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
보도 |
배포 즉시 |
배포 |
2021. 1. 7(목) |
||||
담당부서 |
유가증권시장본부 주식시장부 |
문 의 |
팀장 김주용(02- 3774- 8530) 과장 이희은(02- 3774- 8521) |
제 목 : KOSPI 3000 시대 개막
금일 KOSPI는 3,031.68p로서 사상 최초로 3,000선을 상회(종가기준)하며 “KOSPI 3,000p 시대"를 개막 |
(1) 개요
□ 금일 KOSPI는 3,031p로서 사상 최초로 3,000선을 상회(종가기준)하였으며, 시가총액도 2,087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
ㅇ KOSPI 3,000선 진입은 현행 KOSPI지수를 발표*한 이후 처음이며, 2,000p에 최초 진입('07.7.25)한 이래 13년 5개월만임
* '80.1.4 KOSPI = 100p
< KOSPI 주요 지수대별 최초 진입시기 >
KOSPI 주요지수 |
500p |
1,000p |
1,500p |
2,000p |
2,500p |
3,000p |
최초 진입시기 |
‘87.8.19 |
‘89.3.31 |
‘07.4.9 |
‘07.7.25 |
‘17.10.30 |
‘21.1.7 |
종가지수 |
500.7p |
1,003.3p |
1,501.0p |
2,004.2p |
2,501.9p |
3,031.6p |
(시가총액, 조원) |
21 |
70 |
738 |
996 |
1,626 |
2,087 |
ㅇ 또한, KOSPI 시가총액도 사상최초로 2,000조원을 상회*하였으며, 1,000조원을 기록('10.9.13 +1,007조원) 한 이후 10년 4개월만에 달성
* KOSPI 시가총액 2,028조원(‘21.1.4)
- 1 -
(2) 주요 특징
□ 글로벌 증시대비 상대적 강세 지속
ㅇ KOSPI는 코로나 확산으로 ‘20.3월 최저점(1,457p) 이후 G20국가 중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20년 증시 상승률* 1위 기록
* 1위:韓(30.8%) 2위:터키(29.1%) 4위:美(16.3%) 5위:日(16.0%) 6위:인도(15.8%) 7위:中(13.9%)
ㅇ KOSPI는 ’20.11.23일 2년 6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2,602p)를 경신한 후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최근* 상승률(16.5%)은 G20 국가 평균(7.1%)을 큰폭으로 상회
* ‘20.11.23(첫 사상 최고치 경신일) ~ ’21.1.7(韓, 日, 호주를 제외한 국가는 1/6일 기준)
< ‘20.11.23~’21.1.6일 G20 국가 지수 상승률 순위 (단위 :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9위 |
11위 |
12위 |
16위 |
평균 |
국가 |
한국 |
터키 |
러시아 |
브라질 |
인도 |
일본 |
독일 |
미국 |
중국 |
G20 |
상승률 |
16.5 |
14.5 |
14.3 |
12.3 |
9.3 |
7.7 |
5.8 |
4.8 |
4.0 |
7.1 |
□ 글로벌 경기 회복세로 경기 순환주 중심으로 상승폭 확대
ㅇ 美 대선 종료, 브렉시트 타결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축소 및 주요국 백신 접종 시작 등으로 경기 순환주 중심 큰 폭 상승
- 11월 이후, 바이오·언택트 업종에 비해 상대적 약세를 보여온 전기전자· 운수장비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 ‘20.3월 이후 주요 업종 상승률 (단위 : %) >
경기순환주 |
‘20.3~’20.10 |
‘20.11~’21.1 |
바이오/언택트 |
‘20.3~’20.10 |
‘20.11~’21.1 |
전기전자 |
4.1 |
48.4 |
의약품 |
50.6 |
28.9 |
운수장비 |
20.8 |
29.7 |
서비스업 |
30.3 |
11.7 |
ㅇ 반도체, 2차 전지 등의 수출 회복세*에 따른 ‘21년 실적 기대감 등이 제조업 중심국인 우리나라 증시의 상승세를 견인
* 반도체 수출 전년 동월 대비 6개월 연속 증가, 2차 전지 수출 4개월 연속 증가
- D램 가격 상승으로 ‘21년 반도체 슈퍼 사이클 도래 및 친환경 정책 등에 따른 2차 전지, 전기차(EV) 등의 판매량 증가 예상
- 2 -
□ 개인투자자 매수세 지속 및 거래규모 증가
ㅇ 코로나19 이후 개인은 과거 위기와는 달리 증시의 급락 시기뿐만 아니라 회복·상승 과정에도 매수세 지속 추세
- ’08년 금융위기, ’11년 재정위기 등 과거 위기 시 개인은 하락기에 순매수, 저점 이후 회복기에는 순매도하는 행태를 보임
< 과거 위기 시 시기별 개인 순매수 동향(단위 : 십억원) >
위기별 저점 이후 기간 |
하락기(저점 이전) |
회복기(저점 이후) |
금융위기 (’08.5월~’09.9월) |
+4,049 (’08.5월~’08.10.24) |
△2,153 (’08.10.24~’09.9월) |
재정위기 (’11.7월~’12.3월) |
+1,011 (’11.7월~’11.9.26) |
△12,370 (’11.9.26~’12.3월) |
코로나19 위기 (’20.1월~21.1월) |
18,008 (’20.1월~’20.3.19) |
32,037 (’20.3.19~’21.1월) |
- 개인은 연말 순매도하던 과거 행태*와는 달리 12월에도 코스피 시장에서 3.6조원을 순매수하며, 사상최고치 경신 이후 상승세 주도
* 개인은 ’08년~’19년 동안 매년 12월에 12년 연속 순매도(평균 △1.9조원 규모)
ㅇ 코로나19 위기로 개인투자자의 시장참여가 활발해지면서 개인의 거래규모 및 증시 자금이 큰 폭으로 확대
- ’20년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8조원으로 전년대비 5.7조원 증가하였으며, 거래비중은 65.8%로 전년대비 18.3%p 증가
< ’19~’20년 투자자별 일평균 거래대금 및 비중(단위 : 십억원) >
구분 |
19년 |
20년 |
증감(증감률) |
||
개인 |
거래대금 |
2,370 |
8,020 |
+5,650(+238%) |
|
비중 |
47.5% |
65.8% |
+18.3%p |
||
기관 |
거래대금 |
1,150 |
2,060 |
+910(79%) |
|
비중 |
23.1% |
16.9% |
- 6.2%p |
||
외국인* |
거래대금 |
1,420 |
1,980 |
+910(+64%) |
|
비중 |
28.4% |
16.3% |
- 12.1%p |
* 외국인의 보유비중: (‘19년말) 38.2% → (’20년말) 36.5%
- ’20년말 고객예탁금은 65.6조원 규모로 전년대비 38.2조원 증가하였으며, 신용융자도 19조원으로 전년대비 9.9조원 증가
- 3 -
(3) 2007년* 증시상황과 비교
* 사상 최초로 2,000선에 진입
□ ‘07년 및 ’21년은 KOSPI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2,000p 및 3,000p에 진입하였음
ㅇ (투자주체) 개인의 경우 ’07년은 주식형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으로 증시에 활발하게 참여한 반면, ’20~21년도는 직접 투자* 방식으로 참여
* ’21년초 기준 고객예탁금 69.4조원, 주식활동계좌수 3,563만 계좌로 사상 최고치
- 개인 거래비중이 69.0%로 급증하며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 또한 14.7조원으로 증가
- ’07년과 ’21년 모두 개인 매수 vs. 기관·외국인 매도 흐름은 유사하나, 최근(6개월)에는 개인이 압도적인 매수세(+21.6조원) 시현
* (참고) 외국인 보유비중(%) : (’07.7.25) 35.0 → (’20.1.7) 35.7
ㅇ (주도업종) ’07년은 조선‧해운‧철강‧화학 등 전통 제조업종이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반면, ’21년은 IT‧전기차‧배터리‧바이오가 주도
ㅇ (밸류에이션) ‘21년 KOSPI 밸류에이션은 ‘07년과 유사한 수준
- ’07년 대비 최근 코스피 PER(13.9배→14.7배)와 자본화율*(106%→128%)은 모두 약간 증가
*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증시 활성화 척도(100 기준 고평가)
- PBR은 ‘07년 대비 낮은 수준(1.73배→1.19배)을 기록
- 4 -
< 2007년과 2021년의 증시환경 비교 >
2007년(1.2~7.25주1) |
2021년(‘20.6.1~‘21.1.7) |
||
주가지수 |
1,434p → 2,004p |
2,065p → 3,031p |
|
(상승률) |
(+39.7%) |
(+46.8%) |
|
거래 |
일평균 거래대금 |
4.7조원 |
14.7조원 |
개인매매비중 |
52.6% |
69.0% |
|
주체별 순매수 |
기관 |
△3.6조원 |
△20.2조원 |
외인 |
△3.1조원 |
△1.4조원 |
|
개인 |
+1.8조원 |
+21.6조원 |
|
주도업종 |
운수창고,증권,철강,화학 |
전기전자,운수장비, 화학,기계,의약품 |
|
수급 |
국내주2 (주식형펀드) |
+2.7조원 순유입 (40.0조원 → 42.7조원) |
+0.7조원 순유입 (56.5조원 → 57.2조원) |
해외주3 |
선진증시 순유출(△4억$) |
선진증시 순유입(+47억$) |
|
증시 지표주4 |
PER |
13.9배 |
14.7배 |
PBR |
1.73배 |
1.19배 |
|
시가총액/GDP |
106.0% |
127.7% |
|
가계금융자산 중 주식비중주6 |
24.8% |
15.1% |
|
기업 지표주5 |
ROE |
12.4% |
3.7% |
배당성향 |
21.4% |
36.8% |
|
배당수익률 |
1.5% |
1.0% |
|
금융 지표 |
기준금리 |
4.50% → 4.75% |
0.75% → 0.5% |
환율(평균) |
932원/$ |
1,159원/$ |
|
달러인덱스 |
83.2p → 80.7p |
97.8p → 89.4p |
|
원유(평균) |
$63.1 |
$41.5 |
주1) 2,000p 달성한 시점(7.25일)으로부터 이전 6개월(상승장)
주2) 국내 주식형펀드 설정원본
주3) 해당기간 글로벌 주식형 순유출입 자금 합계(자료: EPFR)
주4) 구간별 KOSPI 최고가 및 12개월 Forward 기준(Bloomberg)
주5) 출처 Bloomberg
주6) 한국은행 금융자산부채잔액표, 가계 및 비영리단체 자산 합계 중 주식 비중
- 5 -
(4) 시사점
□ 최근 주식시장 과열 논란에도 불구하고 KOSPI가 사상 최초로 3,000선을 돌파하였다는 것은,
ㅇ 글로벌 경기 회복에 기반한 수출증가와 국내기업의 실적개선 등 우리증시의 펀더멘털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반영된 결과
* ‘21년 실적 예상치(FnGuide 기준) : 영업이익 178.7조원(전년비 +40.6%)
□ 다만, 글로벌 증시 전반의 역사적 고평가 수준 도달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조정 가능성 등은 리스크 요인이며,
ㅇ 백신 보급 지연 및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 등에 따른 경제 회복세 둔화 가능성도 상존
- 6 -
(붙임 1)
< KOSPI 주요 지수대별 진입 시기의 시가총액 상위 종목(단위 : 조원) >
시가총액 |
‘07.7.25(2,000p 진입) |
‘20.1.7(3,000p 진입) |
||
종목 |
시총 |
종목 |
시총 |
|
1위 |
삼성전자 |
95 |
삼성전자 |
495 |
2위 |
POSCO |
49 |
SK하이닉스 |
98 |
3위 |
한국전력 |
31 |
LG화학 |
68 |
4위 |
국민은행 |
29 |
삼성바이오 |
54 |
5위 |
현대중공업 |
29 |
셀트리온 |
48 |
6위 |
신한지주 |
25 |
삼성SDI |
48 |
7위 |
우리금융 |
20 |
NAVER |
48 |
8위 |
현대차 |
18 |
현대차 |
44 |
9위 |
하이닉스 |
18 |
카카오 |
36 |
10위 |
SK텔레콤 |
17 |
현대모비스 |
29 |
주) 우선주 제외
- 7 -
(붙임 2)
< G20 지수 최고치 기록 현황 (단위 : p, %) >
국가 |
現지수 |
사상최고 |
최고치 대비 비율 |
|
지수 |
일자 |
|||
한국 |
3,031.68 |
3,031.68 |
2021- 01- 07 |
100.00 |
터키 |
1,505.42 |
1,505.42 |
2021- 01- 06 |
100.00 |
독일 |
13,891.97 |
13,891.97 |
2021- 01- 06 |
100.00 |
남아공 |
61,857.42 |
61,857.42 |
2020- 01- 06 |
100.00 |
인도 |
48,265.59 |
48,437.78 |
2021- 01- 05 |
99.64 |
브라질 |
118,854.70 |
119,527.60 |
2020- 01- 23 |
99.44 |
미국 |
30,223.89 |
30,606.48 |
2020- 12- 31 |
98.75 |
캐나다 |
17,527.77 |
17,944.06 |
2020- 02- 20 |
97.68 |
호주 |
6,941.80 |
7,255.17 |
2020- 02- 20 |
95.68 |
인니 |
6,123.05 |
6,689.29 |
2018- 02- 19 |
91.54 |
아르헨티나 |
50,730.86 |
55,427.27 |
2020- 11- 27 |
91.53 |
멕시코 |
44,703.00 |
51,713.38 |
2017- 07- 25 |
86.44 |
영국 |
6,571.88 |
7,877.45 |
2018- 05- 22 |
83.43 |
프랑스 |
5,588.96 |
6,856.76 |
2000- 09- 05 |
81.51 |
일본 |
27,113.51 |
38,915.87 |
1989- 12- 29 |
69.67 |
EU |
3564.39 |
5,464.43 |
2000- 03- 06 |
65.23 |
중국 |
3,501.20 |
6,092.06 |
2007- 10- 16 |
57.47 |
러시아 |
1,424.84 |
2,487.92 |
2008- 05- 19 |
57.27 |
이탈리아 |
22,315.87 |
50,109.00 |
2000- 03- 06 |
44.53 |
사우디 |
8,667.66 |
20,624.84 |
2006- 02- 24 |
42.03 |
주) 한국 제외 기타국은 1/6 기준
- 8 -
(붙임 3)
< 업종별 상승률(단위 : %) >
구분 |
‘20.3~’21.1 |
||
‘20.3~8 |
‘20.9~’21.1 |
||
의 약 품 |
97.3 |
75.5 |
11.4 |
화 학 |
76.5 |
35.2 |
29.1 |
비 금 속 |
71.3 |
31.3 |
29.8 |
기 계 |
64.7 |
35.3 |
21.2 |
운수장비 |
59.9 |
20.2 |
29.2 |
전기전자 |
56.1 |
0.1 |
55.0 |
운수창고 |
52.8 |
10.5 |
37.1 |
의료정밀 |
46.4 |
11.3 |
28.8 |
서비스업 |
46.2 |
46.6 |
- 0.5 |
건 설 업 |
45.4 |
9.8 |
27.6 |
철강금속 |
43.0 |
1.3 |
39.5 |
증 권 |
41.3 |
15.7 |
19.8 |
금 융 업 |
27.9 |
4.0 |
20.9 |
음 식 료 |
27.6 |
31.8 |
- 2.8 |
전기가스 |
26.5 |
- 2.7 |
26.1 |
유 통 업 |
26.1 |
0.7 |
22.9 |
종이목재 |
23.6 |
- 2.3 |
26.4 |
보 험 업 |
20.6 |
0.3 |
15.4 |
통 신 업 |
17.6 |
10.0 |
8.5 |
섬유의복 |
11.9 |
8.7 |
3.1 |
은 행 |
- 5.8 |
- 14.1 |
8.6 |
- 9 -
(붙임 4)
< 외국인 순매수 상위업종(단위 : 억원, %) >
전체 |
||||||||
20.3월~8월 |
20.9월~21.1월(현재) |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화 학 |
16,611 |
71.56 |
의 약 품 |
6,796 |
74.6 |
화 학 |
40,375 |
30.58 |
의 약 품 |
9,604 |
96.22 |
음 식 료 |
2,868 |
27.7 |
서비스업 |
7,944 |
- 0.26 |
음 식 료 |
2,052 |
23.59 |
종이목재 |
- 94 |
- 6.5 |
의 약 품 |
2,808 |
12.4 |
기 계 |
515 |
61.54 |
비 금 속 |
- 109 |
28.6 |
증 권 |
1,743 |
22.14 |
운수창고 |
- 1 |
50.24 |
의료정밀 |
- 406 |
8.1 |
기 계 |
1,556 |
21.76 |
종이목재 |
- 127 |
18.26 |
철강금속 |
- 826 |
- 2.4 |
운수창고 |
1,190 |
38.23 |
비 금 속 |
- 189 |
67.65 |
섬유의복 |
- 853 |
4.5 |
의료정밀 |
- 22 |
31.58 |
의료정밀 |
- 427 |
42.21 |
기 계 |
- 1,041 |
32.7 |
종이목재 |
- 33 |
26.43 |
섬유의복 |
- 888 |
7.57 |
운수창고 |
- 1,191 |
8.7 |
섬유의복 |
- 35 |
2.92 |
증 권 |
- 2,010 |
36.32 |
은 행 |
- 1,974 |
- 17.2 |
비 금 속 |
- 80 |
30.39 |
< 외국인 순매수 상위종목(단위 : 억원, %) >
전체 |
||||||||
20.3월~8월 |
20.9월~21.1월(현재) |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LG화학 |
23,725 |
161.4 |
셀트리온 |
7,006 |
74.2 |
LG화학 |
32,960 |
30 |
신풍제약 |
7,710 |
1686.7 |
신풍제약 |
2,529 |
1717.6 |
SK하이닉스 |
21,562 |
79.09 |
셀트리온 |
6,141 |
114.1 |
LG전자 |
2,028 |
34.9 |
삼성SDI |
9,006 |
54.25 |
삼성SDI |
4,282 |
136.6 |
CJ제일제당 |
1,390 |
57.1 |
신풍제약 |
5,181 |
- 3.66 |
두산퓨얼셀 |
4,268 |
744.8 |
오리온 |
1,289 |
44.4 |
NAVER |
4,907 |
- 10.23 |
삼성전기 |
3,482 |
44.4 |
휠라홀딩스 |
1,071 |
- 13.4 |
두산퓨얼셀 |
4,177 |
36.45 |
LG전자 |
3,308 |
148.3 |
아모레퍼시픽 |
996 |
- 0.3 |
SK바이오팜 |
3,579 |
- 3.05 |
SK케미칼 |
3,203 |
570.4 |
LG생활건강 |
979 |
18.2 |
카카오 |
3,292 |
- 1.1 |
CJ제일제당 |
2,968 |
66.0 |
넷마블 |
954 |
86.0 |
삼성전기 |
2,718 |
46.18 |
아모레퍼시픽 |
2,503 |
24.2 |
한진칼 |
883 |
16.8 |
SK케미칼 |
2,675 |
- 2.03 |
- 10 -
< 개인 순매수 상위업종(단위 : 억원, %) >
전체 |
||||||||
20.3월~8월 |
20.9월~21.1월(현재) |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업종 |
순매수 |
상승률 |
전기전자 |
146,746 |
53.69 |
전기전자 |
105,789 |
- 1.4 |
전기전자 |
40,956 |
55.94 |
서비스업 |
70,928 |
43.03 |
서비스업 |
48,182 |
43.4 |
서비스업 |
22,747 |
- 0.26 |
금 융 업 |
56,906 |
23.54 |
금 융 업 |
46,139 |
0.5 |
운수장비 |
16,922 |
33.05 |
운수장비 |
50,925 |
50.93 |
운수장비 |
34,003 |
13.4 |
금 융 업 |
10,767 |
22.96 |
유 통 업 |
16,084 |
22.82 |
화 학 |
26,809 |
31.4 |
음 식 료 |
8,742 |
- 3.19 |
음 식 료 |
10,731 |
23.59 |
유 통 업 |
11,783 |
- 1.9 |
유 통 업 |
4,301 |
25.15 |
전기가스 |
9,908 |
16.21 |
전기가스 |
10,436 |
- 10.6 |
건 설 업 |
3,525 |
32.43 |
건 설 업 |
9,813 |
41.36 |
건 설 업 |
6,287 |
6.7 |
운수창고 |
3,328 |
38.23 |
통 신 업 |
9,099 |
12.75 |
통 신 업 |
6,155 |
5.4 |
보 험 업 |
3,226 |
20.25 |
보 험 업 |
8,824 |
15.43 |
철강금속 |
5,818 |
- 2.4 |
통 신 업 |
2,944 |
6.94 |
< 개인 순매수 상위종목(단위 : 억원, %) >
전체 |
||||||||
20.3월~8월 |
20.9월~21.1월(현재) |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종목 |
순매수 |
상승률 |
삼성전자 |
89,377 |
53.0 |
삼성전자 |
54,003 |
- 3.4 |
삼성전자우 |
39,681 |
56.42 |
삼성전자우 |
55,945 |
63.1 |
SK하이닉스 |
27,037 |
- 19.1 |
삼성전자 |
35,374 |
53.51 |
현대차 |
25,597 |
79.1 |
삼성전자우 |
16,263 |
- 0.1 |
현대차 |
10,548 |
16.71 |
NAVER |
21,449 |
66.4 |
현대차 |
15,049 |
45.9 |
NAVER |
9,185 |
- 10.23 |
카카오 |
14,684 |
134.0 |
카카오 |
13,542 |
128.0 |
KT&G |
5,915 |
- 0.36 |
신한지주 |
9,140 |
4.5 |
NAVER |
12,264 |
77.2 |
셀트리온 |
5,707 |
22.57 |
SK |
8,920 |
54.2 |
SK |
10,988 |
6.7 |
빅히트 |
4,211 |
- 41.85 |
한국전력 |
8,729 |
27.0 |
한국전력 |
9,250 |
- 11.3 |
신한지주 |
3,415 |
13.82 |
SK바이오팜 |
7,989 |
61.7 |
삼성SDI |
7,267 |
46.2 |
대림산업 |
3,358 |
- 4.48 |
KT&G |
7,378 |
- 2.2 |
SK바이오팜 |
7,088 |
28.7 |
현대글로비스 |
2,711 |
37.11 |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