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1. 7. 22.(목) 조간 |
배포 |
2021. 7. 21.(수) |
|||
담당부서 |
자산운용감독국 |
이은영 팀장(3145- 6711), 서정윤 조사역(3145- 6719) |
제 목 : 2020년 PEF(Private Equity Fund) 동향 및 시사점 |
◈ '20년말 기준 국내 PEF 산업은 PEF 수 855개, 약정액 97.1조원(이행액 70.6조원)으로 ’15년 사모펀드 제도개편 이후 계속 증가세를 유지 ◈ ’20년 중 PEF는 18.1조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17.7조원을 회수 ◦ 신설 PEF(218개)와 해산 PEF(91개)가 예년에 비해 증가하는 등 PEF 성장구조(신설 → 투자 → 해산‧회수 → 신설)를 보임 ◈ 사모펀드 체계 개편으로 다양한 투자전략이 가능해짐에 따라 M&A 활성화 기대 |
Ⅰ |
2020년 국내 PEF 산업 개황 |
□ (개요) '20년 말 기준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PEF)는 총 855개로 사모펀드 제도개편*이 있었던 '15년(316개) 대비 2.7배 성장
* PEF 사전등록제→사후보고제 전환, 복층형 SPC 활용허용 등
◦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약정한 금액(약정액)은 97.1조원으로 '15년(58.5조원) 대비 1.7배 증가
◦ 투자자가 PEF에 출자를 이행한 금액(이행액)은 70.6조원으로 '15년(38.4조원) 대비 1.8배 증가
국내 PEF 주요 현황
|
- 1 -
Ⅱ |
주요 특징 |
가. 자금모집 (Fund Raising) |
◈ '20년 중 신설 PEF 수는 218개, 신규 자금모집액은 17.9조원 |
□ (PEF수 증가) ’20년 중 신설 PEF 수는 총 218개로 전년(206개) 대비 12개 증가
◦ ’20년 말 운용 중 PEF 수는 총 855개로 전년(721개) 대비 134개 증가
* [연중 신설PEF] ('15) 76개 → ('16) 109개 → ('17) 135개 → ('18) 198개 → ('19) 206개 → ('20) 218개
* [연말 운용PEF] ('15) 316개 → ('16) 383개 → ('17) 444개 → ('18) 580개 → ('19) 721개 → ('20) 855개
□ (신규 자금모집) '20년중 PEF 신규 자금모집액*(신설 PEF의 약정액)은 17.9조원으로 전년(15.6조원) 대비 2.3조원 증가
* ('15) 10.2조원 → ('16) 9.4조원 → ('17) 9.9조원 → ('18) 16.4조원 → ('19) 15.6조원 → ('20) 17.9조원
PEF의 신규 자금모집 현황
|
□ (프로젝트PEF 다수 유지) '20년 신설 PEF 중 프로젝트 PEF*는 168개로 블라인드 PEF(50개)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
◦ 이는 투자 건 발굴 후 이를 바탕으로 자금을 유치하는 데 기인
* 프로젝트PEF는 투자대상기업이 사전에 정해져 있어 블라인드PEF에 비해 출자 이행이 빨리 이루어짐
** [프로젝트PEF 비중] ('15) 65.8% → ('16) 70.6% → ('17) 75.6% → ('18) 74.2% → ('19) 73.3% → ('20) 77.1%
- 2 -
□ (PEF 구성) ’20년 중 신설 PEF는 약정액 기준으로 중‧대형PEF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며
◦ 개수 기준으로는 소형PEF가 168개로 70% 수준을 유지
’20년 신설 PEF 규모별 비중(금액 기준) |
신설 소형PEF 연도별 추이 |
* PEF 규모별 분류(출자약정액 기준) - 대형PEF(3,000억 이상), - 중형PEF(1,000억 이상 3,000억 미만) - 소형PEF(1,000억 미만) |
|
□ (GP 증가) '20년 말 업무집행사원(GP)은 337개로 전년(304개) 대비 33개 증가
◦ 전업 GP(245개)는 계속 증가하여 전체의 70% 수준을 상회한 반면, 금융회사 GP(36개)는 감소추세를 보임
운용중인 GP 현황
(단위 : 개)
구분 |
'15년말 |
'16년말 |
'17년말 |
'18년말 |
'19년말 |
'20년말 |
||||||||
전년대비 증감 |
||||||||||||||
전 업 |
94 |
(56.3%) |
115 |
(60.5%) |
138 |
(66.0%) |
168 |
(66.1%) |
210 |
(69.1%) |
245 |
(72.7%) |
35 |
(3.6%p) |
금융회사 |
41 |
(24.5%) |
41 |
(21.6%) |
35 |
(16.8%) |
37 |
(14.6%) |
38 |
(12.5%) |
36 |
(10.7%) |
△2 |
(△1.8%p) |
창투계회사* |
32 |
(19.2%) |
34 |
(17.9%) |
36 |
(17.2%) |
49 |
(19.3%) |
56 |
(18.4%) |
56 |
(16.6%) |
- |
(△1.8%p) |
계 |
167 |
(100%) |
190 |
(100%) |
209 |
(100%) |
254 |
(100%) |
304 |
(100%) |
337 |
(100%) |
33 |
(- ) |
* 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사 등
- 3 -
나. 투 자 (Investment) |
◈ '20년 중 국내외 565사를 대상으로 18.1조원의 투자를 집행 |
□ (투자집행) '20년 중 PEF 투자집행 규모*는 18.1조원으로 직전 5년 평균 투자집행 규모(12.8조원)를 상회
* ('15) 12.8조원 → ('16) 8.9조원 → ('17) 12.4조원 → ('18) 13.9조원 → ('19) 16.0조원 → ('20) 18.1조원
◦ 전년(16.0조원) 대비 2.1조원 증가하며 4년 연속 증가세를 유지
PEF 신규모집액 및 투자액 현황 |
투자대상기업의 업종 분포 |
|
|
< ’20년 중 PEF 주요 투자 건 > |
||
√ (맥쿼리자산운용) 엘지씨엔에스 √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솔루스첨단소재 √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 피아이첨단소재 |
□ (투자대상) 투자대상기업(565개) 중 국내기업(488개) 비중은 86.4%로 국내기업 투자 편중도가 상당히 높은 편
◦ 투자금액 기준으로는 국내 12.6조원, 해외 5.5조원을 투자
- 4 -
□ (투자여력) PEF를 통한 추가 투자여력 지표인 미집행 약정액은 27.3조원으로 전년(22.6조원) 대비 4.7조원 증가
◦ 약정액 대비 미집행액 비율은 27.3%로 전년(26.8%) 대비 증가
약정액 및 미집행률 현황
구 분 |
'15년말 |
'16년말 |
'17년말 |
'18년말 |
'19년말 |
'20년말 |
|
전년대비 증감 |
|||||||
약정액(조원) |
58.5 |
62.2 |
62.6 |
74.4 |
84.3 |
97.1 |
2.8 |
이행액(조원) |
38.4 |
43.6 |
45.5 |
55.5 |
61.7 |
70.6 |
8.9 |
미집행률(%)* |
34.4 |
29.9 |
27.3 |
25.2 |
26.8 |
27.3 |
0.5%p |
* 미집행률 = { (약정액 - 이행액) ÷ 약정액 } × 100
다. 회 수 (Exit) |
◈ '20년 중 투자회수액은 17.7조원이며, 91개 PEF가 해산 |
□ (회수액 증가) '20년 중 투자회수액*은 17.7조원으로 전년(11.7조원) 대비 6조원 증가
* ('15) 5.8조원 → ('16) 8.1조원 → ('17) 7.4조원 → ('18) 9.0조원 → ('19) 11.7조원 → ('20) 17.7조원
< ’20년 중 PEF 주요 회수 건 > |
||
√ (프리미어파트너스) 카카오게임즈, 세틀뱅크 √ (MBK파트너스) 대성산업가스 √ (한앤컴퍼니) 에이치라인해운 |
□ (해산 PEF) ’20년 중 해산 PEF 수는 91개로 전년(65개) 대비 26개 증가
◦ 해산 PEF의 실제 존속기간은 평균 4.0년
해산 PEF수 및 회수액 현황
|
회수대상기업의 업종 분포 |
- 5 -
Ⅲ |
시사점 및 감독방향 |
□ ’20년 중 국내 PEF 시장은 업무집행사원(GP)과 신규 설립 PEF 수, 투자액 모두 직전 최고 수준을 경신하며 성장
◦ 기업가치 제고 후 상장, 동종기업 간 합병 후 매각 등 PEF가 기업 인수합병 분야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영향력을 강화하는 추세
□ 기관전용 사모펀드 도입, 사모펀드 운용규제 완화 등 사모펀드 체계 개편으로 다양한 투자전략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업구조조정 및 M&A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
◦ 업계 의견 청취 및 시장 동향 모니터링을 통해 개편된 사모펀드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6 -
붙임1 |
PEF 제도 개요 |
* '15.10월 사모펀드 제도개편으로 PEF 명칭이 '사모투자전문회사'에서 □ (개요) 경영권 참여, 사업구조·지배구조 개선 등을 위해 지분증권 등에 투자·운용하는 사모집합투자기구 □ (종류) 일반 PEF, 기업재무안정 PEF, 창업·벤처전문 PEF로 구분 ◦ 기업재무안정 PEF : 재무구조개선기업*에 투자·운용하는 PEF * 부실징후기업,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기업 등 ◦ 창업·벤처전문 PEF : 창업·벤처기업, 기술·경영혁신형 중소기업 등에 투자·운용하는 PEF
|
- 7 -
붙임2 |
PEF 관련 주요 통계 |
1. PEF 현황 (단위 : 개, 조원, %)
* 산업발전법 및 해외자원개발법 2. 신설 PEF 규모별 현황 (단위 : 개)
3. GP 구성 현황 (단위 : 사)
4. 투자 및 회수 현황 (단위 : 사, 조원)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