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작물생산조사 |
|
||||
보도자료 |
보도일시 |
2021. 10. 8.(금) 12:00 |
|
|||
배포일시 |
2021. 10. 8.(금) 08:30 |
|||||
담당부서 |
사회통계국 농어업통계과 |
|||||
담 당 자 |
과 장: 홍연권(042- 481- 3864) 사 무 관: 강성문(042- 481- 3788) |
|||||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 |
||||||
|
통계청이 작성한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는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일 러 두 기 |
||
□ 본 보도자료는 2021년 논벼, 밭벼의 예상생산량을 표본조사하여 추정한 결과입니다. ○ 동 조사는 9월 15일 기준으로 실시되어, 조사 이후 기상여건에 따라 수치가 변동될 수 있음 ○ 표본조사 결과에는 표본오차와 비표본오차가 포함되어 있음 □ 수록된 자료(수치)는 반올림 되었으므로 세목과 그 합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단위에 따라 증감비율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 면적단위의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1ha = 10,000㎡, 10a = 1,000㎡, 1톤 = 1,000kg □ 본 보도자료의 수록내용에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통계청 농어업통계과(042- 481- 3864, 3788)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목 차 |
||
|
||
□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요약)1 □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 1. 전국 예상생산량2 2. 시도별 예상생산량4 □ 통계표 1.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5 2. 시도별 예상생산량7 <부 록> ◎ 쌀 예상생산량 추정 개요13 |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 (요약)
❍ 재배면적: (′20) 726,432ha → (′21) 732,477ha (0.8%) ❍ 10a당 생산량(현백률 92.9%): (′20) 483kg → (′21) 522kg (8.2%)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0) 470kg → (′21) 508kg
❍ 예상생산량(현백률 92.9%): (′20) 3,507천톤 → (′21) 3,827천톤 (9.1%)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0) 3,412천톤 → (′21) 3,724천톤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추이 >
|
- 1 -
2021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
1. 전국 예상생산량
❍ 쌀 생산량(현백률 92.9%): (′20) 3,507천톤 → (′21) 3,827천톤(9.1%↑)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0) 3,412천톤 → (′21) 3,724천톤
❍ 재배면적 증가(0.8%)와 10a당 생산량 증가(8.2%)로 쌀 생산량은 전년대비 32만톤 증가(9.1%) 예상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
전년비(%) |
||||||||
재배면적(천ha) |
799 |
779 |
755 |
738 |
730 |
726 |
732 |
0.8 |
10a당 생산량(kg) |
542 |
539 |
527 |
524 |
513 |
483 |
522 |
8.2 |
총 생산량(만톤) |
433 |
420 |
397 |
387 |
374 |
351 |
383 |
9.1 |
* 현백률 92.9% 기준이며, 10a당 생산량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추이 >
- 2 -
❍ 최근 쌀 가격 상승세와 정부의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종료에 따라 벼 재배면적 증가
❍ 10a당 생산량: (′20) 483kg → (′21) 522kg(8.2%↑)
* 조정 현백률 90.4% 적용시: (′20) 470kg → (′21) 508kg
❍가지치는 시기(분얼기): 적정한 기온 및 강수로 1㎡당 이삭수 증가
- 1㎡당 이삭수(개): (′20) 21.5 → (′21) 22.5 (1.0개↑)
* 분얼기 기상(6월 상순 ~ 7월 상순, 전국, 기상청 자료) · 평균기온(℃): (′19) 21.8 → (′20) 22.8 → (′21) 22.5 (1.3%↓) · 일조시간(hr): (′19) 304.3 → (′20) 275.8 → (′21) 245.8 (10.9%↓) · 강수량(㎜): (′19) 162.8 → (′20) 229.6 → (′21) 293.3 (27.7%↑) |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유수형성 및 수잉기): 일조시간 증가, 평균기온 상승 등 기상여건 호조로 완전낟알수 증가
- 1㎡당 완전 낟알수(개): (′20) 28,344 → (′21) 30,725 (2,381개↑)
* 유수형성 및 수잉기 기상(7월 상순 ~ 8월 상순, 전국, 기상청 자료) · 평균기온(℃): (′19) 25.7 → (′20) 23.4 → (′21) 26.4 (12.8%↑) · 일조시간(hr): (′19) 258.8 → (′20) 134.5 → (′21) 295.2 (119.5%↑) · 강수량(㎜): (′19) 252.5 → (′20) 698.6 → (′21) 297.7 (57.4%↓) |
- 3 -
2. 시도별 예상생산량
< 시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현황 >
시도 |
재배면적(천ha) |
10a당 생산량(kg) |
생산량(천톤)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726 |
732 |
0.8 |
483 |
522 |
8.2 |
3,507 |
3,827 |
9.1 |
경기 |
75 |
75 |
- 0.5 |
464 |
501 |
8.1 |
348 |
374 |
7.5 |
강원 |
28 |
29 |
1.8 |
448 |
535 |
19.2 |
127 |
155 |
21.3 |
충북 |
33 |
33 |
2.0 |
491 |
525 |
7.0 |
161 |
175 |
9.2 |
충남 |
131 |
135 |
3.1 |
516 |
555 |
7.6 |
678 |
752 |
11.0 |
전북 |
111 |
115 |
3.3 |
501 |
523 |
4.4 |
556 |
599 |
7.8 |
전남 |
156 |
155 |
- 0.5 |
441 |
497 |
12.9 |
688 |
772 |
12.3 |
경북 |
97 |
96 |
- 1.5 |
509 |
536 |
5.2 |
495 |
513 |
3.7 |
경남 |
65 |
64 |
- 1.5 |
483 |
520 |
7.5 |
314 |
333 |
6.0 |
기타 |
29 |
30 |
2.4 |
474 |
505 |
6.3 |
140 |
152 |
8.9 |
* 현백률 92.9% 기준이며, 10a당 생산량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 시도별 쌀 생산량 >
|
* 기타: 특‧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 4 -
통 계 표
1.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가. 현백률: 92.9%(9분도)
(단위: ha, kg, 천톤, %)
연도 |
재배면적 |
10a당 생산량 |
생산량 |
|||
전년 대비 |
전년 대비 |
전년 대비 |
||||
′02 |
1,053,186 |
- 2.8 |
471 |
- 8.7 |
4,927 |
- 10.7 |
′03 |
1,016,030 |
- 3.5 |
441 |
- 6.4 |
4,451 |
- 9.7 |
′04 |
1,001,159 |
- 1.5 |
504 |
14.3 |
5,000 |
12.3 |
′05 |
979,717 |
- 2.1 |
490 |
- 2.8 |
4,768 |
- 4.6 |
′06 |
955,229 |
- 2.5 |
493 |
0.6 |
4,680 |
- 1.9 |
′07 |
950,250 |
- 0.5 |
466 |
- 5.5 |
4,408 |
- 5.8 |
′08 |
935,766 |
- 1.5 |
520 |
11.6 |
4,843 |
9.9 |
′09 |
924,471 |
- 1.2 |
534 |
2.6 |
4,916 |
1.5 |
′10 |
892,074 |
- 3.5 |
483 |
- 9.5 |
4,295 |
- 12.6 |
′11 |
853,823 |
- 4.3 |
496 |
2.6 |
4,224 |
- 1.7 |
′12 |
849,172 |
- 0.5 |
473 |
- 4.6 |
4,006 |
- 5.2 |
′13 |
832,625 |
- 1.9 |
508 |
7.6 |
4,230 |
5.6 |
′14 |
815,506 |
- 2.1 |
520 |
2.3 |
4,241 |
0.3 |
′15 |
799,344 |
- 2.0 |
542 |
4.1 |
4,327 |
2.0 |
′16 |
778,734 |
- 2.6 |
539 |
- 0.5 |
4,197 |
- 3.0 |
′17 |
754,713 |
- 3.1 |
527 |
- 2.4 |
3,972 |
- 5.4 |
′18 |
737,673 |
- 2.3 |
524 |
- 0.4 |
3,868 |
- 2.6 |
′19 |
729,814 |
- 1.1 |
513 |
- 2.2 |
3,744 |
- 3.2 |
′20 |
726,432 |
- 0.5 |
483 |
- 5.9 |
3,507 |
- 6.4 |
′21 |
732,477 |
0.8 |
522 |
8.2 |
3,827 |
9.1 |
* 10a당 생산량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 5 -
나. 현백률: 90.4%(12분도)
(단위: ha, kg, 천톤, %)
연도 |
재배면적 |
10a당 생산량 |
생산량 |
|||
전년 대비 |
전년 대비 |
전년 대비 |
||||
′02 |
1,053,186 |
- 2.8 |
458 |
- 8.7 |
4,794 |
- 10.7 |
′03 |
1,016,030 |
- 3.5 |
429 |
- 6.4 |
4,331 |
- 9.7 |
′04 |
1,001,159 |
- 1.5 |
491 |
14.3 |
4,865 |
12.3 |
′05 |
979,717 |
- 2.1 |
477 |
- 2.8 |
4,640 |
- 4.6 |
′06 |
955,229 |
- 2.5 |
479 |
0.6 |
4,554 |
- 1.9 |
′07 |
950,250 |
- 0.5 |
453 |
- 5.5 |
4,289 |
- 5.8 |
′08 |
935,766 |
- 1.5 |
506 |
11.6 |
4,712 |
9.9 |
′09 |
924,471 |
- 1.2 |
520 |
2.6 |
4,787 |
1.5 |
′10 |
892,074 |
- 3.5 |
470 |
- 9.5 |
4,180 |
- 12.6 |
′11 |
853,823 |
- 4.3 |
482 |
2.6 |
4,110 |
- 1.7 |
′12 |
849,172 |
- 0.5 |
460 |
- 4.6 |
3,898 |
- 5.2 |
′13 |
832,625 |
- 1.9 |
495 |
7.6 |
4,116 |
5.6 |
′14 |
815,506 |
- 2.1 |
506 |
2.3 |
4,127 |
0.3 |
′15 |
799,344 |
- 2.0 |
527 |
4.1 |
4,210 |
2.0 |
′16 |
778,734 |
- 2.6 |
525 |
- 0.5 |
4,084 |
- 3.0 |
′17 |
754,713 |
- 3.1 |
512 |
- 2.4 |
3,866 |
- 5.4 |
′18 |
737,673 |
- 2.3 |
510 |
- 0.4 |
3,764 |
- 2.6 |
′19 |
729,814 |
- 1.1 |
499 |
- 2.2 |
3,644 |
- 3.2 |
′20 |
726,432 |
- 0.5 |
470 |
- 5.9 |
3,412 |
- 6.4 |
′21 |
732,477 |
0.8 |
508 |
8.2 |
3,724 |
9.1 |
* 10a당 생산량은 단위면적당 쌀 생산량
- 6 -
2. 시도별 예상생산량
가. 쌀 예상생산량(논벼 및 밭벼)
(1) 현백률: 92.9%(9분도)
(단위: ha,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726,432 |
732,477 |
0.8 |
3,506,578 |
3,826,606 |
9.1 |
서울 |
121 |
187 |
54.0 |
563 |
937 |
66.4 |
부산 |
2,307 |
2,169 |
- 6.0 |
10,281 |
11,387 |
10.8 |
대구 |
2,919 |
2,847 |
- 2.5 |
14,149 |
14,514 |
2.6 |
인천 |
10,375 |
11,747 |
13.2 |
50,006 |
58,296 |
16.6 |
광주 |
4,967 |
4,916 |
- 1.0 |
22,700 |
24,285 |
7.0 |
대전 |
945 |
1,131 |
19.6 |
4,515 |
5,756 |
27.5 |
울산 |
3,907 |
3,793 |
- 2.9 |
17,798 |
18,624 |
4.6 |
세종 |
3,891 |
3,340 |
- 14.2 |
19,754 |
18,351 |
- 7.1 |
경기 |
75,128 |
74,717 |
- 0.5 |
348,221 |
374,373 |
7.5 |
강원 |
28,405 |
28,903 |
1.8 |
127,387 |
154,513 |
21.3 |
충북 |
32,745 |
33,403 |
2.0 |
160,623 |
175,338 |
9.2 |
충남 |
131,284 |
135,399 |
3.1 |
677,533 |
752,048 |
11.0 |
전북 |
110,880 |
114,509 |
3.3 |
555,774 |
599,330 |
7.8 |
전남 |
156,230 |
155,435 |
- 0.5 |
687,812 |
772,364 |
12.3 |
경북 |
97,257 |
95,837 |
- 1.5 |
495,058 |
513,230 |
3.7 |
경남 |
65,028 |
64,079 |
- 1.5 |
314,333 |
333,073 |
6.0 |
제주 |
43 |
65 |
50.3 |
70 |
187 |
167.1 |
- 7 -
(2) 현백률: 90.4%(12분도)
(단위: ha,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726,432 |
732,477 |
0.8 |
3,412,214 |
3,723,630 |
9.1 |
서울 |
121 |
187 |
54.0 |
548 |
912 |
66.4 |
부산 |
2,307 |
2,169 |
- 6.0 |
10,005 |
11,081 |
10.8 |
대구 |
2,919 |
2,847 |
- 2.5 |
13,769 |
14,123 |
2.6 |
인천 |
10,375 |
11,747 |
13.2 |
48,660 |
56,727 |
16.6 |
광주 |
4,967 |
4,916 |
- 1.0 |
22,089 |
23,631 |
7.0 |
대전 |
945 |
1,131 |
19.6 |
4,394 |
5,601 |
27.5 |
울산 |
3,907 |
3,793 |
- 2.9 |
17,319 |
18,123 |
4.6 |
세종 |
3,891 |
3,340 |
- 14.2 |
19,222 |
17,857 |
- 7.1 |
경기 |
75,128 |
74,717 |
- 0.5 |
338,850 |
364,298 |
7.5 |
강원 |
28,405 |
28,903 |
1.8 |
123,959 |
150,355 |
21.3 |
충북 |
32,745 |
33,403 |
2.0 |
156,301 |
170,620 |
9.2 |
충남 |
131,284 |
135,399 |
3.1 |
659,300 |
731,810 |
11.0 |
전북 |
110,880 |
114,509 |
3.3 |
540,818 |
583,202 |
7.8 |
전남 |
156,230 |
155,435 |
- 0.5 |
669,302 |
751,579 |
12.3 |
경북 |
97,257 |
95,837 |
- 1.5 |
481,736 |
499,419 |
3.7 |
경남 |
65,028 |
64,079 |
- 1.5 |
305,874 |
324,110 |
6.0 |
제주 |
43 |
65 |
50.3 |
68 |
182 |
167.1 |
- 8 -
나. 논벼 예상생산량
(1) 현백률: 92.9%(9분도)
(단위: ha, kg,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10a당 생산량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726,180 |
732,070 |
0.8 |
483 |
523 |
8.2 |
3,505,984 |
3,825,367 |
9.1 |
서울 |
121 |
187 |
54.0 |
464 |
501 |
8.1 |
563 |
937 |
66.4 |
부산 |
2,307 |
2,169 |
- 6.0 |
446 |
525 |
17.8 |
10,281 |
11,387 |
10.8 |
대구 |
2,919 |
2,847 |
- 2.5 |
485 |
510 |
5.2 |
14,149 |
14,514 |
2.6 |
인천 |
10,375 |
11,747 |
13.2 |
482 |
496 |
3.0 |
50,006 |
58,296 |
16.6 |
광주 |
4,966 |
4,910 |
- 1.1 |
457 |
494 |
8.1 |
22,696 |
24,265 |
6.9 |
대전 |
945 |
1,131 |
19.6 |
478 |
509 |
6.6 |
4,515 |
5,756 |
27.5 |
울산 |
3,907 |
3,793 |
- 2.9 |
456 |
491 |
7.8 |
17,798 |
18,624 |
4.6 |
세종 |
3,891 |
3,340 |
- 14.2 |
508 |
550 |
8.2 |
19,754 |
18,351 |
- 7.1 |
경기 |
75,127 |
74,717 |
- 0.5 |
464 |
501 |
8.1 |
348,221 |
374,373 |
7.5 |
강원 |
28,405 |
28,903 |
1.8 |
448 |
535 |
19.2 |
127,387 |
154,513 |
21.3 |
충북 |
32,745 |
33,403 |
2.0 |
491 |
525 |
7.0 |
160,623 |
175,338 |
9.2 |
충남 |
131,279 |
135,398 |
3.1 |
516 |
555 |
7.6 |
677,524 |
752,046 |
11.0 |
전북 |
110,875 |
114,509 |
3.3 |
501 |
523 |
4.4 |
555,760 |
599,330 |
7.8 |
전남 |
156,026 |
155,101 |
- 0.6 |
441 |
497 |
12.9 |
687,299 |
771,333 |
12.2 |
경북 |
97,255 |
95,830 |
- 1.5 |
509 |
536 |
5.2 |
495,055 |
513,212 |
3.7 |
경남 |
65,028 |
64,079 |
- 1.5 |
483 |
520 |
7.5 |
314,333 |
333,073 |
6.0 |
제주 |
8 |
6 |
- 30.4 |
231 |
334 |
44.4 |
18 |
18 |
- |
- 9 -
(2) 현백률: 90.4%(12분도)
(단위: ha, kg,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10a당 생산량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726,180 |
732,070 |
0.8 |
470 |
508 |
8.2 |
3,411,635 |
3,722,424 |
9.1 |
서울 |
121 |
187 |
54.0 |
451 |
488 |
8.1 |
548 |
912 |
66.4 |
부산 |
2,307 |
2,169 |
- 6.0 |
434 |
511 |
17.8 |
10,005 |
11,081 |
10.8 |
대구 |
2,919 |
2,847 |
- 2.5 |
472 |
496 |
5.2 |
13,769 |
14,123 |
2.6 |
인천 |
10,375 |
11,747 |
13.2 |
469 |
483 |
3.0 |
48,660 |
56,727 |
16.6 |
광주 |
4,966 |
4,910 |
- 1.1 |
445 |
481 |
8.1 |
22,085 |
23,612 |
6.9 |
대전 |
945 |
1,131 |
19.6 |
465 |
495 |
6.6 |
4,394 |
5,601 |
27.5 |
울산 |
3,907 |
3,793 |
- 2.9 |
443 |
478 |
7.8 |
17,319 |
18,123 |
4.6 |
세종 |
3,891 |
3,340 |
- 14.2 |
494 |
535 |
8.2 |
19,222 |
17,857 |
- 7.1 |
경기 |
75,127 |
74,717 |
- 0.5 |
451 |
488 |
8.1 |
338,850 |
364,298 |
7.5 |
강원 |
28,405 |
28,903 |
1.8 |
436 |
521 |
19.2 |
123,959 |
150,355 |
21.3 |
충북 |
32,745 |
33,403 |
2.0 |
477 |
511 |
7.0 |
156,301 |
170,620 |
9.2 |
충남 |
131,279 |
135,398 |
3.1 |
502 |
540 |
7.6 |
659,292 |
731,808 |
11.0 |
전북 |
110,875 |
114,509 |
3.3 |
488 |
509 |
4.4 |
540,804 |
583,202 |
7.8 |
전남 |
156,026 |
155,101 |
- 0.6 |
429 |
484 |
12.9 |
668,804 |
750,576 |
12.2 |
경북 |
97,255 |
95,830 |
- 1.5 |
495 |
522 |
5.2 |
481,733 |
499,401 |
3.7 |
경남 |
65,028 |
64,079 |
- 1.5 |
470 |
506 |
7.5 |
305,874 |
324,110 |
6.0 |
제주 |
8 |
6 |
- 30.4 |
225 |
325 |
44.4 |
18 |
18 |
- |
- 10 -
다. 밭벼 예상생산량
(1) 현백률: 92.9%(9분도)
(단위: ha, kg,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10a당 생산량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253 |
407 |
61.1 |
235 |
304 |
29.3 |
595 |
1,239 |
108.3 |
서울 |
- |
- |
- |
- |
- |
- |
- |
- |
- |
부산 |
- |
- |
- |
- |
- |
- |
- |
- |
- |
대구 |
- |
- |
- |
- |
- |
- |
- |
- |
- |
인천 |
- |
0 |
- |
- |
202 |
- |
- |
0 |
- |
광주 |
1 |
6 |
358.4 |
278 |
300 |
7.9 |
4 |
19 |
394.8 |
대전 |
- |
- |
- |
- |
- |
- |
- |
- |
- |
울산 |
- |
- |
- |
- |
- |
- |
- |
- |
- |
세종 |
- |
- |
- |
- |
- |
- |
- |
- |
- |
경기 |
0 |
0 |
- |
205 |
202 |
- 1.4 |
0 |
0 |
- |
강원 |
- |
- |
- |
- |
- |
- |
- |
- |
- |
충북 |
- |
0 |
- |
- |
315 |
- |
- |
0 |
- |
충남 |
4 |
1 |
- 87.2 |
205 |
315 |
53.8 |
9 |
2 |
- 80.4 |
전북 |
5 |
- |
- |
276 |
- |
- |
14 |
- |
- |
전남 |
204 |
334 |
63.6 |
251 |
309 |
23.0 |
512 |
1,031 |
101.3 |
경북 |
2 |
7 |
189.5 |
135 |
260 |
92.2 |
3 |
18 |
456.4 |
경남 |
- |
- |
- |
- |
- |
- |
- |
- |
- |
제주 |
35 |
59 |
68.5 |
148 |
285 |
93.0 |
52 |
168 |
225.3 |
- 11 -
(2) 현백률: 90.4%(12분도)
(단위: ha, kg, 톤, %)
시도 |
재 배 면 적 |
10a당 생산량 |
생 산 량 |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20 |
′21 |
증감률 |
|
전국 |
253 |
407 |
61.1 |
229 |
296 |
29.3 |
579 |
1,206 |
108.3 |
서울 |
- |
- |
- |
- |
- |
- |
- |
- |
- |
부산 |
- |
- |
- |
- |
- |
- |
- |
- |
- |
대구 |
- |
- |
- |
- |
- |
- |
- |
- |
- |
인천 |
- |
0 |
- |
- |
197 |
- |
- |
0 |
- |
광주 |
1 |
6 |
358.4 |
270 |
292 |
7.9 |
4 |
18 |
394.8 |
대전 |
- |
- |
- |
- |
- |
- |
- |
- |
- |
울산 |
- |
- |
- |
- |
- |
- |
- |
- |
- |
세종 |
- |
- |
- |
- |
- |
- |
- |
- |
- |
경기 |
0 |
0 |
- |
199 |
197 |
- 1.4 |
0 |
0 |
- |
강원 |
- |
- |
- |
- |
- |
- |
- |
- |
- |
충북 |
- |
0 |
- |
- |
307 |
- |
- |
0 |
- |
충남 |
4 |
1 |
- 87.2 |
199 |
307 |
53.8 |
9 |
2 |
- 80.4 |
전북 |
5 |
- |
- |
268 |
- |
- |
14 |
- |
- |
전남 |
204 |
334 |
63.6 |
244 |
301 |
23.0 |
498 |
1,003 |
101.3 |
경북 |
2 |
7 |
189.5 |
132 |
253 |
92.2 |
3 |
18 |
456.4 |
경남 |
- |
- |
- |
- |
- |
- |
- |
- |
- |
제주 |
35 |
59 |
68.5 |
144 |
277 |
93.0 |
50 |
163 |
225.3 |
- 12 -
부록 |
쌀 예상생산량 추정 개요 |
□ 요 약
❍동 결과는 실측조사 결과로 얻어진 포기수, 이삭수, 낟알수와 지역별 중회귀 모형을 통해 얻어진 낟알무게(천립중*) 및 생산량 추정모형을 통해 산출된 금년 쌀 생산량 예측값임
* 천립중: 백미 1천개의 무게
□ 실측조사
❍ 표본수 : 약 6,300개 표본구역
❍ 조사기간 : 2021. 9. 13. ~ 9. 23.(추석명절로 기간 조정)
❍ 조사체계
통계청 농어업통계과 |
↔ |
지방청 및 사무소 |
↔ |
표본조사 지점 |
□ 모형추정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낟알무게(천립중) 추정을 위해 지역별 중회귀 모형을 설정
❍ 지역별로 예상생산량 추정을 위한 최적모형을 선택하여 추정
□ 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비율(현백률) 현실화 : 92.9% → 90.4%
❍시계열 유지를 위해 일관되게 적용하여 오던 현백률 92.9%(9분도)와 별도로 시중에서 주로 유통되는 현백률인 90.4%(12분도)를 적용한 수치도 2011년부터 함께 공표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