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
보도 |
6.3.(목) 14:00부터 |
배포 |
2021.6.3.(목) |
||||
책 임 자 |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변 제 호(02- 2100- 2650) |
담 당 자 |
장원석 사무관(02- 2100- 2654) 신용진 사무관(02- 2100- 2644) |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본부장보 송 영 훈(02- 3774- 8505)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본부장보 김 기 경(02- 3774- 9503) 한국거래소 시장감시 본부장보 지 천 삼(02- 3774- 9002) |
정규일 부장(02- 3774- 8580) 김재향 부장(02- 3774- 9600) 이재훈 부장(02- 3774- 9250) |
||||||
한국증권금융 자금운용본부장 홍 인 기(02- 3770- 8504) |
박상묵 부장(02- 3770- 8890) |
||||||
금융투자협회 증권·선물 부문대표 이 창 화(02- 2003- 9013) |
진양규 부장(02- 2003- 9100) |
제 목 : 공매도 재개 후 한 달간(5.3일~6.2일) 주식시장 동향 점검
◈ 5.3일 이후 재개된 공매도는 경기회복세 등 양호한 거시·주식시장 환경 하에서 원활하게 안착하였습니다. ㅇ 주가지수는 전반적으로 세계증시와 유사하게 움직였으며, 국내증시는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 추세를 보였습니다. ㅇ 공매도 일평균 거래대금은 이전에 비해 다소 증가했으나, 공매도와 주가 간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금융위원회와 유관기관은 공매도 관련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해 나가겠습니다. ㅇ 금융위는 6.1일을 시작으로 증권사 차원의 불법공매도 적발·차단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자체분석을 통해 이상거래를 심층점검·감리하고 있습니다. ㅇ 아울러, 개인투자자의 공매도 투자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개선도 적극 검토해 나갈 예정입니다. |
- 1 -
1 |
주가 동향 |
□ 주가지수는 공매도 재개 직전 거래일인 4.30일 대비 코스피 +2.4% 상승, 코스닥 △0.2% 하락하였습니다.(6.2일 종가기준)
ㅇ 5월중 세계증시는 美 물가 상승에 따른 연준(Fed)의 양적완화 축소(tapering) 가능성 등으로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ㅇ 아시아 증시도 전반적으로 세계 증시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국내증시의 경우 기업실적 개선*·개인매수세 지속 등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 코스피 상장사 ’21.1Q 연결순이익 : 49.1조원(전년동기대비 +361%)
< 국가별 한 달 간 주가상승률 > |
< 주요국 증시추이 > |
|
|
|
□ 외국인은 5월중 국내 증시에서 9조원을 순매도하였으나, 5월 마지막 주에는 순매수로 전환* 하였습니다.
* 5월 외국인 순매수(조원) : (1주) △1.2, (2주) △6.7, (3주) △1.6, (4주) △0.02 (5주) +0.5
ㅇ 미국의 긴축 경계감에 따른 아시아 비중 축소 등의 영향으로다른 아시아 국가도 유사한 외국인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 亞 주요국 외국인 순매수(5.31, 백만달러) : (한국) △7,964 (대만) △1,911 (일본, 5.21 기준) △5,028
ㅇ 또한, 5월 중순 나타난 원화 약세로 인해 외국인 자금유출이 빠르게 진행된 측면도 있습니다.
* 원달러 환율 : (5.3일) 1,123.0 → (5.7일) 1,120.5 → (5.17일) 1,138.0 → (5.31일) 1,108.5
- 2 -
2 |
공매도 동향 |
□ 해당기간 중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6,882억원으로 과거 대비 증가했으나, 전체 거래대금이 과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음을 감안하면 상승폭은 크지 않습니다.
* 일평균 공매도(억원) : (‘17) 3,913 (’18) 5,248 (‘19) 4,207 (’20.3월) 6,542 (’21.5~6.2) 6,882
일평균 거래대금(조원) : (‘17) 9.0 (’18) 11.5 (‘19) 9.3 (’20.3월) 13.7 (’21.5~6.2) 25.4
ㅇ 공매도 거래대금은 개시 초기 금지기간 누적됐던 공매도 수요*로 인한 높은 증가폭이 점차 하향안정화** 되고 있습니다.
* 공매도 금지기간 중 현물공매도 금지의 대안으로 선물매도가 증가하여 선물 저평가 상태(백워데이션) 유지 → 공매도 재개 이후 고평가된 현물을 매도하고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하려는 차익거래 유인 발생
** 공매도 일평균 거래대금(억원) : (5월1주) 8,416 (5월2주) 7,504 (5월3주) 6,379 (5월4주) 6,373
ㅇ 총거래대금 대비 비중*은 2.7%로 이전보다 약 40% 감소했습니다.
* 공매도 거래비중(%) : (‘17) 4.4 (’18) 4.7 (‘19) 4.6 (’20.1~3월) 4.7 (‘21.5~6월) 2.7
□ 한편, 분석기간 동안 공매도와 주가 간 유의미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ㅇ 공매도 거래대금과 비중이 높았던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면, 규칙적인 관계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 공매도 거래대금 및 비중 상위 10개 종목의 주가변동률(억원, %) >
종목명 |
공매도대금 |
변동률 |
종목명 |
공매도비중 |
변동률 |
삼성전자 |
6,544 |
△0.9 |
카페24 |
18.3 |
△6.0 |
HMM |
5,677 |
+20.5 |
포스코케미칼 |
17.9 |
△3.7 |
LG화학 |
3,830 |
△13.4 |
넷마블 |
17.6 |
+7.7 |
셀트리온 |
3,374 |
+0.2 |
LG디스플레이 |
16.8 |
△0.8 |
현대차 |
3,315 |
+12.3 |
한국기업평가 |
16.6 |
△1.4 |
LG디스플레이 |
3,218 |
△0.8 |
카카오게임즈 |
15.5 |
△1.5 |
SK이노베이션 |
3,216 |
△1.3 |
아이티엠반도체 |
15.4 |
△0.9 |
카카오 |
2,969 |
+11.9 |
현대바이오랜드 |
15.0 |
+4.9 |
SK하이닉스 |
2,915 |
△1.6 |
KH바텍 |
14.8 |
△1.7 |
삼성SDI |
2,723 |
△6.6 |
알테오젠 |
14.7 |
△13.0 |
* 변동률은 4.30일 종가 대비 6.2일 종가 기준
- 3 -
3 |
투자자별 공매도 동향 |
□ 해당기간 중 외국인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5,827억원(코스피 4,789억원, 코스닥 1,038억원)으로 전체 공매도 대금의 84.7% 수준입니다.
ㅇ 시장전문가들에 따르면 외국인 공매도 증가는 롱숏전략*에 따른 매수·매도 확대 등에 기인하였을 것이라고 추정되며,
* 주식시장에서 매수(long)와 매도(short)를 동시에 활용해 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
ㅇ 실제, 코스피의 경우 공매도 허용종목의 외국인 보유비중이 금지종목보다 소폭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코스닥은 반대결과)
* 코스피200 외국인 보유비중(%) : (‘21.4말) 37.1 → (6.2일) 36.5
코스피200 外 외국인 보유비중(%) : (‘21.4말) 26.0 → (6.2일) 24.4
□ 기관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942억원(코스피 766억원, 코스닥 176억원)으로 ‘20.1~3월 일평균 2,860억원 대비 67% 감소하였습니다.
ㅇ 미니코스피200선물·옵션 시장조성자의 주식시장 공매도 금지 등 시장조성자 제도개선(‘20.12월)에 따른 영향이라고 판단됩니다.
* 일평균 시장조성자 공매도 : (’19~’20.3.13) 1,045억원 → (’21.5.3~6.2) 188억원
□ 새로운 개인대주제도를 이용한 개인투자자의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113억원(코스피 87억원, 코스닥 26억원)으로, 이전 대비 약 45% 증가*했습니다.
* 개인 일평균 거래대금[(‘20.1~3.13일) 78억원 → 113억원] 및 공매도 비중[1.2% → 1.6%]
ㅇ 개인대주제도의 대주물량 평균소진율(체결금액/배정금액)은 0.4%, 당일대주- 당일상환 비중은 39%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투자자별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비중 현황(억원) >
구 분 |
외국인 |
기관 |
개인 |
합계* |
|
‘19년 |
공매도(A) |
2,641(62.8%) |
1,518(36.1%) |
48(1.1%) |
4,207(100%) |
총매도(B) |
18,361 |
13,531 |
60,335 |
92,992 |
|
비중(A/B) |
14.4% |
11.2% |
0.1% |
4.5% |
|
‘20년 (’20.1.1~3.13) |
공매도(A) |
3,604(55.1%) |
2,860(43.7%) |
78(1.2%) |
6,542(100%) |
총매도(B) |
27,679 |
21,227 |
87,163 |
137,247 |
|
비중(A/B) |
13.0% |
13.5% |
0.1% |
4.8% |
|
‘21년 (’21.5.3~6.2) |
공매도(A) |
5,827(84.7%) |
942(13.7%) |
113(1.6%) |
6,882(100%) |
총매도(B) |
44,256 |
28,676 |
179,535 |
254,426 |
|
비중(A/B) |
13.2% |
3.3% |
0.1% |
2.7% |
* 합계에는 기타(일반법인) 포함
- 4 -
4 |
공매도 제도개선 내용 및 효과 |
□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시장감시위원회)는 불법공매도 적발강화를 위한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➊ 한국거래소는 매매양태 자체분석을 통해 약 300여건의 점검대상을 선정하여 불법공매도 여부·업틱룰 위반 등을 심층점검하였으며,
- 거래소 감리 후 법위반 혐의 발견시 금융위(자본시장조사단) 및 금감원에 통보 예정입니다.
< 특별감리단 점검계좌 모니터링 현황 >
구분 |
5.3∼5.7 |
5.10∼5.14 |
5.17∼5.21 |
5.24∼6.2 |
합계 |
점검대상 |
130 |
107 |
37 |
41 |
315 |
점검완료 |
130 |
107 |
36 |
26 |
299 |
* 모니터링 기준 고도화에 따라 점검대상 거래 건을 합리적으로 조정
➋ 이와 함께 결제수량부족* 120여건 및 선매도- 후매수** 의심거래 600여건에 대해서는 감리를 실시 중입니다.
* 결제일(T+2일) 오후 12시(예탁결제원 통보) 기준 결제수량부족 계좌
**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먼저 매도한 후 당일 동일수량을 매수하여 결제하는 거래
□ 시장조성 대상종목 및 공매도를 필수적인 경우로 제한함에 따라, 전체 공매도 중 시장조성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8.87%→0.01%)
ㅇ 고유동성 종목에 대한 시장조성을 제한함에 따라, 시장조성 종목 중 저유동성 비중이 증가하였습니다.
< 시장조성종목 중 저유동성 종목 현황 >
구분 |
‘20년 |
‘21년 |
증감 |
||
시장조성 |
저유동성 종목(A) |
280개 |
373개 |
+93개 |
|
전체 계약 종목(B) |
849개 |
678개 |
△171개 |
||
시장조성종목 중 저유동성 비중(A/B) |
32% |
55% |
+23%p |
ㅇ 아울러, 시장조성자 관련 정보 공개 확대*를 통해, 시장조성자 거래 관련 투명성 및 투자자 신뢰제고 노력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 종목별 시장조성 계약 현황(의무이행률 등) 공개 및 시장조성자 상세거래실적 공표
- 5 -
5 |
종합평가 및 향후계획 |
□ 공매도 재개는, 경기회복세 등 우호적인 거시·주식시장 환경 하에서 원활하게 안착된 것으로 보입니다.
ㅇ 주가지수, 공매도 거래대금*, 변동성지수** 등 계량지표는 정상범위 내에서 움직이고, 시장불안심리 및 이상징후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공매도 대금 증가에는 다양한 원인이 작용했으나, 국내외 시장전문가는 단순히 주가하락을 기대하는 공매도 물량은 많지 않은 것으로 추정
**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 추이 : (‘21.1월) 30.8 (2월) 28.4 (3월) 25.1
(4월) 18.0 (5월~6.2일) 18.6
ㅇ 정부는 증권사 차원의 불법공매도 차단·적발시스템이 원활하게 구축·운영되는지 순차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6.1일 1차 점검실시),
- 향후에도 시장감시위원회의 혐의거래 심층점검 지속 등을 통해 주식시장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해 나가겠습니다.
□ 금융당국은 개인투자자의 공매도 투자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개선도 지속해 나가겠습니다.
ㅇ 현재 17개사가 제공중인 개인대주서비스를 연내에 신용융자를 취급하는 28개 증권사 모두로 확대해 나가고,
※ (현재) NH투자, 키움, 신한금투, 대신, SK, 유안타, 한국투자, 하나, KB, 삼성, 교보, 미래에셋, 케이프, BNK, 상상인, 한양, 부국(17개사)
(연내) 이베스트, 유진, 하이, 메리츠, KTB, IBK, DB, 한화, 현대차, 신영, 유화(11개사)
ㅇ 대주물량 추가확보와 대주재원 활용 효율화 등을 추진하면서, 개인대주 차입기간(60일)을 보다 늘리는 방안 등도 검토하겠습니다.
□ 한편, 6.11일부터 코스피200, 코스닥150 구성종목 변경으로 공매도 가능종목이 변경되므로 공매도 투자자는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ㅇ 지수에서 편출 예정인 종목*은 6.10일(목)까지만 공매도 주문이 가능합니다.(매수상환은 6.11일 이후에도 가능)
* 코스피200 8종목, 코스닥150 16종목 예정(세부종목은 거래소 5.25일 발표참고)
- 6 -
< 금융 용어 설명 > ▪ 공매도 :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을 되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 ▪ 백워데이션(back- wardation) :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낮게 형성된 시장 또는 선물과 현물 간의 가격 역전현상을 의미하며, 백워데이션 하에서는 저평가된 선물을 매수하고 고평가된 현물을 매도하는 차익거래 수요가 발생 ▪ 시장조성자(market maker) : 매수·매도 양방향에 호가를 제시하여 투자자의 거래상대방이 되어주는 자기매매업자(통상 증권사)로, 원활한 거래를 뒷받침하여 투자자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가격연속성을 제고하는 기능을 수행 ▪ 업틱룰(up- tick rule) : 공매도 시 매도호가를 직전 체결가 초과로 제시하도록 제한한 규정 |
|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
금융위원회 대 변 인 prfsc@korea.kr |
|
“혁신금융, 더 많은 기회 함께하는 성장”
- 7 -
참고 |
공매도 관련 제도개선 주요내용 |
(불법공매도 처벌강화) 불법공매도에 대한 과징금 및 형벌 도입 등 관련 자본시장법 및 하위규정 시행 (’21.4.6일)
* (과징금) 주문금액 내 (형벌) 1년 이상 징역 또는 부당이득의 3~5배 벌금
(불법공매도 적발 강화) 불법공매도 적발시스템 구축 완료
➊ 거래소 내 전담조직 신설 (2.22일)
➋ 실시간 공매도 호가 모니터링 시스템* 본격 가동 (4.26일~)
* 종목별 차입공매도 호가수량, 투자주체 등 실시간 조회, 잔고초과 호가 분석, 부적격 업틱룰 예외호가 적출 등
➌ 무차입공매도 점검주기 단축(6→1개월) 및 선매도·후매수 상시 점검
(개인공매도 기회확충) 5.3일 공매도 재개일에 맞춰 개인貸株 제도개선 완료
➊ 증권사, 보험사 등 협의를 통해 개인대주물량 2.4조원 확보
➋ 증권사별 전산개발을 거쳐 5.3일 17개사 대주시스템 오픈
→ 연내 28개사 모두 참여 예정
➌ 투자자 보호 관련 사전투자교육 프로그램(금투협회) 및 모의거래시스템(거래소) 개발·운영 (4.20일~)
(시장조성자) 제도정비 완료 → 신규 시장조성자 업무 개시(4.1일~)
➊ 미니코스피200 공매도 금지, 주식시장조성자 업틱룰 적용 등을 위한 거래소규정 개정 완료 (3.15일 시행)
➋ 제도개선 사항을 반영한 신규 시장조성계약 체결
→ 신규 계약에 따른 업무 개시 (4.1일~)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