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
보도 |
배포 즉시 |
배포 |
2021. 7. 27(화) |
||||
담당부서 |
시장감시위원회 시장감시제도부 |
문의 |
이승범 부장(02- 3774- 9020) 김현일 팀장(02- 3774- 9021) |
제목 : 증권시장 불법불건전행위 근절대책 이행성과 종합 분석
- 불공정거래 집중대응으로 시장 건전성 개선
□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위원장 송준상)의 “증권시장 불법·불건전행위 근절 종합대책(’20.10.19)”에 따른 다양한 수단을 활용한 사전예방활동 전개 및 신속·정확한 불공정거래 강력 대응 등으로 ㅇ ‘20년 상반기 대비 불공정거래 발생이 뚜렷하게 감소하여 시장건전성이 개선됨 <불공정거래 집중대응기간중 사전예방활동 및 시장감시 현황>
□ (시장경보조치 안정화) 코로나19 발생 직후인 ’20년 상반기는 주가지수 변동폭 확대 등에 따라 평년대비 시장경보조치 건수가 일시적으로 급증*하였으나(월평균 1,023건), * ’19년 반기 평균 896건(월평균 160건) → ’20년 상반기 6,140건(월평균 1,023건) ㅇ 시감위의 불공정거래에 대한 강력 대응 및 주가변동성 축소 등으로 집중대응기간(‘20.10~’21.6월) 중 시장경보발동 건수는 감소하여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월평균 274건) □ (예방조치 정상 회복) ’20년 상반기는 평년대비 허수성 주문, 통정·가장성주문 및 직전가 대비 고가매수주문 반복 제출 등 불건전주문 제출 계좌에 대한 예방조치 건수가 소폭 증가*하였으나, * ’19년 반기 평균 2,229건(월평균 371건) → ’20년 상반기 2,346건(월평균 391건) ㅇ 집중대응기간(‘20.10~’21.6월) 중 불공정거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행위를 하는 계좌에 대하여 적극적인 예방조치 요구를 실시한 결과, 예방조치 건수는 감소(월평균 303건) ㅇ (주요 예방조치 사례) 테마주에서 시장가 매수·매도 주문을 반복 체결하여 투자자들을 유인한 후 주가 상승시 동일계산계좌를 통해 매집물량을 매도한 혐의(양방향 시세관여과다, 6/18)
□ (시장감시 동향 정기 배포) 불공정거래 적발 현황과 주요 감시 사례* 등을 안내하는 시장감시 주간브리프 및 월간 시장감시동향을 정기배포하여 투자자주의를 환기(총 25회) * 미공개정보이용 37건, 시세조종 10건, 부정거래 6건 등
□ (웹툰 등 투자유의 안내 매체 다양화) 주식 리딩방 등 유사투자자문업체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 등 시장감시 강화 계획 배포(‘21.4월) 및 투자유의 관련 웹툰을 제작·안내(‘21.6월)하여 투자자 보호 ㅇ 또한,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가능성이 높은 한계기업의 특징, 관련 불공정거래 유형 및 투자유의사항을 사전 안내(‘21.3월)
□ (조회공시 요구) 집중대응기간(‘20.10~’21.6월) 중 주가·거래량이 급격하게 변동한 종목(177건), 부도설·수주계약 관련 풍문이 있는 종목(47건) 등 총 224건에 대해 조회공시를 요구함 □ (비대면 예방 교육 확대 등) 상장법인 임직원의 미공개정보이용금지, 단기매매차익 반환 등 불공정거래 예방을 위한 비대면교육 강화 및 상장법인의 매매주식알림서비스 가입 확대 등 ㅇ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응하여 상장법인 방문교육을 동영상, 실시간 화상교육 등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하였고, ㅇ 일반투자자 대상 불공정거래 예방·분쟁 관련 교육 등을 유튜브로 제작하여 회원사 홈페이지에 게시(’20.9월)
□ (상장법인 K- ITAS 활용 제고) 집중대응기간(‘20.10~’21.6월) K- ITAS 신규 가입 법인수는 46사(월평균 6사)로 전년 상반기 28사(월평균 5사) 대비 증가(총 가입법인수 : 169사)
□ (시장감시) 집중대응 기간 이전 이상거래 적출종목중 신규주시 착수 종목은 월평균 20건 이하*였으나, * ’19년 하반기 107건(월평균 18건) → ’20년 상반기 89건(월평균 15건) ㅇ 집중대응기간(‘20.10~’21.6월) 부정거래 적발시스템 가동,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기업 집중감시, 스팩(SPAC) 관련주 기획감시 등으로 신규주시 착수가 증가하였음(월평균 22건)
□ (심리 현황) 집중대응기간중(‘20.10~’21.6월) 심리 착수건은 총 126건(월평균 16건)으로 ‘20년 반기 평균 85건 대비 증가(월평균 14건)
1. 테마주 관리 현황 및 분석 □ (테마주 관리*) ‘20년 이후 코로나19, 가상화폐, 언택트, 정치인 등 12개 테마 511개 종목을 테마주로 지정하여 시장감시에 활용하였으며, ㅇ 집중대응기간중(‘20.10.19~’21.6월)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24개 종목을 심리 의뢰함 * 인터넷, SNS 등 사이버 공간에서 수집한 테마 형성 정보 및 관련 종목의 주가 변동 사항을 고려하여 테마주를 지정하고 ‘테마주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 2. 집중신고기간 운영 현황 □ (불공정거래 신고 및 시장감시) 집중신고기간(‘20.10.19~’21.5.31) 신고된 총 702건의 민원(불공정거래 신고 : 390건, 일반민원 : 312건) 중 실제 불공정거래와 관련한 44건의 민원을 시장감시에 활용 ㅇ 집중신고기간중(‘20.10.19~’21.5.31) 포상금 지급결정건수는 13건*(3,257만원)으로 전년동기 1건(28만원) 대비 지급건수 및 포상금액 증가 * ‘21.8월초 지급 예정인 소액포상(3건) 포함
□ (공매도모니터링 시스템 가동) ㅇ (전담조직 신설 및 종합상황실 구축) 부서단위 공매도 특별감리단 신설(2팀 15인)과 함께, 공매도 상위·급증 등 관련 지표 및 공매도호가 등을 실시간 모니터하는 종합상황실 구축 ㅇ (공매도 모니터링) 일별 공매도대금, 비중 매매양태 등을 고려하여 불법공매도 의심계좌 적출 후 회원사로부터 증빙자료를 제출받아 점검 □ (공매도감리 강화) ㅇ (시장조성자 공매도 감리) ‘17.1.1.∼’20.6.30 기간 중 시장조성자의 계좌(131개)에서 발생한 불공정거래 점검(7~8월중 결과발표) ㅇ (결제수량부족 점검) T+2일 12시까지 결제주식이 미입고된 계좌에 대한 회원의 점검 적정성, 위탁자의 무차입공매도 여부를 월별로 점검 - 1~3월 발생건에 대해 전수 감리 후 위반자 감독당국에 통보 ㅇ (선매도후매수 점검) 일중 특정종목 선매도 체결수량과 후매수 체결수량이 동일한 계좌에 대해 무차입 공매도여부를 점검 - 3월 발생건 감리후 위반자 감독당국에 통보 <참고> 불공정거래 집중대응기간중 사전예방활동 및 시장감시 추이(건)
* ‘20.10월(‘20.10.19~10.31기간)
※ SNS, 유튜브 및 기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불공정거래 행위가 의심되거나 피해를 입은 경우 시장감시위원회의 불공정거래신고센터(http://stockwatch.krx.co.kr)에 신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
※ 한국거래소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krx.co.kr)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