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기반 혁신금융 추진


•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


• 선제적 업무리스크 관리 강화


• 고객감동의 지속가능경영 체계 구축

보도일시

동 자료는 배포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

배 포 일

2021. 4. 14. (수) 

작성부서

글로벌서비스부 글로벌예탁결제팀

총 7쪽(붙임 없음)

책 임 자

조동우 팀장 (051- 519- 1836)

담 당 자

변혜경 팀원 (051- 519- 1839)

사 진

사진있음 □ 사진없음 

배포부서

홍보부 (02- 3774- 3060)


’21년 1분기, 예탁결제원을 통한 외화증권 보관·결제금액 지속 증가 

-  외화증권 투자지원 서비스도 계속 확대 추진 -


1. 외화증권 보관 · 결제 총괄


□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명호, 이하 ‘예탁결제원’)을 통한 국내 투자자의 2021년 1분기 외화증권 보관금액은 813.6억 달러, 결제금액은 1,575.6억 달러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기록


ㅇ 특히,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직전분기(898.8억 달러) 대비 75.3% 증가하였고, 이는 ’20년도 결제금액(3,233.9억 달러)의 48.7%에 해당함


[그림 1] 최근 5개 분기 외화증권 보관 및 결제금액


 

- 1 -

2. 외화증권 보관금액(’21년 1분기 기준)


□ (종류별) 예탁결제원을 통한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보관금액은 813.6억 달러’20년말(722.2억 달러) 대비 12.7% 증가


ㅇ 외화주식은 577.2억 달러로 ’20년말(470.8억 달러) 대비 22.6% 증가반면, 외화채권은 236.4억 달러로 ’20년말(251.4억 달러) 대비 6% 감소


□ (시장별) 해외시장별 보관금액은 미국이 전체 보관금액의 57.9%로 비중이 가장 높고, 상위 5개 시장* 전체 보관금액의 97.4% 차지


* 미국, 유로시장, 홍콩, 중국, 일본


ㅇ 외화주식의 경우 미국이 전체 외화주식 보관규모의 80.3%를 차지하였으며, 직전분기 대비(373.4억달러) 대비 24.2% 상승하는 등 국내 투자자의 미국주식 투자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표 1] 외화증권 보관금액 상위 시장

(단위 : 억 USD)

순위

외화주식

외화채권

전체

’19년

’20년

’21.1분기

‘19년

‘20년

’21.1분기

‘19년

‘20년

’21.1분기

1

미국

(84.1)

미국

(373.4)

미국

(463.7)

유로시장

(271.8)

유로시장

(240.0)

유로시장

(224.2)

유로시장

(273.2)

미국

(376.4)

미국

(470.7)

2

일본

(18.7)

홍콩

(31.4)

홍콩

(36.1)

미국

(9.9)

브라질

(5.6)

미국

(7.0)

미국

(94.0)

유로시장

(240.1)

유로시장

(225)

3

중국

(18.6)

중국

(29.3)

중국

(30.2)

브라질

(7.8)

미국

(3.0)

브라질

(3.5)

일본

(18.7)

홍콩

(31.4)

홍콩

(36.1)

4

홍콩

(12.9)

일본

(25.9)

일본

(30.1)

호주

(1.5)

중국

(1.5)

중국

(0.7)

중국

(18.6)

중국

(30.8)

중국

(30.9)

5

베트남

(4.9)

베트남

(4.7)

독일

(6.5)

인도네시아

(0.6)

호주

(0.7)

인도네시아

(0.5)

홍콩

(12.9)

일본

(25.9)

일본

(30.1)

  

주1) 유로시장은 국제예탁결제기관인 Euroclear, Clearstream을 통한 외화증권(유로채 포함) 투자금액

주2) 중국시장은 China B주, 후강통, 선강통, RQFII(외국인 투자자가 중국 본토의 주식·채권 등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제도) 포함


- 2 -

□ (종목별) 외화주식 보관금액 상위종목 테슬라,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알파벳A 순으로 다수가 미국 나스닥 기술주로 구성


ㅇ 특히, 상위 7개 미국 주식의 보관금액은 총 172.6억 달러로 전체 외화주식 보관금액(577.2억달러)의 29.9%를 차지


[표 2] 외화주식 보관금액 상위 10개 종목


(단위 : 백만 USD)

순위

’19년

’20년

’21.1분기

종목명

보관금액

국가

종목명

보관금액

국가

종목명

보관금액

국가

1

아마존

654

미국

테슬라

7,835

미국

테슬라

8,375

미국

2

골드윈

621

일본

애플

2,998

미국

애플

3,494

미국

3

항서제약

431

중국

아마존

2,066

미국

아마존

1,578

미국

4

마이크로

소프트

354

미국

엔비디아

1,150

미국

엔비디아

1,075

미국

5

알파벳A

281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1,065

미국

알파벳A

1,043

미국

6

라인

281

일본

알파벳A

881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1,001

미국

7

텐센트

262

홍콩

항서제약

770

중국

INVSC QQQ ETF

689

미국

8

신일본제철

240

일본

INVSC QQQ ETF

588

미국

항서제약

615

중국

9

넥슨

237

일본

해즈브로

524

미국

해즈브로

539

미국

10

애플

225

미국

넥슨

495

일본

넥슨

499

일본


3. 외화증권 결제금액(’21년 1분기 기준)


□ (종류별) 예탁결제원을 통한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결제금액은 1,575.6억 달러로 직전분기(898.8억 달러) 대비 75.3% 증가하였고, 이는 ’20년도 결제금액(3,233.9억 달러)의 48.7%에 해당하는 규모임


ㅇ 외화주식은 1,285.1억 달러로 직전분기(654억달러) 대비 96.5% 증가하였고, 외화채권은 290.5억 달러로 직전분기(244.8억달러) 대비 18.7% 증가

- 3 -

□ (시장별) 해외시장별 결제금액은 미국이 전체 결제금액의 77.1%로 비중이 가장 높고, 상위 5개 시장* 전체 결제금액의 99.5% 차지


* 미국, 유로시장, 홍콩, 중국, 일본


ㅇ 외화주식의 경우 미국이 전체 외화주식 결제규모의 93.3%를 차지하였으며, 직전분기 대비(603.5억달러)대비 98.7% 상승하는 등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표 3] 외화증권 결제금액 상위 5개 시장

(단위 : 억USD)

순 위

외화주식

외화채권

전체

20.4분기

21.1분기

20.4분기

21.1분기

20.4분기

21.1분기

1

미국(603.5)

미국(1,198.9)

유로시장(216)

유로시장(271.3)

미국(629.6)

미국(1,214)

2

홍콩(34.1)

홍콩(55.7)

미국(26.1)

미국(15.1)

유로시장(216.4)

유로시장(272)

3

중국(8.2)

중국(12.4)

브라질(1.6)

중국(3)

홍콩(34.1)

홍콩(55.7)

4

일본(4.6)

일본(10.1)

호주(0.4)

브라질(0.8)

중국(8.9)

중국(15.4)

5

베트남(0.8)

영국(2.1)

인도(0.03)

호주(0.2)

일본(4.6)

일본(10.1)

주1) 유로시장은 국제예탁결제기관인 Euroclear, Clearstream을 통한 외화증권(유로채 포함) 결제금액


□ (종목별)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종목 테슬라, 게임스탑, 애플, 처칠캐피탈, 팔란티어 등 모두 미국주식이 차지


ㅇ 특히, 전년도 1위 종목인 테슬라의 ’21.1분기 결제금액은 118.7억 달러로 직전분기(87.8억 달러) 대비 35% 증가하였고, 이는 ’20년 전 기간의 테슬라 결제금액(232.9억달러)에 51%에 달하는 규모임


ㅇ 또한, 그간 결제금액 상위권을 유지해 왔던 미국 대형 기술주 외(테슬라, 애플, 아마존 등)에도 미국 시장 내 이슈 및 정책에 영향을 받는 종목이 상위종목으로 편입되는 등 국내 투자자의 미국 투자 대상 종목 다변화 양상을 보임



- 4 -


[표 4] 외화주식 결제금액 상위 10개 종목

(단위 : 백만 USD)

순위

’20.4분기

’21.1분기

종목명

결제금액

(매수 / 매도)

국가

종목명

결제금액

(매수 / 매도)

국가

1

테슬라

8,781

(4,897 / 3,884)

미국

테슬라

11,872

(6,674 / 5,198)

미국

2

애플

2,822

(1,494/ 1,328)

미국

게임스탑

5,202

(2,495 / 2,707)

미국

3

니오

1,932

(1,042 / 890)

미국

애플

3,864

(2,366 / 1,498)

미국

4

아마존

1,884

(966 / 918) 

미국

처칠캐피탈

2,571

(1,417 / 1,154) 

미국

5

엔비디아

1,615

(809 / 806)

미국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2,176

(1,301 / 875)

미국

6

샤오펑 ADR

1,582

(848/ 734) 

미국

DIREXION DAILY SEMICONDUCTOR BULL 3X

2,149

(1,245 / 904) 

미국

7

ProShares UltraPro QQQ

1,159

(556 / 603)

미국

아마존

1,581

(611 / 970)

미국

8

모더나

920

(470/ 450)

미국

이항 홀딩스

1,453

(702 / 751)

미국

9

PROSHARES ULTRAPRO SHORT QQQ ETF

815

(414 / 401)

미국

엔비디아

1,330

(635 / 695)

미국

10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778

(455/ 323) 

미국

AMC 엔터테인먼트 홀딩스

1,272

(658 / 614) 

미국





- 5 -

4. 외화증권 투자지원 서비스 확대 계획


◇ 금년 상반기에는 외화증권 투자 증가에 따른 예탁결제시스템 개선,부가서비스 확대 및 일반투자자 대상 투자유의 홍보 추진


ꊱ 외화증권 예탁결제시스템 개선


ㅇ 외화증권 투자 확대로 인해 결제지시 건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외화증권 결제지시 송수신(예탁결제원 󰠏 SWIFT)시스템 개선


- 결제지시 전문 송·수신 분리 처리, 전문 송신 간격·처리건수 확대


* (일평균 결제지시 건수) ’18년 4,075 → ’19년 6,902건 → ’20년 21,507건 → ’21년 45,916건


ㅇ 국내 공휴일(외국시장 영업일) 매매거래로 익영업일에 결제지시가 집중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증권사에 공휴일 매매거래가당일에 결제지시가 될 수 있도록 협조 요청


ꊲ 외화증권 투자지원 부가서비스 확대


ㅇ 외화증권 보관물량에 대한 추가수익 창출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외화증권 대여 중개* 외국보관기관을 추가 선임하고 


- 일반투자자 고객 비중이 높은 국내 증권회사 참여를 유도할 계획


* 주식대여 중개서비스(’18년 도입), 채권대여 중개서비스(’19년 도입)


ㅇ 금년 9월부터 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개시증거금 의무 교환제도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국제예탁결제기관(Euroclear)을 통해 보유 외화증권을 증거금(담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


󰊳 일반투자자 대상 외화증권 투자·권리행사업무 홍보 및 안내


ㅇ 일반투자자의 외화증권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시장의 경우가격제한폭이 없거나, 정보가 부족하여 급격한 자산가치 하락 또는 대규모 손실 우려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

- 6 -

< 외화증권 투자 유의 사례 >

① 이항(Ehang Intelligence)은 투자정보업체가 기업현황보고서 발표 후 2.16일 주가가 전일 대비 약 62.69% 하락(124.09 USD → 46.30 USD)


② 게임스톱(GameStop)은 투자자의 관심 증대로 주가가 상승였으나, 1.28일 주가가 전일대비 약 44% 하락(347.51 USD → 193.6 USD)


ㅇ 국내 시장과 상이한 외국의 투자환경(제도·시장관행·조세 등)으로 인해국가별로 다르게 운영되는 외화증권 투자·권리행사에 대하여 일반투자자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대국민 홍보 및 안내 추진


- 외화증권 투자 및 권리행사의 소개·절차·사례·Q&A 등을 다양한 온·오프라인 매체·채널 등*을 통해 일반투자자에게 전파


* (온라인) 예탁결제원 및 증권사 홈페이지, 유튜브 채널 등

(오프라인) 투자유의 리플렛 배포(증권사 지점 등), 증권사 고객설명회 등 활용


◇ 금년 하반기에는 현행 외국보관기관 운영체계를 점검 및 재편하고외화증권 투자지원 서비스에 대한 발전방안을 마련할 예정 


ꊱ 외국보관기관 운영체계 점검 및 재편


ㅇ 외화증권 투자 1천억 달러 시대 도래에 대비하여 외국보관기관 운영체계를 점검하고 투자지원 서비스 및 운영 효율화 관점에서 다각적인 개선책을 모색할 예정


ꊲ 외화증권 투자지원 서비스 발전방안 마련


ㅇ 외화증권 투자규모 확대에 맞추어 외화증권예탁결제규정* 등을 정비하고 외부 연구기관 및 시장참가자 의견 수렴을 거쳐 보다 시장 친화적인 외화증권 투자지원 서비스 발전방안 마련 예정


* 예탁결제원 소관「외화증권 예탁 및 결제에 관한 규정」은 상반기 내 정비할 계획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