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
보도 |
배포 즉시 |
배포 |
2020. 12. 30(수) |
||||
담당부서 |
유가증권시장본부 주식시장부 코스닥시장본부 코스닥시장부 |
문 의 |
팀장 김주용(02- 3774- 8530) 팀원 정경수(02- 3774- 9131) 팀장 박병용(02- 3774- 9610) 팀원 김태현(02- 3774- 9615) |
제 목 : 2020년 우리증시 주요 특징 및 성과
1. 주요국 대비 빠른 회복세로 사상 최고치 경신
□ 코스피 3월 저점 이후 8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 경신
ㅇ 우리증시는 코로나 확산으로 최저점을 기록(3/19)한 이후 G20 국가 中 가장 빠르게 전년말 수준을 회복(코스피 4번째(118일), 코스닥 1번째(50일))
ㅇ 이전 최고치(2,598p, ’18.1.29)를 2년 6개월 만에 경신한 이후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2,873p로 마감
< G20 국가 지수 추이 및 회복기간(단위 : p, 일) >
G20 국가 |
전년말 |
연저점 |
회복일자 |
회복기간 |
연고점 |
12.30일 |
||
KOSDAQ |
670 |
428 |
3/19 |
5/8 |
50 |
968 |
12/30 |
968 |
아르헨 |
41,671 |
22,087 |
3/18 |
6/2 |
76 |
55,427 |
11/27 |
51,320 |
터키 |
1,144 |
842 |
3/23 |
6/22 |
91 |
1,460 |
12/29 |
1,460 |
중국 |
3,050 |
2,660 |
3/23 |
7/2 |
101 |
3,452 |
12/1 |
3,414 |
KOSPI |
2,198 |
1,458 |
3/19 |
7/15 |
118 |
2,873 |
12/30 |
2,873 |
남아공 |
57,084 |
37,963 |
3/19 |
8/5 |
139 |
60,544 |
12/17 |
59,246 |
미국 |
28,538 |
18,592 |
3/23 |
8/28 |
158 |
30,404 |
12/28 |
30,336 |
독일 |
13,249 |
8,442 |
3/18 |
9/16 |
182 |
13,790 |
12/28 |
13,761 |
사우디 |
8,389 |
5,960 |
3/16 |
10/8 |
206 |
8,747 |
11/30 |
8,747 |
일본 |
23,657 |
16,553 |
3/19 |
10/19 |
214 |
27,568 |
12/29 |
27,444 |
인도 |
41,254 |
25,981 |
3/23 |
11/5 |
227 |
47,613 |
12/29 |
47,613 |
캐나다 |
17,063 |
11,228 |
3/23 |
11/23 |
245 |
17,944 |
2/20 |
17,543 |
호주 |
6,802 |
4,564 |
3/23 |
11/24 |
246 |
7,255 |
2/20 |
6,962 |
멕시코 |
43,541 |
32,964 |
3/23 |
12/2 |
254 |
45,903 |
1/20 |
44,694 |
브라질 |
115,645 |
63,570 |
3/23 |
12/15 |
267 |
119,528 |
1/23 |
119,409 |
프랑스 |
5,978 |
3,755 |
3/18 |
6,111 |
2/19 |
5,612 |
||
EU |
3,745 |
2,386 |
3/18 |
3,865 |
2/19 |
3,581 |
||
인니 |
6,300 |
3,938 |
3/24 |
6,325 |
1/14 |
6,036 |
||
이탈리아 |
23,506 |
14,894 |
3/12 |
25,478 |
2/19 |
22,259 |
||
영국 |
7,542 |
4,994 |
3/23 |
7,675 |
1/17 |
6,603 |
||
러시아 |
1,549 |
832 |
3/18 |
1,647 |
1/20 |
1,398 |
* 회복일자(기간)는 연내 최저점 기록 이후 전년말 지수를 최초로 회복한 일자(기간)이며, 빈칸인 국가는 아직 전년말 지수를 회복하지 못한 국가
- 1 -
ㅇ 한국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타 국가 대비 월등히 적으며, 이에 따른 영향 등으로 빠른 증시 상승세를 보였음
- 한국은 인구 대비 확진자 수가 G20 국가 중 3번째로 적으며, 최저점 이후 증시 상승률은 G20 국가 中 아르헨티나 다음으로 2위를 기록
< G20 국가 코로나19 확진자 및 증시 상승률(단위 : 명, p) >
G20 국가 |
확진자* |
전년말지수 |
’20년 최저점 |
12.30일 |
상승률 |
아르헨 |
34,921 |
41,671 |
22,087 |
51,320 |
132% |
한국 |
1,125 |
2,198 |
1,458 |
2,873 |
97% |
브라질 |
35,123 |
115,645 |
63,570 |
119,409 |
88% |
인도 |
7,397 |
41,254 |
25,981 |
47,613 |
83% |
터키 |
15,808 |
1,144 |
842 |
1,460 |
73% |
러시아 |
21,092 |
1,549 |
832 |
1,398 |
68% |
일본 |
1,741 |
23,657 |
16,553 |
27,444 |
66% |
미국 |
56,880 |
28,538 |
18,592 |
30,336 |
63% |
독일 |
19,715 |
13,249 |
8,442 |
13,761 |
63% |
캐나다 |
14,396 |
17,063 |
11,228 |
17,543 |
56% |
남아공 |
16,935 |
57,084 |
37,963 |
59,246 |
56% |
인니 |
2,608 |
6,300 |
3,938 |
6,036 |
53% |
호주 |
1,110 |
6,802 |
4,564 |
6,962 |
53% |
프랑스 |
38,551 |
5,978 |
3,755 |
5,612 |
49% |
이탈리아 |
33,868 |
23,506 |
14,894 |
22,259 |
49% |
사우디 |
10,404 |
8,389 |
5,960 |
8,747 |
47% |
멕시코 |
10,682 |
43,541 |
32,964 |
44,694 |
36% |
영국 |
33,709 |
7,542 |
4,994 |
6,603 |
32% |
중국 |
66 |
3,050 |
2,660 |
3,414 |
28% |
*각 국가의 인구 100만명 당 확진자 수(12.30일 기준)
- 2 -
2. 사상 최대 거래대금 기록
□ G20 국가 中 거래대금 증가율 3위
ㅇ ‘20년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11.9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G20 국가 中 거래대금 증가율은 터키(+168.2%), 사우디(+145.1%)에 이어 3위(+115.2%)
* ‘20년 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거래대금 증가율) : 10.6조원(+152.7%)
< ‘20년 각국 대표지수 일평균 거래대금 전년대비 증가율(단위 : %) >
한국 (KOSPI) |
중국 (상해종합) |
대만 (가권) |
인도 (SENSEX) |
미국 (S&P500) |
독일 (DAX) |
일본 (니케이) |
+115.2% |
+62.5% |
+68.9% |
+47.3% |
+28.9% |
+9.9% |
+2.0% |
* ‘20.12.29일 기준, 출처(Bloomberg)
3. 개인투자자 시장참여 활발
개인투자자 거래규모 증가
ㅇ 개인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전년 대비 코스피·코스닥 각각 5.7조원, 5.9조원 증가하였으며, 거래비중 증가율은 코스피(+18.3%p)가 코스닥(+3.5%p)을 상회
- (코스피) 개인 일평균 거래대금은 8.0조원으로 증가(+5.7조원)했으며, 거래비중도 66%로 급증(+18.3%p)
< 코스피 시장 일평균 투자주체별 거래대금 및 거래비중(단위: 조원, %) >
구 분 |
'05년 |
'10년 |
'15년 |
'18년 |
'19년 |
'20년 |
|
외국인 |
거래대금 |
0.65 |
1.13 |
1.37 |
1.77 |
1.42 |
1.98 |
비중 |
20.5 |
20.2 |
25.5 |
27.1 |
28.4 |
16.3 |
|
기관 |
거래대금 |
0.48 |
1.22 |
1.02 |
1.36 |
1.15 |
2.06 |
비중 |
15.3 |
21.8 |
19.0 |
20.7 |
23.1 |
16.9 |
|
개인 |
거래대금 |
1.92 |
3.07 |
2.89 |
3.34 |
2.37 |
8.02 |
비중 |
60.9 |
54.6 |
53.9 |
51.0 |
47.5 |
65.8 |
|
기타 |
거래대금 |
0.10 |
0.19 |
0.07 |
0.07 |
0.04 |
0.11 |
비중 |
3.2 |
3.3 |
1.4 |
1.1 |
0.9 |
0.9 |
- 3 -
- (코스닥) 개인 일평균 거래대금은 9.5조원(+5.9조원)으로 증가했으며, 거래비중도 88%로 상승(+3.5%p)
< 코스닥 시장 일평균 투자주체별 거래대금 및 거래비중(단위: 조원, %) >
구 분 |
'05년 |
'10년 |
'15년 |
'18년 |
'19년 |
'20년 |
|
외국인 |
거래대금 |
0.04 |
0.05 |
0.20 |
0.46 |
0.41 |
0.90 |
비중 |
2.2 |
2.6 |
5.6 |
9.3 |
9.5 |
8.3 |
|
기관 |
거래대금 |
0.05 |
0.07 |
0.17 |
0.27 |
0.21 |
0.30 |
비중 |
3.0 |
3.8 |
4.9 |
5.5 |
4.9 |
2.7 |
|
개인 |
거래대금 |
1.68 |
1.78 |
3.12 |
4.15 |
3.65 |
9.54 |
비중 |
93.6 |
92.3 |
88.5 |
84.3 |
84.7 |
88.2 |
|
기타 |
거래대금 |
0.02 |
0.02 |
0.03 |
0.04 |
0.03 |
0.06 |
비중 |
1.1 |
1.1 |
0.9 |
0.7 |
0.7 |
0.6 |
개인 투자행태 변화
ㅇ 코로나19 이후 개인(일명 동학개미)은 저점 이후 주가 상승 과정에서 꾸준한 매수세를 보이며 과거 위기 시와 다른 행태를 보임
< 위기 시 저점 이후 개인 및 외국인 순매수 동향(단위 : 십억원) >
위기별 저점 이후 기간 |
개인 |
외국인 |
금융위기(’08.10.24~’09.9.22) |
△3,148 |
+26,130 |
재정위기(’11.9.26~’12.3.19) |
△12,846 |
+10,392 |
코로나19 위기(’20.3.19~12.30) |
29,726 |
△12,664 |
ㅇ 코로나19 초기 단기 변동성 추구형 상품*에서 언택트 등 산업 패러다임 변화 주도주 중심으로 동학개미의 투자행태 변화
* 레버리지·인버스 ETF·ETN 상품 등 특정 상품으로 쏠림이 심화(4~6월 레버리지·인버스 거래대금 합계: 10.9조원)
-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산업 수혜업종(전기전자, 서비스업, 운수장비(전기차) 등) 중심 순매수, 코스닥 시장에서도 IT 및 제약 등 순매수
< ‘20년 개인투자자 순매수 주요 업종(단위 : %, 십억원) >
시장 |
업종명 |
등락률(1.31~12.30) |
기관 순매수 |
외국인 순매수 |
개인 순매수 |
코스피 |
전기전자 |
44.0 |
- 6,852 |
- 7,527 |
+14,306 |
서비스업 |
34.5 |
- 3,203 |
- 3,059 |
+6,741 |
|
운수장비 |
27.6 |
- 1,141 |
- 4,744 |
+5,267 |
|
코스닥 |
IT |
36.1 |
- 2,776 |
+607 |
+3,529 |
제약 |
83.6 |
- 1,446 |
- 7 |
+2,550 |
|
기타서비스 |
67.9 |
- 1,268 |
+941 |
+1,301 |
- 4 -
주식거래활동계좌 급증
ㅇ 연초(2,936만 계좌) 대비 612만 계좌(+20.7%)가 신규 개설되었으며, 12월말 기준으로 3,548만 계좌를 상회
- (증가시기) 금년도 주식활동계좌수는 증시 급등락기 또는 대형 IPO와 겹칠 때 급증
· (증시 급등락기) 3월 하락기(코로나19 팬데믹 선언), 6월 상승기(경기회복 기대), 8월말~9월초 상승기(美 추가부양책), 11월중~12월 상승기(美 대선 종료, 백신기대, 달러약세) 시기에 급증
· (대형 IPO 시기) 6월(SK 바이오팜), 8월말~9월초(카카오게임즈 및 빅히트)
< ’20년 주식거래활동계좌수(단위: 1계좌, 출처: 금융투자협회) > |
|
(단위 : 백만좌)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활동계좌수 |
29.5 |
29.9 |
30.7 |
31.2 |
31.5 |
32.0 |
32.5 |
33.1 |
33.7 |
34.1 |
34.7 |
35.5 |
- 5 -
4. K- 뉴딜지수 구성 종목 증시상승 견인
□ ‘KRX BBIG K- 뉴딜지수’ 성과
ㅇ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일환으로서 미래성장 산업으로 각광 받고 있는 BBIG(배터리ㆍ바이오ㆍ인터넷ㆍ게임) 산업을 선정해 9월초 K- 뉴딜지수 발표
ㅇ K- 뉴딜정책의 핵심 동력으로 구성된 BBIG 구성종목은 ‘Untact 열풍’의 영향으로 코로나19 이후 증시 상승을 견인
< ‘20년 BBIG 업종 시가총액 변화 (단위 :조원) > |
|
ㅇ 연초 대비 KRX BBIG K- 뉴딜지수 5종 수익률*은 +50% 이상으로 코스피(+32.1%) 대비 우수한 성과를 시현
* BBIG(+82.1%), 2차전지(+109.6%), 바이오(+74.1%), 인터넷(+71.8%), 게임(+54.8%)
< KRX BBIG K- 뉴딜지수 5종 및 코스피(단위: p) > |
|
* 코스피 및 K- 뉴딜지수 5종은 ’20.1.2일 1,000p 기준으로 조정한 수치
- 6 -
5. 미래성장산업 기업 공모 열풍
공모주 청약열풍 및 주가 상승률 최고수준 기록
ㅇ 금년도 SK바이오팜, 빅히트, 카카오게임즈 등 미래성장산업이 청약 열풍을 주도
- IPO 증거금 역대 1~3위를 기록하고, 경쟁률도 1,000대 1(카카오게임즈, 명신산업, 교촌F&B 등)을 초과
< ’20년 청약증거금 상위종목 공모현황 >
상장일 |
시장 |
종목명* |
공모금액 |
증거금 |
일반청약경쟁률 |
공모가대비 주가상승률** |
‘20.09.10 |
코스닥 |
카카오게임즈 |
3,840억원 |
58.6조원 |
1,525 : 1 |
91.7% |
‘20.10.15 |
코스피 |
빅히트 |
9,626억원 |
58.4조원 |
607 : 1 |
18.5% |
‘20.07.02 |
코스피 |
SK바이오팜 |
9,593억원 |
31.0조원 |
323 : 1 |
244.9% |
‘20.12.07 |
코스피 |
명신산업 |
1,022억원 |
14.4조원 |
1,373 : 1 |
602.3% |
* 청약증거금 10조 이상을 기록한 종목 기준
** 상장일부터 ’20.12.30일까지의 주가상승률
ㅇ 또한, 신규상장종목의 공모가 대비 주가 상승률이 최근 10년 中 최고 수준(68.5%)을 기록
< 연도별 공모가 대비 주가상승률 현황 >
구 분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공모기업수* |
100 |
77 |
34 |
42 |
72 |
117 |
81 |
82 |
99 |
105 |
93 |
평균주가등락률(%)** |
8.6 |
13.9 |
12.4 |
22.4 |
29.2 |
16.5 |
8.5 |
34.8 |
8.5 |
7.5 |
68.5 |
* 코스피·코스닥 합산
** 상장일부터 상장일이 속하는 연도의 마지막거래일까지 등락률의 단순평균
- 7 -
- 주가 상승률이 100% 이상인 종목 수는 19종목이며, 그 중 2종목은 500% 이상을 기록
< ’20년 신규상장종목 상위 주가상승률 현황 >
상장일 |
시장 |
종목명 |
공모가 |
12.30일 종가* |
공모가대비 주가상승률** |
20.09.22 |
코스닥 |
박셀바이오 |
15,000 |
167,300 |
1,015.3% |
20.12.07 |
코스피 |
명신산업 |
6,500 |
45,650 |
602.3% |
20.12.21 |
코스닥 |
알체라 |
10,000 |
42,150 |
321.5% |
20.11.25 |
하나기술 |
35,000 |
137,800 |
293.7% |
|
20.09.14 |
이오플로우 |
19,000 |
72,700 |
282.6% |
|
20.12.23 |
석경에이티 |
10,000 |
38,000 |
280.0% |
|
20.12.03 |
포인트모바일 |
15,000 |
53,400 |
256.0% |
|
20.07.02 |
코스피 |
SK바이오팜 |
49,000 |
169,000 |
244.9% |
20.06.17 |
코스닥 |
에스씨엠생명과학 |
17,000 |
49,350 |
190.3% |
20.11.18 |
고바이오랩 |
15,000 |
43,350 |
189.0% |
|
20.12.22 |
프리시젼바이오 |
12,500 |
34,250 |
174.0% |
|
20.12.11 |
인바이오 |
5,800 |
15,650 |
169.8% |
|
20.10.19 |
피플바이오 |
20,000 |
53,000 |
165.0% |
|
20.03.06 |
서울바이오시스 |
7,500 |
19,250 |
156.7% |
|
20.08.10 |
한국파마 |
9,000 |
22,200 |
146.7% |
|
20.07.30 |
이엔드디 |
14,400 |
35,200 |
144.4% |
|
20.10.08 |
넥스틴 |
75,400 |
169,200 |
124.4% |
|
20.12.10 |
엔젠바이오 |
14,000 |
31,100 |
122.1% |
|
20.06.22 |
엘이티 |
7,800 |
15,650 |
100.6% |
* 수정주가 기준 / ** 상장일부터 ’20.12.30일까지의 주가상승률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100사 상회
ㅇ ‘05년 기술특례상장 제도 도입 이후 기술특례기업 상장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15년 만에 기술특례상장기업수 100사 상회
< 기술특례상장 제도 개요(‘05.3월 도입) > ◇ 현재 영업실적은 미미하지만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들의 상장이 가능한 제도 ◇ ‘05년 3월 기술력을 지닌 바이오 기업 상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도입 후 ’13년 모든 산업분야로 확대 |
ㅇ 특히 기술특례 상장 대상이 非바이오 분야인 AI, IT솔루션, 로봇 등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되는 추세
< 연도별 기술특례기업 신규상장 현황(단위 : 사) >
구 분 |
‘05~15 |
‘16 |
‘17 |
‘18 |
‘19 |
‘20 |
합계 |
바이오 |
24 |
9 |
5 |
15 |
14 |
17 |
84 |
바이오 外 |
3 |
1 |
2 |
6 |
8 |
8 |
28 |
합계 |
27 |
10 |
7 |
21 |
22 |
25 |
112 |
누계 |
27 |
37 |
44 |
65 |
87 |
112 |
- |
- 8 -
6. ’21년 국내 증권시장 업계 전망
□ 국내 증권사
ㅇ (삼성증권) ‘21년 KOSPI는 수출/실적 펀더멘탈의 급격한 정상화, 우호적인 글로벌 정책 환경 등으로 역사적인 신고가 돌파에 나서는 대세 상승장의 시작점이 될 전망
ㅇ (KB증권) ‘21년 KOSPI는 바이든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순이익 증가(+52% 예상) 등으로 경기와 실적이 동시에 빠르게 정상화되면서 3,200p에 도달할 전망
ㅇ (대신증권) ’21년 KOSPI는 글로벌 교역과 경기 회복, 원화 강세 압력 및 수출 모멘텀 강화 등으로 기업이익이 상향 조정되며 3,000p시대로 진입할 전망
□ 외국계 증권사
ㅇ (골드만 삭스) 글로벌 경제 회복기 진입 및 국내기업 펀더멘털의 긍정적 평가 등으로 한국증시의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
ㅇ (JP Morgan) ‘21년도 한국 기업이익은 큰폭으로 증가하고 주주친화 정책으로 저평가를 극복할 것,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시중자금은 주식으로 유입될 것이며 코스피는 3,200p에 도달 할 전망
ㅇ (Standard Chartered Bank) ‘21년 글로벌 경제가 회복기에 진입 하면서 위험자산의 강세가 예상되며 특히 수출 정상화로 한국, 대만 등 아시아 통화와 주식이 상대적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