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
보도 |
2021.11.29.(월) 조간 |
배포 |
2021.11.26.(금) |
||||
책 임 자 |
금융위원회 은행과장 김 연 준(02- 2100- 2950) |
담 당 자 |
권나림 사무관(02- 2100- 2954) |
||||
한국은행 전자금융기획팀장 이 정 헌(02- 750- 6639) |
고양중 과장(02- 750- 6648) |
||||||
금융결제원 디지털금융부장 유 한 상(02- 531- 1800) |
오일석 팀장(02- 531- 1830) |
제 목 : 금융권 운영 지점‧ATM 정보제공 모바일 앱 서비스 개시
- 11.29일부터 전 금융기관의 지점 및 ATM의
세부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금융권이 운영 중인 지점‧ATM(현금자동인출기)의 위치, 운영시간, 제공서비스 등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가 11월 29일 개시되었습니다. ◦ 금융맵은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우체국,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증권사, 자동화기기 사업자 등 범 금융권의 지점‧ATM 관련 최신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 위치 등 기본사항 이외에도 제공서비스, 수수료, 폐쇄 정보, 장애인 지원기능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며, 검색 기능도 이용 가능합니다. ◈ 금융맵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그동안 지점‧ATM 정보가 통합 관리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던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접근성 및 이용편의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제고 및 현금이용 편의성 등 금융포용 확대를 위해 금융권과 함께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
- 1 -
1 |
추진배경 및 경과 |
□ 디지털 금융의 확산으로 지점과 ATM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금융소비자들의 현금이용 편의성 및 금융접근성을 높이고 금융기관 지점‧ATM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ㅇ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권과 공동으로 지난해부터 지점‧ATM 정보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구축‧개발을 진행해 왔습니다.
논의 경과
➊ 「금융포용 측면에서의 ATM 운영 개선 추진」 : 한국은행(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금융포용위원회), 금융위원회, ‘20. 7월~ ➋ 「금융권 지점 합리화 추진 T/F」 : 금융위원회, ‘20. 11월~ ➌ 금융위원회·한국은행 추진사항을 연계하여 「금융권 공동 협의체」 구성, 금융MAP DB 및 API 검토 : 금융결제원, ‘21. 1월~ |
2 |
주요 내용 |
1. 이용방법 |
□ 금융맵 서비스는 금융결제원에서 제공 중인 기존의 ➊어카운트인포 앱, ➋모바일현금카드 앱*을 다운로드 받아 이용 가능합니다.
*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인 어카운트인포 앱은 ATM과 지점 정보 모두를 제공하며, ATM 이용을 위한 모바일현금카드 앱은 ATM 정보를 제공
ㅇ 또한,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API*를 구현하여, 향후 개별 금융기관 앱이나 지도 앱 등에서도 금융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2 -
2. 제공정보 |
통합된 정보의 제공 |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증권사, 자동화기기운영자(CD VAN사) 등 범 금융권 정보를 한 번에 제공 |
□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증권사, 자동화기기사업자(CD VAN사) 등 총 38개 기관이 참여하여,
* 우체국, 상호저축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농‧수협중앙회, 산림조합
ㅇ 범 금융권의 통합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API화하고 전국의 지점, ATM 정보를 한 번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양한 정보의 제공 |
제공서비스, 폐쇄예정 및 대체지점, 휠체어 공간확보 여부 등 지점/ATM별 특성정보를 함께 제공 |
□ 위치, 운영시간 등 기본 정보 외에도, 개별 지점과 ATM의 특성정보*를 함께 제공하며,
* 제공서비스, 수수료, 폐쇄예정 시 관련내용(폐쇄 예정일 및 대체지점), 장애인지원 등
ㅇ 특정 조건을 입력하여 이에 부합하는 지점‧ATM을 찾는 검색기능도 제공됩니다.
제공 세부정보
ATM |
운영시간, 제공서비스(입출금, 통장거래, 현금서비스, 모바일현금카드, 공모주 청약 등), 수수료, 지원언어, 제휴기관 정보, 장애인 지원기능(점자표시, 화면확대, 이어폰잭, 휠체어공간) |
지점 |
운영시간, 전화번호, 폐쇄 예정정보 및 대체지점, 지점 특이사항(외국인근로자 특화점포, 무인점포, PB 전담 등) 제휴기관 정보, 휠체어 고객 이용가능 여부 |
이용 예시
사례 1 |
급하게 현금을 인출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휠체어를 타고 방문할 수 있는 가까운 ATM을 앱을 통해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
사례 2 |
기존에 방문하던 은행 지점의 폐쇄 예정일과 대체지점 정보 및 가까운 타 지점 등의 정보를 한 눈에 알 수 있었습니다. |
- 3 -
정확한 정보의 제공 |
매일 1회 자동 업데이트를 통한 적시성 있는 정보 제공 |
□ 금융맵 서비스에서는 지점‧ATM의 정보가 매일 업데이트 되어 정확한 최신정보가 제공됩니다.
ㅇ API를 통해 전국 지점과 ATM이 매일 1회 자동 업데이트 되어 적시성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3 |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
□ 그간 지점‧ATM 정보가 통합 관리되지 않아 이용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ㅇ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금융맵(“금융대동여지도”) 서비스 개시로 국민의 지점‧ATM 접근성 및 이용 편의성이 제고되는 한편,
ㅇ 금융권의 효율적인 지점‧ATM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앞으로도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금융소비자의 금융접근성 제고 및 현금이용 편의성 등 금융포용 확대를 위해 금융권과 함께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ㅇ 금융소비자의 의견 청취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국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는 “금융대동여지도”를 완성해 나가겠습니다.
* (예시) ①서민금융진흥원 등 금융유관기관의 정보 제공, ②특판상품, 이벤트정보, 방문예약 등 지점 부가정보‧서비스 추가 제공
ㅇ 또한 수집된 ATM 데이터 분석 등을 바탕으로 은행권과 함께 ATM 운영 공조방안을 논의하고, 지점‧ATM 대체인프라 활성화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
금융위원회 대 변 인 prfsc@korea.kr |
|
- 4 -
첨부 1 |
금융맵 이용 방법(예시) |
1. ATM
앱 실행 화면 |
서비스 메인 화면 |
||
|
|
||
어카운트인포 앱 실행하여 하단 ‘지점/ATM 한눈에’ 조회하기 선택 |
|||
|
|||
모바일현금카드 앱 실행하여 하단 ‘ATM 위치 안내’ 조회하기 선택 |
장소, 주소, 은행명으로 정보조회 (기본설정은 내위치 주변) |
||
세부 조회 화면 |
조건 검색 화면 |
||
|
|
|
|
지도에서 선택한 ATM 세부정보를 표시 (길찾기기능 제공) |
원하는 조건의 ATM을 검색 (특정은행, 지원언어, 휠체어 이용가능, 지원서비스 등) |
- 5 -
2. 지점
앱 실행 화면 |
서비스 메인 화면 |
|
|
어카운트인포 앱 실행하여 하단 ‘지점/ATM 한눈에’ 조회하기 선택 |
장소,주소,은행명으로 정보조회 (기본설정은 내위치 주변) |
세부 조회 화면 |
조건 검색 화면 |
|
|
지도에서 선택한 지점 세부정보를 표시 (전화걸기, 길찾기기능 제공) |
원하는 조건의 지점을 검색 (특정은행, 휠체어 이용가능, PB센터 등) |
- 6 -
첨부 2 |
금융맵 서비스 제공기관 |
구 분 |
기관명 |
은행 (17개) |
국민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산업은행, 수협은행, 신한은행, 씨티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하나은행, 케이뱅크, SC제일은행 |
비은행예금취급기관 |
농협중앙회, 산림조합중앙회, 새마을금고중앙회, 수협중앙회, 신협중앙회, 우체국, 저축은행중앙회 |
증권사 (8개) |
메리츠증권, 유안타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하이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DB금융투자 |
CD VAN사 (6개) |
브링스코리아, 에이티엠플러스, 코리아세븐, 한국전자금융, 한네트, 효성티엔에스 |
총계 |
38개 |
※ 가나다 순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