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래성장 동력 확보 • 비즈니스 혁신역량 강화 • 신뢰받는 고객감동경영 실천 • 일자리 창출 및 상생 · 협력 강화 |
보도일시 |
동 자료는 배포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 |
배 포 일 |
2020. 12 30. (수) |
|
작성부서 |
증권정보부 정보기획팀 |
총 3쪽(붙임 없음) |
||
책 임 자 |
김명진 부장 (051- 519- 1780) |
담 당 자 |
홍석영 팀장 (051- 519- 1785) |
|
사 진 |
사진있음 □ 사진없음 ■ |
배포부서 |
홍보부 (02- 3774- 3060) |
한국예탁결제원, 「유동화증권 통합정보시스템」 오픈 - 금융위 ‘자산유동화제도 종합 개선방안(’20.5)’의 후속조치 - |
□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명호)은「유동화증권 통합정보시스템」구축을 완료하고, 내년 1월 4일부터 증권정보포털(SEIBro)을 통해 정식 서비스를 제공
ㅇ 투자자 등은 유동화증권의 유동화계획, 발행정보 뿐만 아니라 매매, 신용평가 정보를 One- stop으로 쉽게 조회, 검색할 수 있음
※ 유동화증권의 정의 및 종류별 발행현황은 p.3 참고
□ 일반 채권, 어음 등에 비해 발행구조가 복잡한 유동화증권의 정보는 여러 곳에 산재해 있었고, 각각의 매체별로 정보수준, 품질 등 편차가 심하여 투자자 정보접근성이 떨어지는 한계에 직면
<표> 유동화증권 관련 정보매체 현황
기 관 명 |
제공 정보 |
제공 채널 |
금융감독원 |
공시정보(등록유동화증권) |
전자공시(DART) |
예탁결제원 |
발행정보(등록·비등록유동화증권) |
증권정보포털(SEIBro) |
금융투자협회 |
매매금리 등 유통정보 |
Check 단말기 등 |
신용평가사 |
신용평가정보 |
신평사 홈페이지 |
ㅇ 특히, 비등록유동화의 경우 별도 공시체계가 없이 임의적 정보제공에 의존하여 증권의 기초 정보조차 공개가 미흡
※ (사례) 금융당국은 코로나19사태로 기업의 자금조달 경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대출채권‧매출채권‧회사채 ABCP(20조원, 전체 ABCP의 10%)의 신용평가서를 전수조사하여 원만기를 확인 : 약 1달기간 소요 |
- 1 -
□ 이러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위원회는 ‘자산유동화제도 종합 개선방안’을 수립(’20.5)한 바 있으며, 정보제공 강화를 위해 예탁결제원이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추진
ㅇ 예탁결제원은 정보수집 및 정보공표 시스템의 연내 구축을 완료하고, 발행인(업무수탁자 등), 금융투자협회, 신용평가사가 관련 정보를 예탁결제원에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함
<그림> 유동화증권 통합정보시스템 서비스 개요 |
|
□ 일반투자자 등은 ‘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www.seibro.or.kr)’를 통해 유동화증권 관련 정보 및 통계를 확인할 수 있음
ㅇ 제공정보는 유동화증권 시장현황(총괄), 유동화증권 종목(검색, 상세내역), 자산유동화계획(검색, 상세내역), 기초자산(대분류)별 증권 발행내역, 신용보강기관별 신용보강 제공현황, 유동화증권 유통(거래) 정보 등 16개 화면으로 구성
□ 예탁결제원 이명호 사장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전체(등록·비등록) 자산유동화증권에 대한 공시기능이 강화되어, 시장위험의 체계적 파악 및 대비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함
- 2 -
ㅇ 예탁결제원은 향후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규의 개정에 맞추어 추가 전산개발 등을 통해 금융당국의 시장 모니터링을 지원하고, 정보비대칭성 해소를 통한 투자자 보호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음
<참고 1> 유동화증권의 정의
※ (유동화증권) 유동화계획에 따라 유동성이 낮지만 재산적 가치가 있는 대출채권, 매출채권, 정기예금 등의 자산을 유동화전문회사등(SPC, 신탁업자)에 양도하고, 이를 기초로 발행하는 사채, 수익증권, 기업어음 등의 증권 -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유동화전문회사등이 발행하는 등록유동화증권(ABS·MBS 등)과 상법 등에 따른 특수목적기구가 자산유동화에 준하여 발행하는 비등록유동화증권(ABCP·AB단기사채·AB사채 등)으로 구분 |
<참고 2> 유동화증권 종류별 발행현황 등(’19년도)
구 분 |
발행금액 |
종목수 |
건당 발행금액 (억원) |
유동화계획(신규건수) |
||||
금액(조원) |
종목(개) |
|||||||
비중 |
||||||||
비중 |
||||||||
연간 |
일평균 |
|||||||
등록 |
ABS(채권) |
15.4 |
3.5% |
968 |
2.1% |
159.1 |
153 |
0.6 |
MBS(수익증권) |
27.4 |
6.1% |
204 |
0.4% |
1,343.1 |
|||
소계 |
42.8 |
9.6% |
1,172 |
2.5% |
365.2 |
|||
비등록 |
ABCP(기업어음) |
197.7 |
44.4% |
37,260 |
80.2% |
53.1 |
3,726 |
15.0 |
ABSTB(단기사채) |
185.3 |
41.6% |
6,720 |
14.5% |
275.7 |
|||
AB사채(채권) |
19.9 |
4.4% |
1,290 |
2.8% |
154.3 |
|||
소계 |
402.9 |
90.4% |
45,270 |
97.5% |
89.0 |
|||
합계 |
445.7 |
100.0% |
46,442 |
100.0% |
96.0 |
3,879 |
15.6 |
* 발행금액 작성 기준 : 예탁결제원 관리 전자증권 및 예탁증권 형태의 유동화증권의 종목별 합산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