산 |
100.0 |
1.1 |
18.3 |
13.5 |
11.7 |
15.3 |
19.4 |
13.8 |
7.0 |
대구 |
100.0 |
0.9 |
17.5 |
14.3 |
13.1 |
17.1 |
17.7 |
12.1 |
7.2 |
인천 |
100.0 |
0.8 |
15.8 |
16.7 |
15.5 |
17.9 |
16.8 |
10.5 |
6.0 |
광주 |
100.0 |
1.4 |
21.3 |
17.3 |
14.6 |
15.6 |
14.2 |
10.0 |
5.7 |
대전 |
100.0 |
3.4 |
29.7 |
16.4 |
11.8 |
13.2 |
12.8 |
8.0 |
4.6 |
울산 |
100.0 |
0.5 |
14.4 |
17.0 |
16.4 |
19.0 |
18.1 |
9.9 |
4.7 |
세종 |
100.0 |
3.1 |
31.0 |
21.4 |
14.0 |
12.3 |
9.2 |
5.5 |
3.6 |
경기 |
100.0 |
0.6 |
16.9 |
19.4 |
16.3 |
17.0 |
15.1 |
9.4 |
5.3 |
강원 |
100.0 |
2.2 |
17.5 |
10.9 |
11.2 |
17.4 |
18.6 |
13.2 |
9.1 |
충북 |
100.0 |
1.9 |
20.7 |
14.0 |
12.0 |
16.2 |
15.8 |
11.1 |
8.3 |
충남 |
100.0 |
1.8 |
18.8 |
15.1 |
12.5 |
15.6 |
15.0 |
11.6 |
9.5 |
전북 |
100.0 |
1.5 |
16.8 |
11.3 |
11.6 |
15.7 |
16.6 |
14.8 |
11.6 |
전남 |
100.0 |
1.0 |
11.2 |
9.9 |
11.0 |
16.4 |
17.6 |
17.8 |
15.1 |
경북 |
100.0 |
1.5 |
15.4 |
11.8 |
11.5 |
16.2 |
17.7 |
14.2 |
11.6 |
경남 |
100.0 |
0.6 |
11.9 |
13.2 |
13.9 |
18.0 |
19.0 |
13.6 |
9.7 |
제주 |
100.0 |
0.8 |
13.9 |
15.3 |
17.7 |
20.7 |
16.0 |
9.2 |
6.5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7 -
30대 이하 1인가구는 서울에, 40대 이상 1인가구는 경기도에 가장 많이 분포 |
□ ‘20년 기준 30대 이하 1인가구는 서울에, 40대 이상 1인가구는 경기도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음
ㅇ 20세 미만 1인가구는 서울(18.6%), 경기(11.7%)에 이어 대전이 10.3%로 세 번째로 많음
ㅇ 20대와 30대 1인가구는 서울, 경기에 이어 부산이 세 번째로 많음
ㅇ 40대와 50대 1인가구는 경기, 서울에 이어 경남이 세 번째로 많음
ㅇ 60대와 70대 1인가구는 경기, 서울에 이어 부산이 세 번째로 많음
ㅇ 80세 이상 1인가구는 경기, 서울에 이어 경북이 세 번째로 많음
< 연령대별 1인가구의 지역 분포(2020) >
(단위: %)
계 |
20세 미만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 이상 |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서울 |
20.9 |
18.6 |
28.6 |
27.8 |
20.1 |
16.1 |
16.5 |
16.3 |
13.4 |
부산 |
6.9 |
6.4 |
6.6 |
5.5 |
5.9 |
6.7 |
8.5 |
8.6 |
6.8 |
대구 |
4.6 |
3.6 |
4.2 |
3.9 |
4.4 |
5.0 |
5.2 |
5.0 |
4.7 |
인천 |
4.9 |
3.3 |
4.1 |
4.9 |
5.6 |
5.6 |
5.3 |
4.6 |
4.1 |
광주 |
2.9 |
3.6 |
3.3 |
3.0 |
3.1 |
2.9 |
2.6 |
2.6 |
2.4 |
대전 |
3.4 |
10.3 |
5.4 |
3.4 |
3.0 |
2.9 |
2.8 |
2.5 |
2.3 |
울산 |
1.8 |
0.8 |
1.4 |
1.9 |
2.2 |
2.3 |
2.1 |
1.7 |
1.2 |
세종 |
0.7 |
1.7 |
1.1 |
0.8 |
0.7 |
0.5 |
0.4 |
0.3 |
0.3 |
경기 |
21.2 |
11.7 |
18.7 |
24.4 |
25.4 |
23.0 |
20.4 |
18.0 |
16.0 |
강원 |
3.5 |
6.5 |
3.2 |
2.3 |
2.9 |
3.9 |
4.1 |
4.2 |
4.5 |
충북 |
3.6 |
6.0 |
3.9 |
3.0 |
3.1 |
3.7 |
3.6 |
3.6 |
4.2 |
충남 |
4.6 |
7.1 |
4.5 |
4.1 |
4.2 |
4.6 |
4.4 |
4.8 |
6.2 |
전북 |
3.8 |
5.0 |
3.4 |
2.6 |
3.3 |
3.9 |
4.1 |
5.2 |
6.3 |
전남 |
3.9 |
3.5 |
2.3 |
2.3 |
3.1 |
4.0 |
4.4 |
6.2 |
8.3 |
경북 |
5.9 |
7.7 |
4.7 |
4.1 |
4.9 |
6.0 |
6.6 |
7.6 |
9.6 |
경남 |
6.3 |
3.3 |
3.9 |
5.0 |
6.4 |
7.3 |
7.6 |
7.8 |
8.6 |
제주 |
1.2 |
0.8 |
0.9 |
1.1 |
1.6 |
1.6 |
1.3 |
1.0 |
1.1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8 -
□ ‘20년 기준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시군구를 살펴보면, 서울 관악구, 경기 화성시, 서울 강서구, 경기 부천시, 서울 송파구 등의 순임
ㅇ 연령대별 1인가구의 시군구별 분포에서는
- 20세 미만 1인가구는 대전 유성구, 대전 동구, 대전 서구 등의 순임
- 20대와 30대 1인가구는 서울 관악구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 40대 1인가구는 경기 화성시와 경기 부천시에 많이 분포하고 있음
- 50대 이상 1인가구는 경기 부천시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음
< 1인가구 시군구 분포_ 상위 5개 지역(2015년 .vs. 2020년) > |
|
1순위 |
2순위 |
3순위 |
4순위 |
5순위 |
|
전체 |
서울 관악구 |
경기 화성시 |
서울 강서구 |
경기 부천시 |
서울 송파구 |
20세 미만 |
대전 유성구 |
대전 동구 |
대전 서구 |
강원 강릉시 |
서울 성북구 |
20〜29세 |
서울 관악구 |
서울 동작구 |
대전 유성구 |
대전 서구 |
서울 동대문구 |
30〜39세 |
서울 관악구 |
경기 화성시 |
서울 강서구 |
서울 강남구 |
서울 송파구 |
40〜49세 |
경기 화성시 |
경기 부천시 |
서울 관악구 |
경기 평택시 |
서울 강남구 |
50〜59세 |
경기 부천시 |
경기 화성시 |
대구 달서구 |
경기 평택시 |
제주시 |
60〜69세 |
경기 부천시 |
대구 달서구 |
서울 강서구 |
인천 남동구 |
경기 남양주시 |
70〜79세 |
경기 부천시 |
서울 노원구 |
대구 달서구 |
서울 강서구 |
부산 부산진구 |
80세이상 |
경기 부천시 |
서울 노원구 |
대구 달서구 |
경북 경주시 |
경남 진주시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50개 시군구 기준임
- 9 -
3.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
2020년 1인가구로 생활한 평균 기간은 9년 11개월임 |
□ ‘20년 1인가구로 생활한 평균 기간은 9년 11개월이고, 10~20년 미만(24.8%), 1~3년 미만(18.1%), 5~10년 미만(17.5%) 순임
ㅇ 20세 미만 1인가구의 60.8%는 혼자 산 기간이 1년 미만이었고, 20대 1인가구의 57.7%는 혼자 산 기간이 3년 미만이었음
ㅇ 50세 이상 1인가구의 절반 이상은 혼자 산 기간이 10년 이상임
<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2020) > |
|
<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2020) >
(단위: %, 개월)
계 |
1년 미만 |
1〜3년 미만 |
3〜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20년 미만 |
20〜30년 미만 |
30년 이상 |
평균 (개월) |
|
전체 |
100.0 |
8.8 |
18.1 |
12.4 |
17.5 |
24.8 |
12.1 |
6.5 |
119.2 |
12〜19세 |
100.0 |
60.8 |
30.9 |
2.6 |
5.6 |
0.0 |
0.0 |
0.0 |
14.4 |
20〜29세 |
100.0 |
20.5 |
37.2 |
20.7 |
16.7 |
4.9 |
0.0 |
0.0 |
36.7 |
30〜39세 |
100.0 |
8.0 |
20.9 |
14.6 |
26.0 |
27.3 |
3.2 |
0.0 |
79.6 |
40〜49세 |
100.0 |
6.5 |
16.9 |
13.8 |
15.4 |
28.7 |
15.4 |
3.3 |
114.1 |
50〜59세 |
100.0 |
8.0 |
15.4 |
9.2 |
17.4 |
28.2 |
13.5 |
8.3 |
130.1 |
60〜69세 |
100.0 |
7.3 |
12.1 |
11.5 |
15.1 |
27.6 |
17.9 |
8.4 |
145.2 |
70세 이상 |
100.0 |
3.5 |
12.7 |
9.3 |
16.7 |
29.2 |
16.6 |
12.0 |
162.0 |
자료: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10 -
4.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
2020년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 순임 |
□ ‘20년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은 배우자가 45.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부모(37.6%), 자녀(28.2%) 등의 순임
ㅇ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50세 미만에서는 1인가구가 되기 전 부모와, 50세 이상에서는 배우자와 함께 살았던 비중이 가장 높았음
<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2020) > |
|
<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2020) >
(단위: %)
배우자 |
자녀 |
자녀의 배우자 |
부모 |
배우자의 부모 |
조부모 |
배우자의 조부모 |
형제 자매 |
형제 자매의 배우자 |
기타 친인척 |
기타 동거인 |
|
전체 |
45.7 |
28.2 |
1.4 |
37.6 |
0.9 |
1.6 |
0.1 |
12.7 |
0.2 |
0.7 |
3.6 |
12〜19세 |
0.0 |
0.0 |
0.0 |
91.1 |
0.0 |
3.2 |
0.0 |
40.1 |
0.0 |
3.8 |
5.6 |
20〜29세 |
0.9 |
1.1 |
0.9 |
89.4 |
0.0 |
6.3 |
0.0 |
43.3 |
0.8 |
1.6 |
4.8 |
30〜39세 |
5.4 |
4.2 |
1.7 |
80.5 |
0.4 |
3.1 |
0.0 |
28.7 |
0.4 |
1.1 |
7.2 |
40〜49세 |
28.9 |
22.8 |
1.2 |
56.1 |
1.1 |
1.3 |
0.2 |
12.3 |
0.0 |
0.3 |
7.3 |
50〜59세 |
55.0 |
51.8 |
1.8 |
24.2 |
2.1 |
0.5 |
0.2 |
4.2 |
0.0 |
0.4 |
3.7 |
60〜69세 |
64.4 |
46.2 |
0.7 |
12.8 |
1.1 |
0.0 |
0.1 |
2.4 |
0.0 |
0.5 |
2.4 |
70세 이상 |
78.1 |
30.5 |
1.8 |
5.9 |
0.8 |
0.4 |
0.2 |
0.8 |
0.0 |
0.5 |
0.5 |
미혼 |
0.0 |
1.1 |
1.2 |
86.6 |
0.0 |
3.7 |
0.0 |
30.8 |
0.4 |
1.3 |
6.7 |
유배우(사실혼, 비혼 동거 포함) |
95.4 |
52.4 |
1.5 |
5.8 |
1.9 |
0.2 |
0.3 |
1.3 |
0.0 |
0.0 |
0.0 |
이혼 또는 별거 |
68.1 |
60.9 |
1.5 |
5.8 |
2.4 |
0.5 |
0.2 |
1.2 |
0.0 |
0.1 |
4.1 |
사별 |
77.7 |
34.1 |
1.4 |
3.6 |
0.8 |
0.0 |
0.1 |
0.0 |
0.0 |
0.7 |
0.1 |
자료: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복수응답
- 11 -
5. 1인가구 사유
2020년 1인가구 사유는 본인의 학업·직장, 배우자의 사망, 혼자 살고 싶어서 순임 |
□ ‘20년 1인가구 사유는 본인의 학업·직장이 2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배우자의 사망(23.4%), 혼자 살고 싶어서(16.2%) 등의 순임
ㅇ 연령대별 1인가구 사유는 40대까지는 본인의 학업·직장, 50~60대는 본인의 이혼, 70세 이상은 배우자의 사망이 가장 큰 사유임
< 1인가구 사유(2020) > |
|
< 1인가구 사유(2020) >
(단위: %)
혼자 살고 싶어서 |
가족과 지내는 것이 불편 해서 |
본인의 학업· 직장 |
배우자의사망 |
본인의 이혼 |
배우자의 학업· 직장 |
자녀의학업· 직장 |
부모나 자녀의 사망 |
자녀의 이혼 |
부모의 이혼 |
부모의직장 |
기타 |
|
전체 |
16.2 |
4.1 |
24.4 |
23.4 |
15.6 |
1.8 |
4.9 |
4.0 |
0.0 |
0.3 |
0.4 |
4.8 |
12〜19세 |
22.5 |
3.3 |
68.1 |
0.0 |
0.0 |
0.0 |
0.0 |
0.0 |
0.0 |
6.1 |
0.0 |
0.0 |
20〜29세 |
19.9 |
5.0 |
70.0 |
0.0 |
0.5 |
0.3 |
1.1 |
1.2 |
0.0 |
0.1 |
0.6 |
1.4 |
30〜39세 |
25.8 |
3.9 |
58.5 |
0.5 |
1.8 |
0.6 |
0.8 |
3.1 |
0.0 |
1.1 |
1.8 |
2.1 |
40〜49세 |
29.8 |
6.3 |
30.9 |
0.6 |
17.1 |
2.7 |
1.8 |
8.5 |
0.0 |
0.6 |
0.7 |
1.1 |
50〜59세 |
16.4 |
4.0 |
13.5 |
7.1 |
35.0 |
3.5 |
6.7 |
6.1 |
0.0 |
0.0 |
0.2 |
7.6 |
60〜69세 |
9.3 |
3.6 |
4.3 |
25.2 |
31.0 |
3.9 |
9.7 |
5.3 |
0.0 |
0.0 |
0.0 |
7.8 |
70세 이상 |
8.6 |
3.3 |
0.8 |
65.1 |
8.0 |
0.4 |
6.1 |
2.0 |
0.0 |
0.1 |
0.0 |
5.8 |
자료: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12 -
6. 1인가구의 어려움
2020년 1인가구의 42.4%는 균형잡힌 식사가 어렵다고 응답함 |
□ ‘20년 1인가구의 42.4%는 균형잡힌 식사가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30.9%는아프거나 위급 시 대처가 어렵다고 응답함
ㅇ 또한, 1인가구의 25.0%는 가사 어려움을, 19.5%는 경제적 불안을, 18.3%는 고립으로 인한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인가구의 어려움(2020) > |
|
< 1인가구의 어려움(2020)1)2) >
(단위: %)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 있어 |
아프거나 위급할 때 혼자서 대처하기 어렵다 |
균형잡힌 식사를 하기 어렵다 |
가사 |
주거 |
범죄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
나를 부양해주는 가족이 없어 경제적으로 불안하다 |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
|
전체 |
18.3 |
30.9 |
42.4 |
25.0 |
11.5 |
9.6 |
19.5 |
9.9 |
남자 |
18.7 |
28.0 |
47.1 |
28.5 |
11.7 |
7.4 |
18.8 |
11.0 |
여자 |
18.1 |
33.6 |
38.1 |
22.0 |
11.4 |
11.6 |
20.2 |
9.2 |
12〜19세 |
19.5 |
26.1 |
56.9 |
30.7 |
19.3 |
19.3 |
23.2 |
16.7 |
20〜29세 |
8.0 |
15.3 |
46.6 |
23.4 |
9.6 |
12.4 |
6.7 |
7.8 |
30〜39세 |
9.1 |
17.3 |
42.8 |
21.1 |
10.6 |
8.2 |
8.7 |
7.1 |
40〜49세 |
9.5 |
17.6 |
32.3 |
11.5 |
7.3 |
5.5 |
12.4 |
13.0 |
50〜59세 |
16.0 |
27.4 |
34.2 |
18.9 |
12.2 |
8.8 |
26.7 |
11.5 |
60〜69세 |
25.8 |
38.6 |
42.3 |
26.4 |
12.4 |
9.3 |
28.7 |
14.2 |
70세 이상 |
27.8 |
47.9 |
48.4 |
35.8 |
13.4 |
10.8 |
23.4 |
7.0 |
자료: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주: 1) 1인가구의 어려움은 우선순위 없이, 각 항목별 5점 척도 설문에 응답한 결과임
2) 1인가구의 어려움 ‘그렇다(대체로 그렇다 + 매우 그렇다)’의 비중임
- 13 -
Ⅱ. 주거
7. 주거유형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 44.0%, 아파트 32.0% 순임 |
□ ‘20년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44.0%), 아파트(32.0%), 연립‧다세대 (11.3%) 등의 순임
ㅇ 아파트 거주 비중은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약 0.6배 수준이나, 주택이외의 거처 거주 비중은 1인가구가 전체 가구의 2.1배 수준임
ㅇ 1인가구의 아파트 거주 비중은 증가 추세이나 단독주택 거주 비중은 감소 추세임
< 주거유형(2020) > |
|
< 주거유형 >
(단위: 천 가구. %)
계 |
단독주택1) |
아파트 |
연립·다세대 |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
주택이외의 거처 |
||
전체 가구 |
2016
|
19,368 (100.0) |
6,640 (34.3) |
9,422 (48.6) |
2,219 (11.5) |
316 (1.6) |
770 (4.0) |
2017
|
19,674 (100.0) |
6,549 (33.3) |
9,671 (49.2) |
2,269 (11.5) |
327 (1.7) |
858 (4.4) |
|
2018
|
19,979 (100.0) |
6,415 (32.1) |
10,013 (50.1) |
2,312 (11.6) |
319 (1.6) |
920 (4.6) |
|
2019
|
20,343 (100.0) |
6,312 (31.0) |
10,405 (51.1) |
2,339 (11.5) |
318 (1.6) |
969 (4.8) |
|
2020
|
20,927 (100.0) |
6,354 (30.4) |
10,780 (51.5) |
2,387 (11.4) |
316 (1.5) |
1,089 (5.2) |
|
1인가구
|
2016
|
5,398 (100.0) |
2,743 (50.8) |
1,504 (27.9) |
559 (10.4) |
116 (2.2) |
476 (8.8) |
2017
|
5,619 (100.0) |
2,765 (49.2) |
1,606 (28.6) |
595 (10.6) |
123 (2.2) |
530 (9.4) |
|
2018
|
5,849 (100.0) |
2,762 (47.2) |
1,751 (29.9) |
636 (10.9) |
121 (2.1) |
579 (9.9) |
|
2019
|
6,148 (100.0) |
2,790 (45.4) |
1,927 (31.3) |
680 (11.1) |
124 (2.0) |
626 (10.2) |
|
2020
|
6,643 (100.0) |
2,921 (44.0) |
2,124 (32.0) |
750 (11.3) |
124 (1.9) |
723 (10.9)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주: 1) 단독주택에는 일반단독주택, 다가구단독주택, 영업겸용 단독주택 등이 포함됨
- 14 -
8. 주거면적
2020년 기준 1인가구 2가구 중 1가구는 40㎡ 이하의 주거면적에 거주함 |
□ ‘20년 1인가구의 주거면적은 40㎡ 이하가 50.5%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60~85㎡(16.7%), 40~50㎡(13.5%) 등의 순임
ㅇ 1인가구의 평균 주거면적은 46.2㎡로 전체 가구 평균 주거면적 68.9㎡의 67.1% 수준임
ㅇ ‘18년 이후 1인가구 중 주거면적 40㎡ 이하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음
< 가구 주거면적(2020) > |
|
< 가구 주거면적 >
(단위: %, ㎡)
|
계 |
40㎡ 이하 |
40㎡ 〜50㎡ |
50㎡ 〜60㎡ |
60㎡ 〜85㎡ |
85㎡ 〜102㎡ |
102㎡ 〜135㎡ |
135㎡ 초과 |
모름/ 무응답 |
평균 (㎡) |
|
전체 가구 |
2017 |
100.0 |
20.6 |
12.2 |
18.1 |
32.9 |
8.0 |
6.2 |
1.8 |
0.1 |
65.4 |
2018 |
100.0 |
21.2 |
11.1 |
17.2 |
33.9 |
7.6 |
6.8 |
2.0 |
0.1 |
66.2 |
|
2019 |
100.0 |
20.5 |
9.9 |
14.0 |
32.8 |
11.3 |
8.7 |
2.6 |
0.2 |
68.1 |
|
2020 |
100.0 |
19.5 |
9.9 |
14.5 |
31.2 |
12.8 |
8.9 |
2.8 |
0.5 |
68.9 |
|
1인 가구 |
2017 |
100.0 |
52.9 |
14.4 |
11.3 |
15.8 |
3.4 |
1.5 |
0.6 |
0.1 |
44.7 |
2018 |
100.0 |
54.4 |
13.5 |
11.4 |
15.5 |
3.3 |
1.4 |
0.3 |
0.2 |
44.0 |
|
2019 |
100.0 |
53.7 |
11.7 |
10.4 |
17.1 |
4.3 |
2.0 |
0.6 |
0.3 |
45.1 |
|
2020 |
100.0 |
50.5 |
13.5 |
11.2 |
16.7 |
4.7 |
2.1 |
0.4 |
0.9 |
46.2 |
자료: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15 -
9. 주거환경 만족도
2020년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8가구는 주거환경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함 |
□ ‘20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는 치안 및 방범(86.6%), 청결도(85.7%)와 이웃과의 관계(85.7%), 보행안전(84.9%) 등의 순임
ㅇ 불만족도는 문화시설 접근용이성(40.3%), 주차시설 이용편리성(30.9%), 소음(26.2%), 의료시설 접근용이성(25.4%) 등의 순임
< 주거환경 만족도(2020) > |
|
< 주거환경 만족도(2020) >
(단위: %)
계 |
불만족 |
만족 |
|||||
매우 불만족 |
약간 불만족 |
대체로 만족 |
매우 만족 |
||||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100.0 |
16.2 |
1.4 |
14.8 |
83.7 |
75.1 |
8.6 |
상업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23.5 |
3.7 |
19.8 |
76.5 |
60.0 |
16.5 |
의료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25.4 |
4.7 |
20.7 |
74.6 |
57.4 |
17.2 |
문화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40.3 |
9.1 |
31.2 |
59.7 |
48.7 |
11.0 |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용이성 |
100.0 |
24.0 |
3.5 |
20.5 |
76.1 |
57.2 |
18.9 |
대중교통 접근용이성 |
100.0 |
19.5 |
3.0 |
16.5 |
80.5 |
59.6 |
20.9 |
주차시설 이용편리성 |
100.0 |
30.9 |
6.9 |
24.0 |
69.2 |
54.9 |
14.3 |
보행안전 |
100.0 |
15.0 |
1.4 |
13.6 |
84.9 |
69.7 |
15.2 |
교육환경 |
100.0 |
21.3 |
3.1 |
18.2 |
78.8 |
67.0 |
11.8 |
치안 및 방범 |
100.0 |
13.4 |
1.3 |
12.1 |
86.6 |
72.6 |
14.0 |
소음 |
100.0 |
26.2 |
3.1 |
23.1 |
73.8 |
60.5 |
13.3 |
청결도 |
100.0 |
14.4 |
1.1 |
13.3 |
85.7 |
70.5 |
15.2 |
이웃과의 관계 |
100.0 |
14.3 |
1.1 |
13.2 |
85.7 |
73.2 |
12.5 |
자료: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16 -
10. 주거지원 프로그램 선호도
2020년 기준 1인가구가 원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전세자금 대출임 |
□ ‘20년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1인가구의 45.5%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전체 가구 40.6%보다 4.9%p 높은 응답임
ㅇ 1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32.4%)을 1순위로 꼽았으며, 그다음은 월세 보조금, 장기 공공임대 주택공급, 주택구입자금 대출 등의 순임
ㅇ 이에 반해 전체 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34.6%)을 1순위로 꼽고, 그다음은 전세자금 대출, 장기공공임대 주택공급 등의 순임
< 주거지원 프로그램(2020) > |
|
< 주거지원 프로그램 필요성(필요) >
(단위: %)
|
2017 |
2018 |
2019 |
2020 |
전체 가구 |
34.2 |
33.0 |
36.1 |
40.6 |
1인가구 |
38.7 |
37.5 |
42.0 |
45.5 |
자료: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우선적으로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2020) >
(단위: %)
|
계 |
월세 보조금 지원 |
전세자금 대출 지원 |
주택구입 자금 대출지원 |
주택 개량ㆍ 개보수 지원 |
임대 후 분양전환 공공임대 주택공급 |
장기 공공임대 주택공급 |
공공분양주택공급 |
주거상담‧ 정보제공등 |
기타 |
전체 가구 |
100.0 |
9.8 |
24.5 |
34.6 |
6.9 |
5.4 |
11.6 |
5.3 |
1.9 |
0.0 |
1인가구 |
100.0 |
19.5 |
32.4 |
15.8 |
5.4 |
4.6 |
15.9 |
4.7 |
1.8 |
0.0 |
자료: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17 -
11. 마시는 물
2020년 1인가구의 56.0%는 생수를 마심 |
□ ‘20년 1인가구의 마시는 물은 생수가 56.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돗물 (42.6%), 기타(1.4%) 순임
ㅇ 생수를 마시는 비중은 1인가구가 전체 가구 대비 9.8%p 높은 반면, 수돗물은 9.9%p 낮았음
ㅇ 수돗물을 마시는 1인가구는 끓여서 마시는 경우가 66.2%, 정수해서 마시는 경우가 29.7%인 반면, 전체 가구는 절반 이상이 정수해서 마심
ㅇ 생수를 마시는 1인가구는 그대로 마시는 경우가 84.9%로 전체 가구보다 16.4%p 많고, 정수해서 마시는 경우는 전체 가구보다 14.9%p 낮음
< 마시는 물(2020) > |
< 수돗물 > |
|
|
< 생수 > |
|
|
< 마시는 물(2020) >
(단위: 천 가구, %)
계 |
|||||||||||
수돗물1) |
생수1) |
기타 |
|||||||||
그대로 마심 |
끓여 마심 |
정수해서 마심 |
그대로 마심 |
끓여 마심 |
정수해서 마심 |
||||||
전체 가구 |
20,927 |
10,978 |
251 |
5,169 |
5,558 |
9,666 |
6,620 |
472 |
2,574 |
282 |
|
비중 |
52.5 |
2.3 |
47.1 |
50.6 |
46.2 |
68.5 |
4.9 |
26.6 |
1.3 |
||
1인가구 |
6,643 |
2,832 |
118 |
1,874 |
840 |
3,719 |
3,156 |
128 |
435 |
93 |
|
비중 |
42.6 |
4.2 |
66.2 |
29.7 |
56.0 |
84.9 |
3.4 |
11.7 |
1.4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주: 1) 수돗물, 생수의 세부 항목은 수돗물과 생수를 각 100이라고 가정할 때의 비중임
- 18 -
12. 소방시설 보유
2020년 1인가구 4가구 중 3가구는 소방시설을 보유하고 있음 |
□ ‘20년 1인가구의 73.7%는 소방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71.7%는 소화기와 화재경보기를 모두 보유하고 있음
ㅇ 전체 가구의 경우 81.0%가 소방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화기와 화재경보기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74.8%로 1인가구에 비하여 높음
< 소방시설 보유 유무(2020) > |
< 소방시설(있음, 2020) > |
|
|
< 소방시설(2020) >
(단위: 천 가구, %)
|
소방시설 |
없음 |
있음 |
|||||
소계 |
소화기 |
화재경보기 |
소화기· 화재경보기 |
|||||
전체 가구 |
20,927 |
3,972 |
16,955 |
16,955 |
2,204 |
2,071 |
12,679 |
|
비중 |
100.0 |
19.0 |
81.0 |
100.0 |
13.0 |
12.2 |
74.8 |
|
1인가구 |
6,643 |
1,748 |
4,896 |
4,896 |
645 |
741 |
3,509 |
|
비중 |
100.0 |
26.3 |
73.7 |
100.0 |
13.2 |
15.1 |
71.7 |
자료: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19 -
Ⅲ. 고용
13. 경제활동
2020년 10월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약 6가구가 취업상태임 |
□ ‘20년 10월 기준 취업상태인 1인가구는 370만 가구로, 이 중 남자가 56.7%, 여자가 43.3%를 차지함
ㅇ 30대와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취업 1인가구가 증가하였으며, 그중 65세이상 연령구간에서의 증가율이 10.2%로 가장 높음
< 성별 취업 1인가구 > |
< 연령대별 취업 1인가구 > |
|
|
< 성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p)
1인가구(A) |
취업 1인가구(B) |
1인가구 중 취업자(B/A) |
|||||||
남자 |
여자 |
||||||||
비중 |
|||||||||
비중 |
비중 |
||||||||
2016 |
5,434 |
3,288 |
100.0 |
1,904 |
57.9 |
1,384 |
42.1 |
60.5 |
|
2017 |
5,613 |
3,431 |
100.0 |
1,985 |
57.9 |
1,446 |
42.1 |
61.1 |
|
2018 |
5,788 |
3,537 |
100.0 |
2,041 |
57.7 |
1,496 |
42.3 |
61.1 |
|
2019 |
6,039 |
3,671 |
100.0 |
2,081 |
56.7 |
1,589 |
43.3 |
60.8 |
|
2020 |
6,214 |
3,700 |
100.0 |
2,097 |
56.7 |
1,604 |
43.3 |
59.6 |
|
증감 |
175 |
30 |
- |
16 |
0.0 |
14 |
0.0 |
- 1.2 |
|
증감률 |
2.9 |
0.8 |
- |
0.8 |
0.0 |
0.9 |
0.0 |
- 2.0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연령대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
계 |
15〜29세 |
30〜39세 |
40〜49세 |
50〜64세 |
65세 이상 |
|
2016 |
3,288 |
582 |
807 |
701 |
859 |
340 |
|
2017 |
3,431 |
644 |
815 |
720 |
908 |
345 |
|
2018 |
3,537 |
673 |
815 |
728 |
940 |
381 |
|
2019 |
3,671 |
687 |
830 |
715 |
1,012 |
427 |
|
2020 |
3,700 |
691 |
816 |
699 |
1,025 |
471 |
|
증감 |
30 |
4 |
- 14 |
- 16 |
13 |
43 |
|
증감률 |
0.8 |
0.6 |
- 1.7 |
- 2.3 |
1.3 |
10.2 |
|
비중 |
100.0 |
18.7 |
22.0 |
18.9 |
27.7 |
12.7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20 -
2020년 10월 기준 취업상태인 1인가구 중 46.1%는 대졸 이상임 |
□ ‘20년 10월 기준 취업상태인 1인가구의 교육정도는 대졸 이상이 46.1%, 고졸이 35.6%, 중졸 이하가 18.2%임
ㅇ 대졸 이상은 증가하고, 중졸 이하의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22.3%), 단순노무종사자(16.8%), 사무종사자(15.2%) 등의 순임
< 교육정도별 취업 1인가구 > |
< 직업별 취업 1인가구 > |
|
|
< 교육정도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p)
계 |
중졸 이하 |
고졸 |
대졸 이상 |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
2016 |
3,288 |
100.0 |
683 |
20.8 |
1,210 |
36.8 |
1,395 |
42.4 |
|
2017 |
3,431 |
100.0 |
662 |
19.3 |
1,282 |
37.4 |
1,486 |
43.3 |
|
2018 |
3,537 |
100.0 |
664 |
18.8 |
1,309 |
37.0 |
1,564 |
44.2 |
|
2019 |
3,671 |
100.0 |
675 |
18.4 |
1,334 |
36.4 |
1,662 |
45.3 |
|
2020 |
3,700 |
100.0 |
675 |
18.2 |
1,319 |
35.6 |
1,706 |
46.1 |
|
증감 |
30 |
- |
1 |
0.2 |
- 15 |
- 1 |
45 |
0.8 |
|
증감률 |
0.8 |
- |
0.1 |
- 1.0 |
- 1.1 |
- 2.2 |
2.7 |
1.8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직업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계 |
|||||||||||
관리자 |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
사무 종사자 |
서비스 종사자 |
판매 종사자 |
농림어업 숙련종사자 |
기능원‧ 숙련종사자 |
장치기계 조작조립원 |
단순노무 종사자 |
|||
2016 |
3,288 |
18 |
688 |
496 |
396 |
313 |
186 |
319 |
368 |
505 |
|
2017 |
3,431 |
19 |
739 |
522 |
428 |
322 |
161 |
349 |
382 |
509 |
|
2018 |
3,537 |
26 |
775 |
526 |
450 |
307 |
172 |
357 |
404 |
520 |
|
2019 |
3,671 |
26 |
816 |
545 |
463 |
316 |
170 |
356 |
403 |
575 |
|
2020 |
3,700 |
23 |
827 |
562 |
443 |
310 |
166 |
349 |
398 |
623 |
|
증감 |
30 |
- 3 |
11 |
17 |
- 20 |
- 6 |
- 4 |
- 7 |
- 6 |
48 |
|
증감률 |
0.8 |
- 10.1 |
1.3 |
3.0 |
- 4.3 |
- 2.0 |
- 2.1 |
- 1.9 |
- 1.5 |
8.3 |
|
비중 |
100.0 |
0.6 |
22.3 |
15.2 |
12.0 |
8.4 |
4.5 |
9.4 |
10.7 |
16.8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21 -
14. 주당 평균 취업시간
2020년 10월 기준 1인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0시간임 |
□ ‘20년 1인가구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0시간으로 전년 대비 1.3시간 감소하였고, ’15년 이후 감소 추세를 보임
ㅇ ‘20년 1인가구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자는 41.4시간, 여자는 35.8시간으로 전년 대비 남자는 1.3시간, 여자는 1.4시간 감소함
ㅇ 1인가구 주당 평균 취업시간의 남녀 차이는 ’20년에 5.6시간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17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1인가구 주당 평균 취업시간 > |
|
< 1인가구 주당 평균 취업시간 >
(단위: 시간, %)
1인가구 |
남자(A) |
여자(B) |
차이 (A - B)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5 |
43.4 |
45.4 |
- |
- |
40.6 |
- |
- |
4.8 |
2016 |
42.8 |
44.8 |
- 0.6 |
- 1.3 |
40.0 |
- 0.6 |
- 1.5 |
4.8 |
2017 |
42.8 |
44.8 |
0.0 |
0.0 |
40.0 |
0.0 |
0.0 |
4.8 |
2018 |
41.1 |
43.4 |
- 1.4 |
- 3.1 |
38.0 |
- 2.0 |
- 5.0 |
5.4 |
2019 |
40.3 |
42.7 |
- 0.7 |
- 1.6 |
37.2 |
- 0.8 |
- 2.1 |
5.5 |
2020 |
39.0 |
41.4 |
- 1.3 |
- 3.0 |
35.8 |
- 1.4 |
- 3.8 |
5.6 |
자료: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 22 -
Ⅳ. 소득·소비·자산
15. 소득
2019년 기준 1인가구의 연소득은 2,162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36.5% 수준임 |
□ ‘19년 1인가구의 연소득은 2,1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2% 증가하였으며, 전체 가구(5,924만 원)의 36.5% 수준임
ㅇ전년 대비 연소득 증가율은 1인가구 2.2%, 전체 가구 1.7%로 1인가구가 0.5%p 더 증가함
ㅇ 1인가구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감소하였으나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전년보다 크게 증가하여 전체 소득은 2.2% 증가함
ㅇ 1인가구의 이전소득(공적‧사적) 비중은 24.7%로 전체 가구(9.5%) 대비 약 2.6배 수준임
< 가구의 소득 > |
< 가구의 소득원천별 소득(2019)> |
|
|
< 가구의 소득 >
(단위: 만원, %)
|
전체 가구 |
1인가구 |
|||||||||||
소득 |
소득 |
||||||||||||
근로 소득 |
사업 소득 |
재산 소득 |
공적 이전 소득 |
사적 이전 소득 |
근로 소득 |
사업 소득 |
재산 소득 |
공적 이전 소득 |
사적 이전 소득 |
||||
2017 |
5,705 |
3,640 |
1,243 |
380 |
351 |
91 |
2,063 |
1,094 |
392 |
137 |
295 |
145 |
|
2018 |
5,828 |
3,781 |
1,177 |
380 |
387 |
102 |
2,116 |
1,142 |
372 |
134 |
319 |
150 |
|
2019 |
5,924 |
3,791 |
1,151 |
417 |
457 |
107 |
2,162 |
1,122 |
345 |
160 |
372 |
162 |
|
증감 |
96 |
10 |
- 26 |
37 |
71 |
5 |
46 |
- 20 |
- 27 |
27 |
53 |
13 |
|
증감률 |
1.7 |
0.3 |
- 2.2 |
9.7 |
18.3 |
4.9 |
2.2 |
- 1.8 |
- 7.1 |
19.9 |
16.6 |
8.6 |
|
비중 |
100.0 |
64.0 |
19.4 |
7.0 |
7.7 |
1.8 |
100.0 |
51.9 |
16.0 |
7.4 |
17.2 |
7.5 |
자료: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가계금융복지조사」
- 23 -
16. 소득 분포
2019년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약 8가구는 연소득이 3,000만 원 미만임 |
□ ‘19년 1인가구의 77.4%는 가구소득이 3,000만 원 미만임
ㅇ 1인가구 소득분포를 보면, 1,000~3,000만 원 미만이 46.6%로 가장 많고, 1,000만 원 미만(30.8%), 3,000~5,000만 원 미만(14.7%) 등의 순임
- 1,000만 원 미만 소득 비중은 30.8%로 전체 가구(7.8%)의 약 4배 수준이며, 1억 원 이상 소득 비중은 0.8%로 전체 가구(15.2%)에 비해 매우 적음
< 가구의 소득 분포(2019) > |
|
< 가구의 소득 분포 >
(단위: %, %p)
전체 가구 |
1인가구 |
||||||||||||||
계 |
1,000 만원 미만 |
1,000 ~ 3,000만원 미만 |
3,000 ~ 5,000만원 미만 |
5,000 ~ 7,000만원 미만 |
7,000 ~ 1억원 미만 |
1억원 이상 |
계 |
1,000 만원 미만 |
1,000 ~ 3,000만원 미만 |
3,000 ~ 5,000만원 미만 |
5,000 ~ 7,000만원 미만 |
7,000 ~ 1억원 미만 |
1억원 이상 |
||
2017 |
100.0 |
9.3 |
24.5 |
22.0 |
15.9 |
14.4 |
13.9 |
100.0 |
36.7 |
42.2 |
13.7 |
4.4 |
2.1 |
0.9 |
|
2018 |
100.0 |
8.6 |
24.5 |
21.4 |
16.4 |
14.3 |
14.8 |
100.0 |
33.9 |
44.2 |
14.4 |
4.8 |
1.9 |
0.8 |
|
2019 |
100.0 |
7.8 |
24.7 |
20.9 |
16.2 |
15.3 |
15.2 |
100.0 |
30.8 |
46.6 |
14.7 |
4.9 |
2.2 |
0.8 |
|
증감 |
100.0 |
- 0.8 |
0.2 |
- 0.6 |
- 0.2 |
1.0 |
0.3 |
100.0 |
- 3.1 |
2.4 |
0.3 |
0.1 |
0.3 |
0.0 |
|
증감률 |
100.0 |
- 9.3 |
0.7 |
- 2.7 |
- 1.0 |
6.9 |
2.3 |
100.0 |
- 9.1 |
5.5 |
2.1 |
2.8 |
14.2 |
- 6.0 |
자료: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가계금융복지조사」
- 24 -
17. 월평균 소비지출
2020년 기준 1인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32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55.0% 수준임 |
□ ’20년 1인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132만 원으로 전체 가구(240만 원) 대비 55.0% 수준임
ㅇ 전체 가구는 식료품‧비주류 음료(15.9%), 음식‧숙박(13.3%), 교통(12.0%) 순이고, 1인가구는 주거‧수도‧광열(19.5%), 음식‧숙박(16.7%), 식료품‧비주류 음료(13.7%) 순임
ㅇ 비목별로 살펴보면, 1인가구는 전체 가구 대비 상대적으로 주거‧수도‧광열과 음식‧숙박, 주류‧담배의 지출 비중이 높음
< 가구 월평균 주요 소비지출(2020) > |
|
<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2020) >
(단위: 천원, %)
|
계 |
||||||||||||
식료품‧비주류음료 |
주류‧ 담배 |
의류‧ 신발 |
주거‧ 수도‧ 광열 |
가정용품 ‧가사 서비스 |
보건 |
교통 |
통신 |
오락‧ 문화 |
교육 |
음식‧ 숙박 |
기타 상품 서비스 |
||
전체 가구 |
2,400 (100.0) |
381 (15.9) |
38 (1.6) |
118 (4.9) |
286 (11.9) |
127 (5.3) |
221 (9.2) |
289 (12.0) |
120 (5.0) |
140 (5.8) |
159 (6.6) |
319 (13.3) |
204 (8.5) |
1인 가구 |
1,320 (100.0) |
181 (13.7) |
32 (2.4) |
64 (4.8) |
257 (19.5) |
57 (4.3) |
118 (8.9) |
125 (9.5) |
61 (4.6) |
84 (6.3) |
21 (1.6) |
220 (16.7) |
101 (7.7) |
자료: 통계청,「가계동향조사」
- 25 -
18. 자산·부채
2020년 기준 1인가구 자산은 1억 7천 6백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39.4% 수준임 |
□ ‘20년 기준 1인가구 자산은 1억 7천 6백만 원으로 전체 가구(4억 4천 5백만 원) 대비 39.4% 수준임
ㅇ 1인가구의 부채는 약 2천5백만 원으로 전체 가구 대비 30.5% 수준임
ㅇ 1인가구의 전년 대비 부채 증가율은 20.7%로 전체 가구(4.4%)의 약 4.7배 수준임
- 1인가구의 전년 대비 비목별 부채 증가율은 금융부채 23.8%, 임대보증금 13.9%로 전체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상승함
< 가구의 자산 > |
< 가구의 부채 > |
|
|
< 가구의 자산·부채1) >
(단위: 만원, %)
전체 가구 |
1인가구 |
||||||||||||
자산2) |
부채 |
자산2) |
부채 |
||||||||||
금융 자산 |
실물 자산 |
금융 부채 |
임대 보증금 |
금융 자산 |
실물 자산 |
금융 부채 |
임대 보증금 |
||||||
2018 |
42,036 |
10,346 |
31,689 |
7,668 |
5,539 |
2,129 |
15,689 |
4,480 |
11,209 |
2,188 |
1,485 |
703 |
|
2019 |
43,191 |
10,570 |
32,621 |
7,910 |
5,755 |
2,155 |
16,055 |
4,642 |
11,414 |
2,089 |
1,433 |
656 |
|
2020 |
44,543 |
10,504 |
34,039 |
8,256 |
6,050 |
2,207 |
17,551 |
4,918 |
12,633 |
2,521 |
1,774 |
747 |
|
증감 |
1,352 |
- 66 |
1,418 |
346 |
294 |
52 |
1,495 |
276 |
1,219 |
432 |
340 |
91 |
|
증감률 |
3.1 |
- 0.6 |
4.3 |
4.4 |
5.1 |
2.4 |
9.3 |
6.0 |
10.7 |
20.7 |
23.8 |
13.9 |
자료: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가계금융복지조사」
주: 1) 연도는 조사실시연도이며, 자산·부채는 조사연도 3월말 기준
2) 부채를 포함한 자산임
- 26 -
19. 소득 및 소비생활 만족도
2021년 기준 1인가구의 18.1%는 소득에, 14.9%는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만족함 |
□ ’21년 현재의 소득 및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대하여 만족하는 1인가구는 각각 18.1%, 14.9%로, 전체 19세 이상 인구에 비하여 각각 5.4%p, 3.8%p 낮음
ㅇ 1인가구의 소득에 대한 만족도는 2년 전에 비하여 6.7%p 증가함
ㅇ 1인가구의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년 전에 비하여 1.3%p 감소함
< 소득 만족도(2021) > |
< 소비생활 만족도(2021) > |
|
|
< 소득1) 및 소비생활 만족도 >
(단위: %, %p)
만족도 |
소득 |
소비 |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
전체 |
2019 |
14.1 |
42.4 |
43.5 |
16.8 |
48.1 |
35.0 |
|
2021 |
23.5 |
34.3 |
42.2 |
18.7 |
48.5 |
32.9 |
||
증감 |
9.4 |
- 8.1 |
- 1.3 |
1.9 |
0.4 |
- 2.1 |
||
1인가구 |
2019 |
11.4 |
37.8 |
50.8 |
16.2 |
44.5 |
39.3 |
|
2021 |
18.1 |
32.0 |
49.9 |
14.9 |
45.7 |
39.5 |
||
증감 |
6.7 |
- 5.8 |
- 0.9 |
- 1.3 |
1.2 |
0.2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19세 이상
주: 1) 가구의 월 평균소득임
- 27 -
Ⅴ. 건강
20. 의료비
2018년 기준 1인가구의 의료비는 95만 5천 원으로 18세 이상 인구의 약 1.4배 수준임 |
□ ’18년 1인가구의 연간 의료비는 95만 5천 원으로 18세 이상 의료비(68만 5천 원) 대비 약 1.4배 수준임
ㅇ ‘15년 이후 전체 인구(18세 이상)와 1인가구의 연간 의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18년 전체 인구(18세 이상) 대비 1인가구의 연간 의료비 격차는 27만 원으로, ’15년 이후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음
< 연간 의료비 > |
|
< 연간 의료비1) >
(단위: 천원, %,)
전체2)(A) |
1인가구(B) |
차이(B–A)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5 |
550 |
5 |
1.1 |
732 |
- 90 |
- 11.0 |
182 |
2016 |
615 |
65 |
11.8 |
858 |
126 |
17.2 |
243 |
2017 |
640 |
25 |
4.1 |
884 |
26 |
3.0 |
244 |
2018 |
685 |
45 |
7.0 |
955 |
71 |
8.0 |
270 |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의료패널조사」
주: 1) 의료비는 응급‧입원‧외래 수납액과 처방약값을 포함한 금액임
2) 18세 이상 인구
- 28 -
21. 건강 관리
2020년 전반적인 건강 관리 실천율은 1인가구가 전체 인구보다 낮음 |
□ ‘20년 1인가구의 건강관리 실천율은 정기 건강검진이 76.4%로 가장 높고, 그다음은 적정 수면(73.8%), 아침 식사하기(59.5%), 규칙적 운동(39.2%) 순임
ㅇ 1인가구의 건강관리 실천율은 모든 부문에서 전체 인구보다 낮음
- 적정수면은 6.3%p, 아침 식사하기는 5.3%p, 정기 건강검진은 4.3%p, 규칙적 운동은 1.7%p 낮음
ㅇ 1인가구의 건강관리 실천율은 2년 전에 비하여 모든 부문에서 소폭 상승함
< 건강 관리(2020) > |
|
< 건강 관리 >
아침 식사하기 |
적정수면(6〜8시간) |
규칙적 운동 |
정기 건강검진 |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
전체 |
2018 |
67.3 |
32.7 |
77.5 |
22.5 |
38.3 |
61.7 |
80.4 |
19.6 |
2020 |
64.8 |
35.2 |
80.1 |
19.9 |
40.9 |
59.1 |
80.7 |
19.3 |
|
1인 가구 |
2018 |
59.4 |
40.6 |
72.6 |
27.4 |
37.6 |
62.4 |
74.7 |
25.3 |
2020 |
59.5 |
40.5 |
73.8 |
26.2 |
39.2 |
60.8 |
76.4 |
23.6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13세 이상
- 29 -
22. 유병 기간
2020년 1인가구의 유병률은 전체 인구보다 높음 |
□ ‘20년 조사대상 기간 2주일 동안의 1인가구의 유병률은 38.9%로 전체 인구(25.0%)보다 13.9%p 높음
ㅇ 2년 전 대비 유병률은 1인가구는 0.1%p, 전체 인구는 2.5%p 감소함
□ 1인가구 유병자의 평균 유병일수는 11.3일로 전체 인구(9.9일)보다 1.4일 더 많음
ㅇ 2년 전 대비 1인가구 유병일수는 0.1일, 전체 인구는 0.5일 증가함
ㅇ 1인가구 유병자의 평균 누워 지낸 일수는 0.6일로 전체 인구(0.5일) 보다 0.1일 많음
< 유병률 > |
< 평균 유병일수(유병자 기준) > |
|
|
< 유병률 및 유병일수(2주간) >
유병률1) |
유병자의 평균 유병일수 |
유병자의 평균 누워 지낸 일수 |
||
전체 |
2018 |
27.5 |
9.4 |
0.5 |
2020 |
25.0 |
9.9 |
0.5 |
|
1인 가구 |
2018 |
39.0 |
11.2 |
0.4 |
2020 |
38.9 |
11.3 |
0.6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주: 1) 지난 2주일 동안 0세 이상 인구 중 질병이나 사고로 아팠던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
- 30 -
Ⅵ. 복지
23.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2020년 기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10가구 중 7가구는 1인가구임 |
□ ’20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가구는 약 101만 3천여 가구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 가구의 69.4%임
ㅇ 1인가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는 전년 대비 15.2%로 증가하였고, 전체 가구 증가율(13.8%)보다 1.4%p 높았음
ㅇ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14년 이후 매년 증가하여 ‘20년에는 69.4%로 지난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임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 |
|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
(단위: 가구, %)
|
전체 가구(A) |
1인가구(B) |
비중(B/A)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1 |
850,689 |
- 28,110 |
- 3.2 |
544,206 |
- 5,135 |
- 0.9 |
64.0 |
2012 |
821,879 |
- 28,810 |
- 3.4 |
540,924 |
- 3,282 |
- 0.6 |
65.8 |
2013 |
810,544 |
- 11,335 |
- 1.4 |
543,295 |
2,371 |
0.4 |
67.0 |
2014 |
814,184 |
3,640 |
0.4 |
557,275 |
13,980 |
2.6 |
68.4 |
2015 |
1,014,177 |
199,993 |
24.6 |
611,050 |
53,775 |
9.6 |
60.3 |
2016 |
1,035,435 |
21,258 |
2.1 |
630,037 |
18,987 |
3.1 |
60.8 |
2017 |
1,032,996 |
- 2,439 |
- 0.2 |
655,191 |
25,154 |
4.0 |
63.4 |
2018 |
1,165,175 |
132,179 |
12.8 |
771,235 |
116,044 |
17.7 |
66.2 |
2019 |
1,281,759 |
116,584 |
10.0 |
879,270 |
108,035 |
14.0 |
68.6 |
2020 |
1,459,059 |
177,300 |
13.8 |
1,012,753 |
133,483 |
15.2 |
69.4 |
자료: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 31 -
24.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
2021년 기준 1인가구의 53.2%는 본인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마련함 |
□ ‘21년 기준 1인가구의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으로 본인 스스로가 53.2%로 가장 많았고, 정부‧사회단체(31.2%), 자녀‧친척 지원(15.6%) 순임
ㅇ ‘09년 이후 1인가구의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스스로와 정부‧사회단체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하는 추세임
ㅇ 1인가구의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에 있어 본인 스스로, 정부‧사회단체의 비중은 2년 전보다 각각 1.6%p, 3.5%p 증가함
ㅇ 정부‧사회단체 도움으로 노후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1인가구가 31.2%로 전체 인구(13.4%)의 2.3배 수준임
<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60세 이상, 2021) > |
|
<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60세 이상) >
(단위: %, %p)
계 |
본인 및 배우자 부담 |
자녀‧ 친척 지원 |
정부 및 사회 단체 |
기타 |
|||||||||
소계 |
근로‧ 사업소득 |
재산소득 |
연금‧ 퇴직금 |
예금 (적금) |
기타 |
||||||||
전체 |
2011 |
100.0 |
60.1 |
100.0 |
50.9 |
12.4 |
27.6 |
9.1 |
- |
32.0 |
7.7 |
0.2 |
|
2013 |
100.0 |
63.6 |
100.0 |
53.1 |
12.2 |
24.9 |
9.9 |
- |
28.8 |
7.6 |
0.1 |
||
2015 |
100.0 |
66.6 |
100.0 |
54.4 |
11.7 |
27.6 |
6.3 |
- |
23.0 |
10.4 |
0.1 |
||
2017 |
100.0 |
69.9 |
100.0 |
54.2 |
10.3 |
28.1 |
7.3 |
0.0 |
20.2 |
9.9 |
- |
||
2019 |
100.0 |
69.9 |
100.0 |
58.1 |
9.5 |
26.2 |
6.1 |
0.0 |
17.7 |
12.4 |
- |
||
2021 |
100.0 |
72.5 |
100.0 |
57.3 |
7.7 |
29.7 |
5.3 |
- |
14.1 |
13.4 |
- |
||
증감 |
- |
2.6 |
- |
- 0.8 |
- 1.8 |
3.5 |
- 0.8 |
- |
- 3.6 |
1.0 |
- |
||
1인 가구 |
2011 |
100.0 |
43.2 |
100.0 |
46.8 |
11.1 |
29.5 |
12.6 |
- |
38.7 |
17.8 |
0.3 |
|
2013 |
100.0 |
42.2 |
100.0 |
52.1 |
12.0 |
24.3 |
11.5 |
- |
37.5 |
20.1 |
0.1 |
||
2015 |
100.0 |
47.2 |
100.0 |
47.8 |
10.5 |
34.8 |
6.9 |
- |
28.0 |
24.7 |
0.0 |
||
2017 |
100.0 |
49.3 |
100.0 |
49.6 |
10.2 |
30.9 |
9.4 |
0.0 |
28.8 |
22.0 |
- |
||
2019 |
100.0 |
51.6 |
100.0 |
55.1 |
8.7 |
26.3 |
9.7 |
0.2 |
20.8 |
27.7 |
- |
||
2021 |
100.0 |
53.2 |
100.0 |
55.3 |
9.2 |
27.2 |
8.3 |
- |
15.6 |
31.2 |
- |
||
증감 |
- |
1.6 |
- |
0.2 |
0.5 |
0.9 |
- 1.4 |
- 0.2 |
- 5.2 |
3.5 |
-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32 -
25.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
2021년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4가구는 취미활동을 하며 노후를 보내고 싶어함 |
□ ’21년 19세 이상 1인가구가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은 취미활동이 40.6%로 가장 많았고, 여행‧관광활동(29.0%), 소득창출활동(14.2%) 순임
◦ 소득창출활동으로 노후를 보내고 싶은 1인가구는 14.2%로 전체 인구(11.9%)보다 2.3%p 높음
<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2021) > |
|
<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19세 이상) >
(단위: %)
계 |
|||||||||
취미활동 |
여행·관광활동1) |
학습·자기개발 활동 |
자원봉사 활동 |
종교활동 |
소득창출 활동 |
기타 |
|||
전체 |
2019 |
100.0 |
59.5 |
- |
10.3 |
6.9 |
5.9 |
16.8 |
0.6 |
2021 |
100.0 |
39.5 |
32.5 |
6.8 |
4.6 |
4.2 |
11.9 |
0.5 |
|
1인 가구 |
2019 |
100.0 |
58.5 |
- |
9.2 |
6.9 |
6.6 |
17.3 |
1.5 |
2021 |
100.0 |
40.6 |
29.0 |
5.6 |
5.0 |
4.4 |
14.2 |
1.0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19세 이상
주: 1) 2021년 신규 추가 항목
- 33 -
26. 선호 장례방법
2021년 기준 1인가구는 화장 후 봉안을 가장 선호함 |
□ ’21년 기준 1인가구가 선호하는 장례방법은 「화장 후 봉안」이 34.4%로 가장 많았고, 「화장 후 산, 강, 바다에 뿌림」(27.4%), 「화장 후 자연장」 (26.9%) 순임
◦ 전체 인구는 「화장 후 봉안」(34.6%), 「화장 후 자연장」(33.0%), 「화장 후 산, 강, 바다에 뿌림」(22.3%) 순임
< 선호하는 장례 방법(2021) > |
|
< 선호하는 장례 방법(19세 이상) >
(단위: %)
계 |
|||||||
화장 후 봉안 (납골당, 납골묘 등) |
화장 후 산,강,바다에 뿌림1) |
화장 후 자연장 (수목장, 잔디장 등) |
매장(묘지) |
기타 |
|||
전체 |
2019 |
100.0 |
41.7 |
- |
46.4 |
9.7 |
2.2 |
2021 |
100.0 |
34.6 |
22.3 |
33.0 |
9.4 |
0.6 |
|
1인 가구 |
2019 |
100.0 |
39.6 |
- |
44.5 |
12.0 |
3.9 |
2021 |
100.0 |
34.4 |
27.4 |
26.9 |
10.6 |
0.7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19세 이상
주: 1) 2021년 신규 추가 항목
- 34 -
27. 1인가구 지원 정책 순위
2020년 1인가구 지원 정책은 주택 안정 지원(50.1%), 돌봄서비스 지원(13.4%) 순임 |
□ ‘20년 1인가구 지원 정책 1순위는 주택 안정 지원이 50.1%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돌봄서비스 지원(13.4%), 건강증진 지원(9.7%) 순임
◦ 남녀 모두 주택 안정 지원 비중이 가장 높고, 차 순위로 여자는 돌봄 서비스 지원, 남자는 건강증진 지원을 희망함
◦ 연령대별로도 주거 안정 지원은 20대~30대에서 가장 높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돌봄서비스, 건강증진, 가사 서비스 지원을 희망함
< 1인가구 지원 정책(1순위)(2020) > |
|
< 1인가구 지원 정책(1순위)(2020) >
(단위: %)
주택 안정 지원 |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 |
돌봄 서비스 지원 |
가사 서비스 지원 |
심리정서적 지원 |
사회적 관계망 지원 |
여가문화활동 |
건강 증진 지원 |
고독사 및 장례에 대한 지원 |
|
전체 |
50.1 |
5.4 |
13.4 |
7.0 |
6.0 |
2.6 |
4.1 |
9.7 |
1.9 |
남자 |
61.3 |
4.9 |
6.1 |
5.9 |
4.9 |
3.8 |
4.1 |
6.8 |
2.2 |
여자 |
40.2 |
5.8 |
19.8 |
8.0 |
6.9 |
1.6 |
4.1 |
12.2 |
1.6 |
12〜19세 |
77.2 |
5.9 |
0.0 |
3.3 |
5.6 |
3.2 |
4.7 |
0.0 |
0.0 |
20〜29세 |
81.4 |
5.1 |
1.0 |
3.1 |
1.6 |
2.6 |
2.8 |
2.0 |
0.5 |
30〜39세 |
80.2 |
4.0 |
0.9 |
1.4 |
2.7 |
3.1 |
5.1 |
1.3 |
1.3 |
40〜49세 |
66.0 |
7.8 |
2.4 |
2.6 |
3.2 |
3.5 |
4.8 |
7.2 |
2.6 |
50〜59세 |
56.5 |
7.7 |
6.4 |
4.6 |
6.1 |
3.8 |
4.8 |
8.7 |
1.4 |
60〜69세 |
36.2 |
5.9 |
13.9 |
9.3 |
9.1 |
2.7 |
3.3 |
17.8 |
1.9 |
70세 이상 |
18.0 |
3.4 |
34.4 |
13.4 |
8.7 |
1.3 |
4.1 |
13.9 |
2.8 |
미혼 |
74.4 |
6.3 |
2.4 |
2.6 |
2.6 |
3.3 |
3.4 |
3.1 |
1.9 |
유배우 |
35.7 |
7.2 |
8.3 |
11.8 |
6.2 |
5.6 |
11.7 |
12.7 |
0.8 |
이혼 또는 별거 |
55.8 |
5.5 |
9.7 |
4.9 |
7.1 |
1.6 |
1.4 |
11.7 |
2.3 |
사별 |
17.0 |
3.5 |
31.8 |
13.3 |
9.5 |
1.7 |
5.2 |
16.3 |
1.7 |
자료: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35 -
Ⅶ. 여가
28. 여가 활용
2021년 기준 1인가구는 전체 인구에 비하여 정적인 활동으로 여가를 보냄 |
□ ‘21년 1인가구의 주말 여가 활동은 동영상 콘텐츠 시청이 83.8%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휴식(73.8%), 컴퓨터 게임‧인터넷 검색(27.6%), 취미‧자기개발(20.8%) 등의 순임
ㅇ 1인가구는 전체 인구에 비하여 동영상 콘텐츠 시청, 휴식 활동 등 정적인 활동으로 여가를 보내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음
< 여가 활용(주말 기준, 2021) > |
|
< 여가 활용1)(2021) >
(단위: %)
전체 |
1인가구 |
|||
주중 |
주말 |
주중 |
주말 |
|
동영상 콘텐츠 시청2) |
88.9 |
83.0 |
89.0 |
83.8 |
휴식활동 |
69.0 |
70.7 |
72.5 |
73.8 |
컴퓨터 게임, 인터넷 검색 등 |
38.7 |
33.7 |
30.9 |
27.6 |
취미·자기개발 활동 |
25.2 |
22.6 |
22.7 |
20.8 |
스포츠활동 |
13.7 |
15.0 |
12.9 |
13.8 |
사회활동 |
5.7 |
9.7 |
5.8 |
9.7 |
문화예술 관람 |
5.9 |
7.8 |
5.3 |
6.8 |
관광활동 |
2.7 |
10.5 |
1.7 |
6.6 |
문화예술 활동 |
4.5 |
3.9 |
3.2 |
3.2 |
스포츠경기관람 |
2.8 |
2.6 |
2.0 |
2.3 |
기타 |
0.3 |
0.4 |
0.2 |
0.4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주: 1) 13세 이상, 복수응답
2) 동영상 콘텐츠 시청(TV, 유선방송, IPTV, 유튜브, 넷플릭스 등)
- 36 -
29. 하루 평균 여가시간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4.7시간임 |
□ ‘20년 1인가구의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전년 대비 0.5시간 증가한 4.7시간으로 전체 인구보다 1시간 더 많음
ㅇ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증가 추세로, ‘18년 대비 전체 인구는 0.4시간, 1인가구는 0.9시간 늘어남
ㅇ 1인가구의 43.1%가 평일 하루 평균 5시간 이상의 여가시간을 갖는반면, 전체 인구의 경우 26.2%만이 평일 하루 평균 5시간 이상의 여가시간을 가짐
< 하루 평균 여가시간(평일 기준, 2020) > |
|
< 하루 평균 여가시간(평일) >
(단위: %, 시간)
|
계 |
3시간 미만 |
3~5시간 미만 |
5~7시간 미만 |
7~9시간 미만 |
9시간 이상 |
평균 |
|
전체 |
2018 |
100.0 |
36.3 |
45.6 |
14.1 |
2.9 |
1.1 |
3.3 |
2019 |
100.0 |
36.0 |
40.3 |
17.1 |
3.8 |
2.9 |
3.5 |
|
2020 |
100.0 |
32.3 |
41.5 |
17.9 |
5.5 |
2.8 |
3.7 |
|
1인 가구
|
2018 |
100.0 |
29.6 |
40.3 |
19.5 |
6.6 |
4.0 |
3.8 |
2019 |
100.0 |
27.6 |
35.9 |
21.1 |
8.4 |
6.9 |
4.2 |
|
2020 |
100.0 |
19.4 |
37.6 |
22.8 |
10.6 |
9.7 |
4.7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국민여가활동조사」
- 37 -
30.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
2020년 기준 1인가구 3가구 중 1가구는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이 5만 원 미만임 |
□ ‘20년 기준 1인가구의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은 15만 원 이상이 31.4%로 가장 많고, 3만 원 미만(21.0%), 9~15만 원(17.2%), 5~7만 원(15.7%) 순임
ㅇ 전체 인구는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 15만 원 이상이 40.4%로, 1인가구보다 9.0%p 높았고, 3만 원 미만은 1인가구가 전체 인구보다 11.3%p 높음
ㅇ 전년과 비교했을 때 1인가구의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은 3만 원 미만 구간의 비중이 증가하고, 9만 원 이상 구간의 비중이 감소함
<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2020) > |
|
<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 >
(단위: %, %p)
전체 |
1인가구 |
||||||||||||||
계 |
3만원 미만 |
3〜5 만원 |
5〜7 만원 |
7〜9 만원 |
9〜15 만원 |
15만원 이상 |
계 |
3만원 미만 |
3〜5 만원 |
5〜7 만원 |
7〜9 만원 |
9〜15 만원 |
15만원 이상 |
||
2018 |
100.0 |
5.1 |
7.8 |
14.8 |
6.4 |
22.3 |
43.6 |
100.0 |
8.4 |
10.6 |
17.5 |
5.5 |
21.4 |
36.6 |
|
2019 |
100.0 |
9.8 |
8.1 |
17.4 |
2.9 |
20.3 |
41.5 |
100.0 |
18.3 |
11.5 |
15.9 |
2.5 |
18.2 |
33.5 |
|
2020 |
100.0 |
9.7 |
9.4 |
16.6 |
3.0 |
20.9 |
40.4 |
100.0 |
21.0 |
11.9 |
15.7 |
2.7 |
17.2 |
31.4 |
|
증감 |
- |
- 0.1 |
1.3 |
- 0.8 |
0.1 |
0.6 |
- 1.1 |
- |
2.7 |
0.4 |
- 0.2 |
0.2 |
- 1.0 |
- 2.1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국민여가활동조사」
- 38 -
31. 여가생활 만족도
2021년 기준 1인가구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22.8%로 2년 전보다 4.3%p 낮음 |
□ ’21년 기준 1인가구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2년 전보다 4.3%p 낮은 22.8%임
ㅇ 1인가구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전체 인구보다 낮은 경향이 있으며, 불만족 원인은 경제적 부담(48.8%), 건강‧체력 부족(18.5%) 등의 순임
< 여가생활 만족도(만족) > |
|
< 여가생활 만족 여부1) 및 불만족 이유 >
(단위: %)
계 |
만족 |
보통 |
불만족 |
||||||||||
소계 |
경제적 부담 |
시간 부족 |
교통 혼잡 |
시설· 정보 부족 |
취미· 동반자 부재 |
건강‧ 체력 부족 |
기타2) |
||||||
전체 |
2011 |
100.0 |
19.3 |
48.6 |
32.0 |
100.0 |
60.9 |
23.2 |
1.0 |
2.9 |
5.0 |
6.8 |
0.3 |
2013 |
100.0 |
27.0 |
47.8 |
25.1 |
100.0 |
57.7 |
21.1 |
1.6 |
3.0 |
7.0 |
9.3 |
0.2 |
|
2015 |
100.0 |
26.0 |
48.9 |
25.1 |
100.0 |
58.2 |
20.2 |
1.8 |
3.1 |
6.2 |
9.7 |
0.8 |
|
2017 |
100.0 |
27.2 |
46.6 |
26.2 |
100.0 |
54.2 |
24.4 |
1.7 |
2.6 |
6.2 |
10.4 |
0.4 |
|
2019 |
100.0 |
28.8 |
47.0 |
24.2 |
100.0 |
52.4 |
24.5 |
1.1 |
2.8 |
6.6 |
12.5 |
0.1 |
|
2021 |
100.0 |
27.0 |
49.4 |
23.6 |
100.0 |
46.1 |
19.3 |
1.3 |
5.2 |
7.1 |
10.4 |
10.6 |
|
1인 가구 |
2011 |
100.0 |
17.6 |
45.9 |
36.5 |
100.0 |
66.6 |
12.0 |
1.0 |
1.2 |
5.7 |
13.5 |
0.1 |
2013 |
100.0 |
22.5 |
47.9 |
29.6 |
100.0 |
57.4 |
9.5 |
1.3 |
1.6 |
9.9 |
20.0 |
0.2 |
|
2015 |
100.0 |
22.9 |
47.3 |
29.7 |
100.0 |
57.4 |
11.3 |
1.1 |
1.1 |
7.7 |
21.4 |
0.0 |
|
2017 |
100.0 |
22.6 |
47.6 |
29.8 |
100.0 |
54.4 |
15.1 |
1.2 |
1.9 |
7.4 |
19.7 |
0.2 |
|
2019 |
100.0 |
27.1 |
45.1 |
27.8 |
100.0 |
52.5 |
14.0 |
1.0 |
1.8 |
8.4 |
22.2 |
- |
|
2021 |
100.0 |
22.8 |
49.7 |
27.5 |
100.0 |
48.8 |
10.4 |
1.4 |
4.1 |
9.9 |
18.5 |
6.9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주: 1) 13세 이상
2) 2021년 코로나19와 관련이 있는 경우 기타로 응답
- 39 -
Ⅷ. 안전
32.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2020년 1인가구 3가구 중 1가구는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응답함 |
□ ‘20년 1인가구의 32.4%는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해 안전하다고 응답함
ㅇ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인구와 1인가구 모두 2년 전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이 각각 11.3%p, 10.6%p 증가함
□ ‘20년 1인가구의 26.6%가 범죄에 대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응답함
ㅇ 범죄에 대한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인구와 1인가구 모두 2년 전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이 각각 9.6%p, 8.4%p 증가함
<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 |
< 범죄에 대한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 |
|
|
<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
(단위: %, %p)
계 |
||||||
안전 |
보통 |
불안 |
||||
전체 |
2018 |
100.0 |
20.5 |
48.2 |
31.3 |
|
2020 |
100.0 |
31.8 |
44.4 |
23.9 |
||
증감 |
- |
11.3 |
- 3.8 |
- 7.4 |
||
1인 가구 |
2018 |
100.0 |
21.8 |
47.6 |
30.6 |
|
2020 |
100.0 |
32.4 |
42.5 |
25.1 |
||
증감 |
- |
10.6 |
- 5.1 |
- 5.5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범죄에 대한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 >
(단위: %, %p)
계 |
||||||
안전 |
보통 |
불안 |
||||
전체 |
2018 |
100.0 |
17.2 |
32.0 |
50.8 |
|
2020 |
100.0 |
26.8 |
33.3 |
39.9 |
||
증감 |
- |
9.6 |
1.3 |
- 10.9 |
||
1인 가구 |
2018 |
100.0 |
18.2 |
32.1 |
49.7 |
|
2020 |
100.0 |
26.6 |
30.6 |
42.8 |
||
증감 |
- |
8.4 |
- 1.5 |
- 6.9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 40 -
33. 현재 체감 환경
2020년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4가구는 현재 생활 환경이 좋다고 인식함 |
□ ‘20년 기준 1인가구 44.2%는 현재 전반적인 생활 환경이 좋다고 응답하였으나, 전체 인구보다 1.5%p 낮음
ㅇ 전체 인구와 1인가구 모두 현재 전반적인 생활 환경이 좋다고 응답한 비중이 2년 전보다 각각 9.9%p, 9.1%p 증가함
- 현재 생활 환경이 매우 좋다고 응답한 비중도 2년 전보다 전체 인구와 1인가구 모두 4.3%p, 4.5%p 증가함
ㅇ 현재 생활 환경이 나쁘다고 응답한 1인가구 비중은 10.7%로 전체 인구 (9.1%)보다 1.6%p 높았음
< 전반적인 생활 환경(2020) > |
< 전반적인 생활 환경(좋음) > |
|
|
< 전반적인 생활 환경 >
(단위: %)
좋다 |
보통 이다 |
나쁘다 |
||||||
매우 좋다 |
약간 좋다 |
약간 나쁘다 |
매우 나쁘다 |
|||||
전체 |
2018 |
35.8 |
7.5 |
28.3 |
48.0 |
16.2 |
14.0 |
2.1 |
2020 |
45.7 |
11.8 |
33.9 |
45.2 |
9.1 |
8.1 |
1.0 |
|
1인 가구 |
2018 |
35.1 |
8.3 |
26.8 |
46.6 |
18.4 |
16.2 |
2.2 |
2020 |
44.2 |
12.8 |
31.4 |
45.1 |
10.7 |
9.8 |
0.9 |
자료: 통계청,「사회조사」
통계표
Ⅰ. 인구·가구 1. 성·연령대별 1인가구 1- 1. 가구원수별 가구46 1- 2. 성·연령대별 1인가구47 2. 1인가구의 지역별 분포 2- 1. 가구의 지역별 분포48 2- 2. 지역별 1인가구의 연령대 분포49 2- 3. 연령대별 1인가구의 지역 분포50 2- 4. 연령대별 1인가구 시군구 분포_ 상위 5개 지역51 3.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52 4.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53 5. 1인가구 사유54 6. 1인가구의 어려움55 Ⅱ. 주거 7. 주거유형56 8. 주거면적57 9. 주거환경 만족도58 10. 주거지원 프로그램 선호도 10- 1. 주거지원 프로그램 필요성59 10- 2. 우선적으로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59 11. 마시는 물60 12. 소방시설 보유60 Ⅲ. 고용 13. 경제활동 13- 1. 성별 취업 1인가구61 13- 2. 연령대별 취업 1인가구61 13- 3. 교육정도별 취업 1인가구62 13- 4. 직업별 취업 1인가구62 14. 주당 평균 취업시간63 |
- 42 -
Ⅳ. 소득·소비·자산 15. 소득64 16. 소득 분포65 17. 월평균 소비지출66 18. 자산·부채66 19. 소득 및 소비생활 만족도67 Ⅴ. 건강 20. 의료비67 21. 건강 관리68 22. 유병 기간68 Ⅵ. 복지 23.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69 24.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70 25.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71 26. 선호 장례방법71 27. 1인가구 지원 정책 순위72 Ⅶ. 여가 28. 여가 활용73 29. 하루 평균 여가시간74 30.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74 31. 여가생활 만족도75 Ⅷ. 안전·환경 32. 사회 안전에 대한 인식76 33. 현재 체감 환경76 |
1- 1. 가구원 수별 가구 |
(단위: 천 가구, %) |
||||||||||
전체 가구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 이상 가구 |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비중 |
||||||
2016 |
19,368 |
100.0 |
5,398 |
27.9 |
5,067 |
26.2 |
4,152 |
21.4 |
4,751 |
24.5 |
2017 |
19,674 |
100.0 |
5,619 |
28.6 |
5,260 |
26.7 |
4,179 |
21.2 |
4,616 |
23.5 |
2018 |
19,979 |
100.0 |
5,849 |
29.3 |
5,446 |
27.3 |
4,204 |
21.0 |
4,481 |
22.4 |
2019 |
20,343 |
100.0 |
6,148 |
30.2 |
5,663 |
27.8 |
4,218 |
20.7 |
4,315 |
21.2 |
2020 |
20,927 |
100.0 |
6,643 |
31.7 |
5,865 |
28.0 |
4,201 |
20.1 |
4,218 |
20.2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43 -
1- 2. 성·연령대별 1인가구(2020) |
(단위: 천 가구, %) |
||||||
1인가구 |
||||||
계 |
||||||
남자 |
여자 |
|||||
비중 |
비중 |
비중 |
||||
계 |
6,643 |
100.0 |
3,304 |
100.0 |
3,339 |
100.0 |
76 |
1.1 |
36 |
1.1 |
40 |
1.2 |
|
20세 미만 |
||||||
20~29세 |
1,267 |
19.1 |
650 |
19.7 |
617 |
18.5 |
30~39세 |
1,116 |
16.8 |
715 |
21.6 |
401 |
12.0 |
40~49세 |
904 |
13.6 |
572 |
17.3 |
332 |
9.9 |
50~59세 |
1,039 |
15.6 |
595 |
18.0 |
445 |
13.3 |
60~69세 |
1,039 |
15.6 |
451 |
13.6 |
588 |
17.6 |
70~79세 |
733 |
11.0 |
199 |
6.0 |
534 |
16.0 |
80세 이상 |
470 |
7.1 |
87 |
2.6 |
383 |
11.5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44 -
2- 1. 가구의 지역별 분포(2020) |
(단위: 천 가구, %) |
|||||
전체 가구 (A) |
1인가구 (B) |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B/A) |
|||
비중 |
비중 |
||||
계 |
20,927 |
100.0 |
6,643 |
100.0 |
31.7 |
서울 |
3,982 |
19.0 |
1,391 |
20.9 |
34.9 |
부산 |
1,405 |
6.7 |
455 |
6.9 |
32.4 |
대구 |
986 |
4.7 |
305 |
4.6 |
30.9 |
인천 |
1,147 |
5.5 |
325 |
4.9 |
28.3 |
광주 |
599 |
2.9 |
194 |
2.9 |
32.4 |
대전 |
631 |
3.0 |
229 |
3.4 |
36.3 |
울산 |
444 |
2.1 |
123 |
1.8 |
27.7 |
세종 |
139 |
0.7 |
44 |
0.7 |
31.3 |
경기 |
5,098 |
24.4 |
1,406 |
21.2 |
27.6 |
강원 |
661 |
3.2 |
231 |
3.5 |
35.0 |
충북 |
679 |
3.2 |
236 |
3.6 |
34.8 |
충남 |
892 |
4.3 |
305 |
4.6 |
34.2 |
전북 |
756 |
3.6 |
255 |
3.8 |
33.8 |
전남 |
762 |
3.6 |
257 |
3.9 |
33.7 |
경북 |
1,132 |
5.4 |
389 |
5.9 |
34.4 |
경남 |
1,350 |
6.5 |
418 |
6.3 |
30.9 |
제주 |
263 |
1.3 |
82 |
1.2 |
31.1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45 -
2- 2. 지역별 1인가구의 연령대 분포(2020) |
(단위: %) |
|||||||||
계 |
20세미만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계 |
100.0 |
1.1 |
19.1 |
16.8 |
13.6 |
15.6 |
15.6 |
11.0 |
7.1 |
서울 |
100.0 |
1.0 |
26.1 |
22.3 |
13.1 |
12.1 |
12.4 |
8.6 |
4.5 |
부산 |
100.0 |
1.1 |
18.3 |
13.5 |
11.7 |
15.3 |
19.4 |
13.8 |
7.0 |
대구 |
100.0 |
0.9 |
17.5 |
14.3 |
13.1 |
17.1 |
17.7 |
12.1 |
7.2 |
인천 |
100.0 |
0.8 |
15.8 |
16.7 |
15.5 |
17.9 |
16.8 |
10.5 |
6.0 |
광주 |
100.0 |
1.4 |
21.3 |
17.3 |
14.6 |
15.6 |
14.2 |
10.0 |
5.7 |
대전 |
100.0 |
3.4 |
29.7 |
16.4 |
11.8 |
13.2 |
12.8 |
8.0 |
4.6 |
울산 |
100.0 |
0.5 |
14.4 |
17.0 |
16.4 |
19.0 |
18.1 |
9.9 |
4.7 |
세종 |
100.0 |
3.1 |
31.0 |
21.4 |
14.0 |
12.3 |
9.2 |
5.5 |
3.6 |
경기 |
100.0 |
0.6 |
16.9 |
19.4 |
16.3 |
17.0 |
15.1 |
9.4 |
5.3 |
강원 |
100.0 |
2.2 |
17.5 |
10.9 |
11.2 |
17.4 |
18.6 |
13.2 |
9.1 |
충북 |
100.0 |
1.9 |
20.7 |
14.0 |
12.0 |
16.2 |
15.8 |
11.1 |
8.3 |
충남 |
100.0 |
1.8 |
18.8 |
15.1 |
12.5 |
15.6 |
15.0 |
11.6 |
9.5 |
전북 |
100.0 |
1.5 |
16.8 |
11.3 |
11.6 |
15.7 |
16.6 |
14.8 |
11.6 |
전남 |
100.0 |
1.0 |
11.2 |
9.9 |
11.0 |
16.4 |
17.6 |
17.8 |
15.1 |
경북 |
100.0 |
1.5 |
15.4 |
11.8 |
11.5 |
16.2 |
17.7 |
14.2 |
11.6 |
경남 |
100.0 |
0.6 |
11.9 |
13.2 |
13.9 |
18.0 |
19.0 |
13.6 |
9.7 |
제주 |
100.0 |
0.8 |
13.9 |
15.3 |
17.7 |
20.7 |
16.0 |
9.2 |
6.5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46 -
2- 3. 연령대별 1인가구의 지역 분포(2020) |
(단위: %) |
|||||||||
계 |
20세미만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서울 |
20.9 |
18.6 |
28.6 |
27.8 |
20.1 |
16.1 |
16.5 |
16.3 |
13.4 |
부산 |
6.9 |
6.4 |
6.6 |
5.5 |
5.9 |
6.7 |
8.5 |
8.6 |
6.8 |
대구 |
4.6 |
3.6 |
4.2 |
3.9 |
4.4 |
5.0 |
5.2 |
5.0 |
4.7 |
인천 |
4.9 |
3.3 |
4.1 |
4.9 |
5.6 |
5.6 |
5.3 |
4.6 |
4.1 |
광주 |
2.9 |
3.6 |
3.3 |
3.0 |
3.1 |
2.9 |
2.6 |
2.6 |
2.4 |
대전 |
3.4 |
10.3 |
5.4 |
3.4 |
3.0 |
2.9 |
2.8 |
2.5 |
2.3 |
울산 |
1.8 |
0.8 |
1.4 |
1.9 |
2.2 |
2.3 |
2.1 |
1.7 |
1.2 |
세종 |
0.7 |
1.7 |
1.1 |
0.8 |
0.7 |
0.5 |
0.4 |
0.3 |
0.3 |
경기 |
21.2 |
11.7 |
18.7 |
24.4 |
25.4 |
23.0 |
20.4 |
18.0 |
16.0 |
강원 |
3.5 |
6.5 |
3.2 |
2.3 |
2.9 |
3.9 |
4.1 |
4.2 |
4.5 |
충북 |
3.6 |
6.0 |
3.9 |
3.0 |
3.1 |
3.7 |
3.6 |
3.6 |
4.2 |
충남 |
4.6 |
7.1 |
4.5 |
4.1 |
4.2 |
4.6 |
4.4 |
4.8 |
6.2 |
전북 |
3.8 |
5.0 |
3.4 |
2.6 |
3.3 |
3.9 |
4.1 |
5.2 |
6.3 |
전남 |
3.9 |
3.5 |
2.3 |
2.3 |
3.1 |
4.0 |
4.4 |
6.2 |
8.3 |
경북 |
5.9 |
7.7 |
4.7 |
4.1 |
4.9 |
6.0 |
6.6 |
7.6 |
9.6 |
경남 |
6.3 |
3.3 |
3.9 |
5.0 |
6.4 |
7.3 |
7.6 |
7.8 |
8.6 |
제주 |
1.2 |
0.8 |
0.9 |
1.1 |
1.6 |
1.6 |
1.3 |
1.0 |
1.1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47 -
2- 4. 연령대별 1인가구 시군구 분포_ 상위 5개 지역(2020) |
(단위: %) |
|||||
1순위 |
2순위 |
3순위 |
4순위 |
5순위 |
|
전체 |
서울 관악구 (1.9) |
경기 화성시 (1.4) |
서울 강서구 (1.3) |
경기 부천시 (1.3) |
서울 송파구 (1.1) |
20세미만 |
대전 유성구 (3.3) |
대전 동구 (3.2) |
대전 서구 (2.9) |
강원 강릉시 (2.9) |
서울 성북구 (2.5) |
20~29세 |
서울 관악구 (4.1) |
서울 동작구 (1.8) |
대전 유성구 (1.8) |
대전 서구 (1.8) |
서울 동대문구 (1.7) |
30~39세 |
서울 관악구 (3.0) |
경기 화성시 (2.2) |
서울 강서구 (2.0) |
서울 강남구 (1.9) |
서울 송파구 (1.9) |
40~49세 |
경기 화성시 (1.7) |
경기 부천시 (1.5) |
서울 관악구 (1.5) |
경기 평택시 (1.4) |
서울 강남구 (1.3) |
50~59세 |
경기 부천시 (1.5) |
경기 화성시 (1.2) |
대구 달서구 (1.2) |
경기 평택시 (1.2) |
제주시 (1.1) |
60~69세 |
경기 부천시 (1.5) |
대구 달서구 (1.2) |
서울 강서구 (1.1) |
인천 남동구 (1.0) |
경기 남양주시 (1.0) |
70~79세 |
경기 부천시 (1.2) |
서울 노원구 (1.1) |
대구 달서구 (1.0) |
서울 강서구 (1.0) |
부산 부산진구 (0.9) |
80세이상 |
경기 부천시 (1.0) |
서울 노원구 (1.0) |
대구 달서구 (0.9) |
경북 경주시 (0.9) |
경남 진주시 (0.9)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250개 시군구 기준임 |
- 48 -
3. 1인가구로 생활한 기간(2020) |
(단위: %, 개월) |
|||||||||
계 |
1년 미만 |
1〜3년 미만 |
3〜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20년 미만 |
20〜30년 미만 |
30년 이상 |
평균 (개월) |
|
전체 |
100.0 |
8.8 |
18.1 |
12.4 |
17.5 |
24.8 |
12.1 |
6.5 |
119.2 |
12〜19세 |
100.0 |
60.8 |
30.9 |
2.6 |
5.6 |
0.0 |
0.0 |
0.0 |
14.4 |
20〜29세 |
100.0 |
20.5 |
37.2 |
20.7 |
16.7 |
4.9 |
0.0 |
0.0 |
36.7 |
30〜39세 |
100.0 |
8.0 |
20.9 |
14.6 |
26.0 |
27.3 |
3.2 |
0.0 |
79.6 |
40〜49세 |
100.0 |
6.5 |
16.9 |
13.8 |
15.4 |
28.7 |
15.4 |
3.3 |
114.1 |
50〜59세 |
100.0 |
8.0 |
15.4 |
9.2 |
17.4 |
28.2 |
13.5 |
8.3 |
130.1 |
60〜69세 |
100.0 |
7.3 |
12.1 |
11.5 |
15.1 |
27.6 |
17.9 |
8.4 |
145.2 |
70세 이상 |
100.0 |
3.5 |
12.7 |
9.3 |
16.7 |
29.2 |
16.6 |
12.0 |
162.0 |
자료: |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 49 -
4. 1인가구가 되기 전 함께 살았던 사람(2020) |
(단위: %) |
|||||||||||
배우자 |
자녀 |
자녀의 배우자 |
부모 |
배우자의 부모 |
조부모 |
배우자의 조부모 |
형제 자매 |
형제 자매의 배우자 |
기타 친인척 |
기타 동거인 |
|
전체 |
45.7 |
28.2 |
1.4 |
37.6 |
0.9 |
1.6 |
0.1 |
12.7 |
0.2 |
0.7 |
3.6 |
12〜19세 |
0.0 |
0.0 |
0.0 |
91.1 |
0.0 |
3.2 |
0.0 |
40.1 |
0.0 |
3.8 |
5.6 |
20〜29세 |
0.9 |
1.1 |
0.9 |
89.4 |
0.0 |
6.3 |
0.0 |
43.3 |
0.8 |
1.6 |
4.8 |
30〜39세 |
5.4 |
4.2 |
1.7 |
80.5 |
0.4 |
3.1 |
0.0 |
28.7 |
0.4 |
1.1 |
7.2 |
40〜49세 |
28.9 |
22.8 |
1.2 |
56.1 |
1.1 |
1.3 |
0.2 |
12.3 |
0.0 |
0.3 |
7.3 |
50〜59세 |
55.0 |
51.8 |
1.8 |
24.2 |
2.1 |
0.5 |
0.2 |
4.2 |
0.0 |
0.4 |
3.7 |
60〜69세 |
64.4 |
46.2 |
0.7 |
12.8 |
1.1 |
0.0 |
0.1 |
2.4 |
0.0 |
0.5 |
2.4 |
70세 이상 |
78.1 |
30.5 |
1.8 |
5.9 |
0.8 |
0.4 |
0.2 |
0.8 |
0.0 |
0.5 |
0.5 |
미혼 |
0.0 |
1.1 |
1.2 |
86.6 |
0.0 |
3.7 |
0.0 |
30.8 |
0.4 |
1.3 |
6.7 |
유배우(사실혼, 비혼 동거 포함) |
95.4 |
52.4 |
1.5 |
5.8 |
1.9 |
0.2 |
0.3 |
1.3 |
0.0 |
0.0 |
0.0 |
이혼 또는 별거 |
68.1 |
60.9 |
1.5 |
5.8 |
2.4 |
0.5 |
0.2 |
1.2 |
0.0 |
0.1 |
4.1 |
사별 |
77.7 |
34.1 |
1.4 |
3.6 |
0.8 |
0.0 |
0.1 |
0.0 |
0.0 |
0.7 |
0.1 |
자료: |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복수응답 |
- 50 -
5. 1인가구 사유(2020) |
(단위: %) |
||||||||||||
혼자 살고 싶어서 |
가족과 지내는 것이 불편 해서 |
본인의 학업· 직장 |
배우자의사망 |
본인의 이혼 |
배우자의 학업· 직장 |
자녀의학업· 직장 |
부모나 자녀의 사망 |
자녀의 이혼 |
부모의 이혼 |
부모의직장 |
기타 |
|
전체 |
16.2 |
4.1 |
24.4 |
23.4 |
15.6 |
1.8 |
4.9 |
4.0 |
0.0 |
0.3 |
0.4 |
4.8 |
12〜19세 |
22.5 |
3.3 |
68.1 |
0.0 |
0.0 |
0.0 |
0.0 |
0.0 |
0.0 |
6.1 |
0.0 |
0.0 |
20〜29세 |
19.9 |
5.0 |
70.0 |
0.0 |
0.5 |
0.3 |
1.1 |
1.2 |
0.0 |
0.1 |
0.6 |
1.4 |
30〜39세 |
25.8 |
3.9 |
58.5 |
0.5 |
1.8 |
0.6 |
0.8 |
3.1 |
0.0 |
1.1 |
1.8 |
2.1 |
40〜49세 |
29.8 |
6.3 |
30.9 |
0.6 |
17.1 |
2.7 |
1.8 |
8.5 |
0.0 |
0.6 |
0.7 |
1.1 |
50〜59세 |
16.4 |
4.0 |
13.5 |
7.1 |
35.0 |
3.5 |
6.7 |
6.1 |
0.0 |
0.0 |
0.2 |
7.6 |
60〜69세 |
9.3 |
3.6 |
4.3 |
25.2 |
31.0 |
3.9 |
9.7 |
5.3 |
0.0 |
0.0 |
0.0 |
7.8 |
70세 이상 |
8.6 |
3.3 |
0.8 |
65.1 |
8.0 |
0.4 |
6.1 |
2.0 |
0.0 |
0.1 |
0.0 |
5.8 |
자료: |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 51 -
6. 1인가구의 어려움(2020) |
(단위: %) |
||||||||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 있어 외롭다 |
아프거나 위급할 때 혼자서 대처하기 어렵다 |
균형잡힌 식사를 하기 어렵다 |
가사(식사준비, 주거관리, 장보기)등을 하기 어렵다 |
주거 환경이 안전하지 않다 |
범죄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
나를 부양해주는 가족이 없어 경제적으로 불안하다 |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있다 |
|
전체 |
18.3 |
30.9 |
42.4 |
25.0 |
11.5 |
9.6 |
19.5 |
9.9 |
남자 |
18.7 |
28.0 |
47.1 |
28.5 |
11.7 |
7.4 |
18.8 |
11.0 |
여자 |
18.1 |
33.6 |
38.1 |
22.0 |
11.4 |
11.6 |
20.2 |
9.2 |
12〜19세 |
19.5 |
26.1 |
56.9 |
30.7 |
19.3 |
19.3 |
23.2 |
16.7 |
20〜29세 |
8.0 |
15.3 |
46.6 |
23.4 |
9.6 |
12.4 |
6.7 |
7.8 |
30〜39세 |
9.1 |
17.3 |
42.8 |
21.1 |
10.6 |
8.2 |
8.7 |
7.1 |
40〜49세 |
9.5 |
17.6 |
32.3 |
11.5 |
7.3 |
5.5 |
12.4 |
13.0 |
50〜59세 |
16.0 |
27.4 |
34.2 |
18.9 |
12.2 |
8.8 |
26.7 |
11.5 |
60〜69세 |
25.8 |
38.6 |
42.3 |
26.4 |
12.4 |
9.3 |
28.7 |
14.2 |
70세 이상 |
27.8 |
47.9 |
48.4 |
35.8 |
13.4 |
10.8 |
23.4 |
7.0 |
자료: |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주: |
1) 1인가구의 어려움은 우선순위 없이, 각 항목별 5점 척도 설문에 응답한 결과임 |
2) 1인가구의 어려움 ‘그렇다(대체로 그렇다 + 매우 그렇다)’의 비중임 |
- 52 -
7. 주거유형 |
(단위: 천 가구) |
|||||||
계 |
단독주택1) |
아파트 |
연립·다세대 |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 |
주택이외의 거처 |
||
전체 가구 |
2016 |
19,368 |
6,640 |
9,422 |
2,219 |
316 |
770 |
2017 |
19,674 |
6,549 |
9,671 |
2,269 |
327 |
858 |
|
2018 |
19,979 |
6,415 |
10,013 |
2,312 |
319 |
920 |
|
2019 |
20,343 |
6,312 |
10,405 |
2,339 |
318 |
969 |
|
2020 |
20,927 |
6,354 |
10,780 |
2,387 |
316 |
1,089 |
|
1인가구
|
2016 |
5,398 |
2,743 |
1,504 |
559 |
116 |
476 |
2017 |
5,619 |
2,765 |
1,606 |
595 |
123 |
530 |
|
2018 |
5,849 |
2,762 |
1,751 |
636 |
121 |
579 |
|
2019 |
6,148 |
2,790 |
1,927 |
680 |
124 |
626 |
|
2020 |
6,643 |
2,921 |
2,124 |
750 |
124 |
723 |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주: |
1) 단독주택에는 일반단독주택, 다가구단독주택, 영업겸용 단독주택 등이 포함됨 |
- 53 -
8. 주거면적 |
(단위: %, ㎡) |
|||||||||||
|
계 |
40㎡ 이하 |
40㎡ ~50㎡ |
50㎡ ~60㎡ |
60㎡ ~85㎡ |
85㎡ ~102㎡ |
102㎡ ~135㎡ |
135㎡ 초과 |
모름/ 무응답 |
평균 (㎡) |
|
전체 가구 |
2017 |
100.0 |
20.6 |
12.2 |
18.1 |
32.9 |
8.0 |
6.2 |
1.8 |
0.1 |
65.4 |
2018 |
100.0 |
21.2 |
11.1 |
17.2 |
33.9 |
7.6 |
6.8 |
2.0 |
0.1 |
66.2 |
|
2019 |
100.0 |
20.5 |
9.9 |
14.0 |
32.8 |
11.3 |
8.7 |
2.6 |
0.2 |
68.1 |
|
2020 |
100.0 |
19.5 |
9.9 |
14.5 |
31.2 |
12.8 |
8.9 |
2.8 |
0.5 |
68.9 |
|
1인 가구 |
2017 |
100.0 |
52.9 |
14.4 |
11.3 |
15.8 |
3.4 |
1.5 |
0.6 |
0.1 |
44.7 |
2018 |
100.0 |
54.4 |
13.5 |
11.4 |
15.5 |
3.3 |
1.4 |
0.3 |
0.2 |
44.0 |
|
2019 |
100.0 |
53.7 |
11.7 |
10.4 |
17.1 |
4.3 |
2.0 |
0.6 |
0.3 |
45.1 |
|
2020 |
100.0 |
50.5 |
13.5 |
11.2 |
16.7 |
4.7 |
2.1 |
0.4 |
0.9 |
46.2 |
|
자료: |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 54 -
9. 주거환경 만족도(2020) |
(단위: %) |
|||||||
계 |
불만족 |
만족 |
|||||
매우 불만족 |
약간 불만족 |
대체로 만족 |
매우 만족 |
||||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
100.0 |
16.2 |
1.4 |
14.8 |
83.7 |
75.1 |
8.6 |
상업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23.5 |
3.7 |
19.8 |
76.5 |
60.0 |
16.5 |
의료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25.4 |
4.7 |
20.7 |
74.6 |
57.4 |
17.2 |
문화시설 접근용이성 |
100.0 |
40.3 |
9.1 |
31.2 |
59.7 |
48.7 |
11.0 |
도시공원 및 녹지 접근용이성 |
100.0 |
24.0 |
3.5 |
20.5 |
76.1 |
57.2 |
18.9 |
대중교통 접근용이성 |
100.0 |
19.5 |
3.0 |
16.5 |
80.5 |
59.6 |
20.9 |
주차시설 이용편리성 |
100.0 |
30.9 |
6.9 |
24.0 |
69.2 |
54.9 |
14.3 |
보행안전 |
100.0 |
15.0 |
1.4 |
13.6 |
84.9 |
69.7 |
15.2 |
교육환경 |
100.0 |
21.3 |
3.1 |
18.2 |
78.8 |
67.0 |
11.8 |
치안 및 방범 |
100.0 |
13.4 |
1.3 |
12.1 |
86.6 |
72.6 |
14.0 |
소음 |
100.0 |
26.2 |
3.1 |
23.1 |
73.8 |
60.5 |
13.3 |
청결도 |
100.0 |
14.4 |
1.1 |
13.3 |
85.7 |
70.5 |
15.2 |
이웃과의 관계 |
100.0 |
14.3 |
1.1 |
13.2 |
85.7 |
73.2 |
12.5 |
자료: |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 55 -
10- 1. 주거지원 프로그램 필요성(필요) |
(단위: %) |
||||
|
2017 |
2018 |
2019 |
2020 |
전체 가구 |
34.2 |
33.0 |
36.1 |
40.6 |
1인가구 |
38.7 |
37.5 |
42.0 |
45.5 |
자료: |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10- 2. 우선적으로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2020) |
(단위: %) |
||||||||||
|
계 |
월세 보조금 지원 |
전세자금 대출 지원 |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 |
주택 개량 ㆍ개보수 지원 |
임대 후 분양전환 공공임대 주택 공급 |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 |
공공분양주택 공급 |
주거 상담‧ 정보제공 등 |
기타 |
전체 가구 |
100.0 |
9.8 |
24.5 |
34.6 |
6.9 |
5.4 |
11.6 |
5.3 |
1.9 |
0.0 |
1인가구 |
100.0 |
19.5 |
32.4 |
15.8 |
5.4 |
4.6 |
15.9 |
4.7 |
1.8 |
0.0 |
자료: |
국토교통부,「주거실태조사」 |
- 56 -
11. 마시는 물(2020) |
(단위: 천 가구, %) |
|||||||||||
계 |
|||||||||||
수돗물1) |
생수1) |
기타 |
|||||||||
그대로 마심 |
끓여 마심 |
정수해서 마심 |
그대로 마심 |
끓여 마심 |
정수해서 마심 |
||||||
전체 가구 |
20,927 |
10,978 |
251 |
5,169 |
5,558 |
9,666 |
6,620 |
472 |
2,574 |
282 |
|
비중 |
52.5 |
2.3 |
47.1 |
50.6 |
46.2 |
68.5 |
4.9 |
26.6 |
1.3 |
||
1인가구 |
6,643 |
2,832 |
118 |
1,874 |
840 |
3,719 |
3,156 |
128 |
435 |
93 |
|
비중 |
42.6 |
4.2 |
66.2 |
29.7 |
56.0 |
84.9 |
3.4 |
11.7 |
1.4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주: |
1) 수돗물, 생수의 세부 항목은 수돗물과 생수를 각 100이라고 가정할 때의 비중임 |
12. 소방시설 보유(2020) |
(단위: 천 가구, %) |
||||||||
|
소방시설 |
없음 |
있음 |
|||||
소계 |
소화기 |
화재경보기 |
소화기· 화재경보기 |
|||||
전체 가구 |
20,927 |
3,972 |
16,955 |
16,955 |
2,204 |
2,071 |
12,679 |
|
비중 |
100.0 |
19.0 |
81.0 |
100.0 |
13.0 |
12.2 |
74.8 |
|
1인가구 |
6,643 |
1,748 |
4,896 |
4,896 |
645 |
741 |
3,509 |
|
비중 |
100.0 |
26.3 |
73.7 |
100.0 |
13.2 |
15.1 |
71.7 |
자료: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 |
- 57 -
13- 1. 성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
|||||
1인가구 (A) |
취업 1인가구 (B) |
1인가구 중 취업자(B/A) |
|||
남자 |
여자 |
||||
2016 |
5,434 |
3,288 |
1,904 |
1,384 |
60.5 |
2017 |
5,613 |
3,431 |
1,985 |
1,446 |
61.1 |
2018 |
5,788 |
3,537 |
2,041 |
1,496 |
61.1 |
2019 |
6,039 |
3,671 |
2,081 |
1,589 |
60.8 |
2020 |
6,214 |
3,700 |
2,097 |
1,604 |
59.6 |
자료: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각년도 10월 기준 |
13- 2. 연령대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
|
계 |
15~29세 |
30~39세 |
40~49세 |
50~64세 |
65세 이상 |
2016 |
3,288 |
582 |
807 |
701 |
859 |
340 |
2017 |
3,431 |
644 |
815 |
720 |
908 |
345 |
2018 |
3,537 |
673 |
815 |
728 |
940 |
381 |
2019 |
3,671 |
687 |
830 |
715 |
1,012 |
427 |
2020 |
3,700 |
691 |
816 |
699 |
1,025 |
471 |
자료: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각년도 10월 기준 |
- 58 -
13- 3. 교육정도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
계 |
중졸 이하 |
고졸 |
대졸 이상 |
|
2016 |
3,288 |
683 |
1,210 |
1,395 |
2017 |
3,431 |
662 |
1,282 |
1,486 |
2018 |
3,537 |
664 |
1,309 |
1,564 |
2019 |
3,671 |
675 |
1,334 |
1,662 |
2020 |
3,700 |
675 |
1,319 |
1,706 |
자료: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각년도 10월 기준 |
13- 4. 직업별 취업 1인가구 |
(단위: 천 가구) |
||||||||||
계 |
||||||||||
관리자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사무 종사자 |
서비스 종사자 |
판매 종사자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
기능원· 숙련 종사자 |
장치기계 조작 조립원 |
단순노무 종사자 |
||
2016 |
3,288 |
18 |
688 |
496 |
396 |
313 |
186 |
319 |
368 |
505 |
2017 |
3,431 |
19 |
739 |
522 |
428 |
322 |
161 |
349 |
382 |
509 |
2018 |
3,537 |
26 |
775 |
526 |
450 |
307 |
172 |
357 |
404 |
520 |
2019 |
3,671 |
26 |
816 |
545 |
463 |
316 |
170 |
356 |
403 |
575 |
2020 |
3,700 |
23 |
827 |
562 |
443 |
310 |
166 |
349 |
398 |
623 |
자료: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각년도 10월 기준 |
- 59 -
14. 주당 평균 취업시간 |
(단위: 시간, %) |
||||||||
1인가구 |
남자(A) |
여자(B) |
차이 (A - B)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5 |
43.4 |
45.4 |
- |
- |
40.6 |
- |
- |
4.8 |
2016 |
42.8 |
44.8 |
- 0.6 |
- 1.3 |
40.0 |
- 0.6 |
- 1.5 |
4.8 |
2017 |
42.8 |
44.8 |
0.0 |
0.0 |
40.0 |
0.0 |
0.0 |
4.8 |
2018 |
41.1 |
43.4 |
- 1.4 |
- 3.1 |
38.0 |
- 2.0 |
- 5.0 |
5.4 |
2019 |
40.3 |
42.7 |
- 0.7 |
- 1.6 |
37.2 |
- 0.8 |
- 2.1 |
5.5 |
2020 |
39.0 |
41.4 |
- 1.3 |
- 3.0 |
35.8 |
- 1.4 |
- 3.8 |
5.6 |
자료: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각년도 10월 기준 |
- 60 -
15. 소득 |
(단위: 만원) |
||||||
|
전체 가구 |
|||||
소득 |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공적이전소득 |
사적이전소득 |
||
2017 |
5,705 |
3,640 |
1,243 |
380 |
351 |
91 |
2018 |
5,828 |
3,781 |
1,177 |
380 |
387 |
102 |
2019 |
5,924 |
3,791 |
1,151 |
417 |
457 |
107 |
|
1인가구 |
|||||
소득 |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공적이전소득 |
사적이전소득 |
||
2017 |
2,063 |
1,094 |
392 |
137 |
295 |
145 |
2018 |
2,116 |
1,142 |
372 |
134 |
319 |
150 |
2019 |
2,162 |
1,122 |
345 |
160 |
372 |
162 |
자료: |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가계금융복지조사」 |
- 61 -
16. 소득 분포 |
(단위: %) |
|||||||
|
전체 가구 |
||||||
계 |
1,000만원 미만 |
1,000~ 3,000만원 미만 |
3,000~ 5,000만원 미만 |
5,000~ 7,000만원 미만 |
7,000~ 1억원 미만 |
1억원 이상 |
|
2017 |
100.0 |
9.3 |
24.5 |
22.0 |
15.9 |
14.4 |
13.9 |
2018 |
100.0 |
8.6 |
24.5 |
21.4 |
16.4 |
14.3 |
14.8 |
2019 |
100.0 |
7.8 |
24.7 |
20.9 |
16.2 |
15.3 |
15.2 |
|
1인가구 |
||||||
계 |
1,000만원 미만 |
1,000~ 3,000만원 미만 |
3,000~ 5,000만원 미만 |
5,000~ 7,000만원 미만 |
7,000~ 1억원 미만 |
1억원 이상 |
|
2017 |
100.0 |
36.7 |
42.2 |
13.7 |
4.4 |
2.1 |
0.9 |
2018 |
100.0 |
33.9 |
44.2 |
14.4 |
4.8 |
1.9 |
0.8 |
2019 |
100.0 |
30.8 |
46.6 |
14.7 |
4.9 |
2.2 |
0.8 |
자료: |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가계금융복지조사」 |
- 62 -
17. 월평균 소비지출(2020) |
(단위: 천원) |
|||||||||||||
|
계 |
||||||||||||
식료품‧비주류음료 |
주류‧ 담배 |
의류‧ 신발 |
주거‧ 수도‧ 광열 |
가정용품 ‧ 가사 서비스 |
보건 |
교통 |
통신 |
오락‧ 문화 |
교육 |
음식‧ 숙박 |
기타상품 서비스 |
||
전체 가구 |
2,400 |
381 |
38 |
118 |
286 |
127 |
221 |
289 |
120 |
140 |
159 |
319 |
204 |
1인 가구 |
1,320 |
181 |
32 |
64 |
257 |
57 |
118 |
125 |
61 |
84 |
21 |
220 |
101 |
자료: |
통계청,「가계동향조사」 |
18. 자산·부채1) |
(단위: 만원) |
||||||
|
전체 가구 |
|||||
자산2) |
부채 |
|||||
금융자산 |
실물자산 |
금융부채 |
임대보증금 |
|||
2018 |
42,036 |
10,346 |
31,689 |
7,668 |
5,539 |
2,129 |
2019 |
43,191 |
10,570 |
32,621 |
7,910 |
5,755 |
2,155 |
2020 |
44,543 |
10,504 |
34,039 |
8,256 |
6,050 |
2,207 |
|
1인가구 |
|||||
자산2) |
부채 |
|||||
금융자산 |
실물자산 |
금융부채 |
임대보증금 |
|||
2018 |
15,689 |
4,480 |
11,209 |
2,188 |
1,485 |
703 |
2019 |
16,055 |
4,642 |
11,414 |
2,089 |
1,433 |
656 |
2020 |
17,551 |
4,918 |
12,633 |
2,521 |
1,774 |
747 |
자료: |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가계금융복지조사」 |
주: |
1) 연도는 조사실시연도이며, 자산·부채는 조사연도 3월말 기준 2) 부채를 포함한 자산임 |
- 63 -
19. 소득1)2) 및 소비생활 만족도 |
(단위: 천원, %) |
|||||||
만족도 |
소득 |
소비 |
|||||
만족 |
보통 |
불만족 |
만족 |
보통 |
불만족 |
||
전체 |
2019 |
14.1 |
42.4 |
43.5 |
16.8 |
48.1 |
35.0 |
2021 |
23.5 |
34.3 |
42.2 |
18.7 |
48.5 |
32.9 |
|
1인가구 |
2019 |
11.4 |
37.8 |
50.8 |
16.2 |
44.5 |
39.3 |
2021 |
18.1 |
32.0 |
49.9 |
14.9 |
45.7 |
39.5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9세 이상 |
2) 가구의 월 평균소득임 |
20. 의료비1) |
|||||||
(단위: 천원, %) |
|||||||
|
전체2) (A) |
1인가구 (B) |
차이(B- A)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5 |
550 |
5 |
1.1 |
732 |
- 90 |
- 11.0 |
182 |
2016 |
615 |
65 |
11.8 |
858 |
126 |
17.2 |
243 |
2017 |
640 |
25 |
4.1 |
884 |
26 |
3.0 |
244 |
2018 |
685 |
45 |
7.0 |
955 |
71 |
8.0 |
270 |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의료패널조사」 |
주: |
1) 의료비는 응급‧입원‧외래 수납액과 처방약값을 포함한 금액임 2) 18세 이상 인구 |
- 64 -
21. 건강 관리1) |
(단위: %) |
|||||||||
아침 식사하기 |
적정수면(6〜8시간) |
규칙적 운동 |
정기 건강검진 |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실천함 |
실천 안함 |
||
전체 |
2018 |
67.3 |
32.7 |
77.5 |
22.5 |
38.3 |
61.7 |
80.4 |
19.6 |
2020 |
64.8 |
35.2 |
80.1 |
19.9 |
40.9 |
59.1 |
80.7 |
19.3 |
|
1인가구 |
2018 |
59.4 |
40.6 |
72.6 |
27.4 |
37.6 |
62.4 |
74.7 |
25.3 |
2020 |
59.5 |
40.5 |
73.8 |
26.2 |
39.2 |
60.8 |
76.4 |
23.6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3세 이상 |
22. 유병 기간 |
||||
(단위: %. 일) |
||||
유병률1) |
유병자의 평균 유병일수 |
유병자의 평균 누워 지낸 일수 |
||
전체 |
2018 |
27.5 |
9.4 |
0.5 |
2020 |
25.0 |
9.9 |
0.5 |
|
1인가구 |
2018 |
39.0 |
11.2 |
0.4 |
2020 |
38.9 |
11.3 |
0.6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지난 2주일 동안 0세 이상 인구 중 질병이나 사고로 아팠던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 |
- 65 -
23.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
(단위: 가구, %) |
|||||||
|
전체 가구 (A) |
1인가구 (B) |
비중 (B/A) |
||||
증감 |
증감률 |
증감 |
증감률 |
||||
2010 |
878,799 |
- 4,126 |
- 0.5 |
549,341 |
1,410 |
0.3 |
62.5 |
2011 |
850,689 |
- 28,110 |
- 3.2 |
544,206 |
- 5,135 |
- 0.9 |
64.0 |
2012 |
821,879 |
- 28,810 |
- 3.4 |
540,924 |
- 3,282 |
- 0.6 |
65.8 |
2013 |
810,544 |
- 11,335 |
- 1.4 |
543,295 |
2,371 |
0.4 |
67.0 |
2014 |
814,184 |
3,640 |
0.4 |
557,275 |
13,980 |
2.6 |
68.4 |
2015 |
1,014,177 |
199,993 |
24.6 |
611,050 |
53,775 |
9.6 |
60.3 |
2016 |
1,035,435 |
21,258 |
2.1 |
630,037 |
18,987 |
3.1 |
60.8 |
2017 |
1,032,996 |
- 2,439 |
- 0.2 |
655,191 |
25,154 |
4.0 |
63.4 |
2018 |
1,165,175 |
132,179 |
12.8 |
771,235 |
116,044 |
17.7 |
66.2 |
2019 |
1,281,759 |
116,584 |
10.0 |
879,270 |
108,035 |
14.0 |
68.6 |
2020 |
1,459,059 |
177,300 |
13.8 |
1,012,753 |
133,483 |
15.2 |
69.4 |
자료: |
보건복지부,「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현황」 |
- 66 -
24. 노후생활비 마련 방법1) |
(단위: %) |
||||||||||||
전체 |
본인 및 배우자 부담 |
자녀· 친척 지원 |
정부 및 사회 단체 |
기타 |
||||||||
소계 |
근로· 사업소득 |
재산소득 |
연금· 퇴직금 |
예금 (적금) |
기타 |
|||||||
전체 |
2011 |
100.0 |
60.1 |
100.0 |
50.9 |
12.4 |
27.6 |
9.1 |
- |
32.0 |
7.7 |
0.2 |
2013 |
100.0 |
63.6 |
100.0 |
53.1 |
12.2 |
24.9 |
9.9 |
- |
28.8 |
7.6 |
0.1 |
|
2015 |
100.0 |
66.6 |
100.0 |
54.4 |
11.7 |
27.6 |
6.3 |
- |
23.0 |
10.4 |
0.1 |
|
2017 |
100.0 |
69.9 |
100.0 |
54.2 |
10.3 |
28.1 |
7.3 |
0.0 |
20.2 |
9.9 |
- |
|
2019 |
100.0 |
69.9 |
100.0 |
58.1 |
9.5 |
26.2 |
6.1 |
0.0 |
17.7 |
12.4 |
- |
|
2021 |
100.0 |
72.5 |
100.0 |
57.3 |
7.7 |
29.7 |
5.3 |
- |
14.1 |
13.4 |
- |
|
1인 가구 |
2011 |
100.0 |
43.2 |
100.0 |
46.8 |
11.1 |
29.5 |
12.6 |
- |
38.7 |
17.8 |
0.3 |
2013 |
100.0 |
42.2 |
100.0 |
52.1 |
12.0 |
24.3 |
11.5 |
- |
37.5 |
20.1 |
0.1 |
|
2015 |
100.0 |
47.2 |
100.0 |
47.8 |
10.5 |
34.8 |
6.9 |
- |
28.0 |
24.7 |
0.0 |
|
2017 |
100.0 |
49.3 |
100.0 |
49.6 |
10.2 |
30.9 |
9.4 |
0.0 |
28.8 |
22.0 |
- |
|
2019 |
100.0 |
51.6 |
100.0 |
55.1 |
8.7 |
26.3 |
9.7 |
0.2 |
20.8 |
27.7 |
- |
|
2021 |
100.0 |
53.2 |
100.0 |
55.3 |
9.2 |
27.2 |
8.3 |
- |
15.6 |
31.2 |
-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60세 이상 |
- 67 -
25. 노후를 보내고 싶은 방법1) |
(단위: %) |
|||||||||
계 |
|||||||||
취미활동 |
여행·관광활동2) |
학습·자기개발 활동 |
자원봉사 활동 |
종교활동 |
소득창출 활동 |
기타 |
|||
전체 |
2019 |
100.0 |
59.5 |
- |
10.3 |
6.9 |
5.9 |
16.8 |
0.6 |
2021 |
100.0 |
39.5 |
32.5 |
6.8 |
4.6 |
4.2 |
11.9 |
0.5 |
|
1인 가구 |
2019 |
100.0 |
58.5 |
- |
9.2 |
6.9 |
6.6 |
17.3 |
1.5 |
2021 |
100.0 |
40.6 |
29.0 |
5.6 |
5.0 |
4.4 |
14.2 |
1.0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9세 이상 |
2) 2021년 신규 추가 항목 |
26. 선호 장례방법1) |
|||||||
(단위: %) |
|||||||
계 |
|||||||
화장 후 봉안 (납골당, 납골묘 등) |
화장 후 산,강,바다에 뿌림1) |
화장 후 자연장 (수목장, 잔디장 등) |
매장(묘지) |
기타 |
|||
전체 |
2019 |
100.0 |
41.7 |
- |
46.4 |
9.7 |
2.2 |
2021 |
100.0 |
34.6 |
22.3 |
33.0 |
9.4 |
0.6 |
|
1인가구 |
2019 |
100.0 |
39.6 |
- |
44.5 |
12.0 |
3.9 |
2021 |
100.0 |
34.4 |
27.4 |
26.9 |
10.6 |
0.7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9세 이상 |
2) 2021년 신규 추가 항목 |
- 68 -
27. 1인가구 지원 정책 순위(1순위, 2020) |
(단위: %) |
|||||||||
주택 안정 지원 |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 |
돌봄 서비스 지원 |
가사 서비스 지원 |
심리정서적 지원 |
사회적 관계망 지원 |
여가문화활동 |
건강 증진 지원 |
고독사 및 장례에 대한 지원 |
|
전체 |
50.1 |
5.4 |
13.4 |
7.0 |
6.0 |
2.6 |
4.1 |
9.7 |
1.9 |
남자 |
61.3 |
4.9 |
6.1 |
5.9 |
4.9 |
3.8 |
4.1 |
6.8 |
2.2 |
여자 |
40.2 |
5.8 |
19.8 |
8.0 |
6.9 |
1.6 |
4.1 |
12.2 |
1.6 |
12~19세 |
77.2 |
5.9 |
0.0 |
3.3 |
5.6 |
3.2 |
4.7 |
0.0 |
0.0 |
20~29세 |
81.4 |
5.1 |
1.0 |
3.1 |
1.6 |
2.6 |
2.8 |
2.0 |
0.5 |
30~39세 |
80.2 |
4.0 |
0.9 |
1.4 |
2.7 |
3.1 |
5.1 |
1.3 |
1.3 |
40~49세 |
66.0 |
7.8 |
2.4 |
2.6 |
3.2 |
3.5 |
4.8 |
7.2 |
2.6 |
50~59세 |
56.5 |
7.7 |
6.4 |
4.6 |
6.1 |
3.8 |
4.8 |
8.7 |
1.4 |
60~69세 |
36.2 |
5.9 |
13.9 |
9.3 |
9.1 |
2.7 |
3.3 |
17.8 |
1.9 |
70세 이상 |
18.0 |
3.4 |
34.4 |
13.4 |
8.7 |
1.3 |
4.1 |
13.9 |
2.8 |
미혼 |
74.4 |
6.3 |
2.4 |
2.6 |
2.6 |
3.3 |
3.4 |
3.1 |
1.9 |
유배우 |
35.7 |
7.2 |
8.3 |
11.8 |
6.2 |
5.6 |
11.7 |
12.7 |
0.8 |
이혼 또는 별거 |
55.8 |
5.5 |
9.7 |
4.9 |
7.1 |
1.6 |
1.4 |
11.7 |
2.3 |
사별 |
17.0 |
3.5 |
31.8 |
13.3 |
9.5 |
1.7 |
5.2 |
16.3 |
1.7 |
자료: |
여성가족부,「가족실태조사」 |
- 69 -
28. 여가 활용1)(2021) |
(단위: %) |
||||
전체 |
1인가구 |
|||
주중 |
주말 |
주중 |
주말 |
|
동영상 콘텐츠 시청2) |
88.9 |
83.0 |
89.0 |
83.8 |
휴식활동 |
69.0 |
70.7 |
72.5 |
73.8 |
컴퓨터 게임, 인터넷 검색 등 |
38.7 |
33.7 |
30.9 |
27.6 |
취미·자기개발 활동 |
25.2 |
22.6 |
22.7 |
20.8 |
스포츠활동 |
13.7 |
15.0 |
12.9 |
13.8 |
사회활동 |
5.7 |
9.7 |
5.8 |
9.7 |
문화예술 관람 |
5.9 |
7.8 |
5.3 |
6.8 |
관광활동 |
2.7 |
10.5 |
1.7 |
6.6 |
문화예술 활동 |
4.5 |
3.9 |
3.2 |
3.2 |
스포츠경기관람 |
2.8 |
2.6 |
2.0 |
2.3 |
기타 |
0.3 |
0.4 |
0.2 |
0.4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3세 이상, 복수응답, |
2) 동영상 콘텐츠 시청(TV, 유선방송, IPTV, 유튜브, 넷플릭스 등) |
- 70 -
29. 하루 평균 여가시간(평일) |
(단위: %, 시간) |
||||||||
|
계 |
3시간 미만 |
3~5시간 미만 |
5~7시간 미만 |
7~9시간 미만 |
9시간 이상 |
평균 |
|
전체 |
||||||||
2018 |
100.0 |
36.3 |
45.6 |
14.1 |
2.9 |
1.1 |
3.3 |
|
2019 |
100.0 |
36.0 |
40.3 |
17.1 |
3.8 |
2.9 |
3.5 |
|
2020 |
100.0 |
32.3 |
41.5 |
17.9 |
5.5 |
2.8 |
3.7 |
|
1인가구 |
2018 |
100.0 |
29.6 |
40.3 |
19.5 |
6.6 |
4.0 |
3.8 |
2019 |
100.0 |
27.6 |
35.9 |
21.1 |
8.4 |
6.9 |
4.2 |
|
2020 |
100.0 |
19.4 |
37.6 |
22.8 |
10.6 |
9.7 |
4.7 |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국민여가활동조사」 |
30. 1인가구 월평균 여가활동 비용 |
||||||||
(단위: %) |
||||||||
계 |
3만원 미만 |
3~5만원 |
5~7만원 |
7~9만원 |
9~15만원 |
15만원 이상 |
||
전체 |
||||||||
2018 |
100.0 |
5.1 |
7.8 |
14.8 |
6.4 |
22.3 |
43.6 |
|
2019 |
100.0 |
9.8 |
8.1 |
17.4 |
2.9 |
20.3 |
41.5 |
|
2020 |
100.0 |
9.7 |
9.4 |
16.6 |
3.0 |
20.9 |
40.4 |
|
1인가구 |
||||||||
2018 |
100.0 |
8.4 |
10.6 |
17.5 |
5.5 |
21.4 |
36.6 |
|
2019 |
100.0 |
18.3 |
11.5 |
15.9 |
2.5 |
18.2 |
33.5 |
|
2020 |
100.0 |
21.0 |
11.9 |
15.7 |
2.7 |
17.2 |
31.4 |
|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국민여가활동조사」 |
- 71 -
31. 여가생활 만족도1) |
(단위: %) |
|||||||||||||
계 |
만족 |
보통 |
불만족 |
||||||||||
소계 |
경제적 부담 |
시간 부족 |
교통 혼잡 |
시설· 정보 부족 |
취미· 동반자 부재 |
건강· 체력 부족 |
기타2) |
||||||
전체 |
2011 |
100.0 |
19.3 |
48.6 |
32.0 |
100.0 |
60.9 |
23.2 |
1.0 |
2.9 |
5.0 |
6.8 |
0.3 |
2013 |
100.0 |
27.0 |
47.8 |
25.1 |
100.0 |
57.7 |
21.1 |
1.6 |
3.0 |
7.0 |
9.3 |
0.2 |
|
2015 |
100.0 |
26.0 |
48.9 |
25.1 |
100.0 |
58.2 |
20.2 |
1.8 |
3.1 |
6.2 |
9.7 |
0.8 |
|
2017 |
100.0 |
27.2 |
46.6 |
26.2 |
100.0 |
54.2 |
24.4 |
1.7 |
2.6 |
6.2 |
10.4 |
0.4 |
|
2019 |
100.0 |
28.8 |
47.0 |
24.2 |
100.0 |
52.4 |
24.5 |
1.1 |
2.8 |
6.6 |
12.5 |
0.1 |
|
2021 |
100.0 |
27.0 |
49.4 |
23.6 |
100.0 |
46.1 |
19.3 |
1.3 |
5.2 |
7.1 |
10.4 |
10.6 |
|
1인 가구 |
2011 |
100.0 |
17.6 |
45.9 |
36.5 |
100.0 |
66.6 |
12.0 |
1.0 |
1.2 |
5.7 |
13.5 |
0.1 |
2013 |
100.0 |
22.5 |
47.9 |
29.6 |
100.0 |
57.4 |
9.5 |
1.3 |
1.6 |
9.9 |
20.0 |
0.2 |
|
2015 |
100.0 |
22.9 |
47.3 |
29.7 |
100.0 |
57.4 |
11.3 |
1.1 |
1.1 |
7.7 |
21.4 |
0.0 |
|
2017 |
100.0 |
22.6 |
47.6 |
29.8 |
100.0 |
54.4 |
15.1 |
1.2 |
1.9 |
7.4 |
19.7 |
0.2 |
|
2019 |
100.0 |
27.1 |
45.1 |
27.8 |
100.0 |
52.5 |
14.0 |
1.0 |
1.8 |
8.4 |
22.2 |
- |
|
2021 |
100.0 |
22.8 |
49.7 |
27.5 |
100.0 |
48.8 |
10.4 |
1.4 |
4.1 |
9.9 |
18.5 |
6.9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3세 이상 |
2) 2021년 코로나19와 관련이 있는 경우 기타로 응답 |
- 72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3세 이상 |
|
자료: |
통계청,「사회조사」 |
주: |
1) 13세 이상 |
- 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