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보도 |
배포 즉시 |
배포 |
2020. 11. 11(수) |
||||
담당부서 |
유가증권시장본부 주식시장부 |
김주용 팀장(3774- 8530), 이지훈 팀원(3774- 9132) |
제 목 : 코스피·코스닥 시가총액 합계 사상 최고치 달성
□ 금일 코스피·코스닥시장 시가총액 합계가 사상 최고치인 2,032조원 달성 ㅇ 코스피 및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은 각각 1,703조원, 328조원 * 前 시가총액 사상최고치: 2,019조원(18.1.29일) 【 KOSPI 및 KOSDAQ 시가총액 현황 】 (단위 : p, 조원)
※ 각 시장의 시가총액 사상최고치 : 코스피 1,703조원(2,485p, ’20.11.11), 코스닥 347조원(899p, ’20.09.15) 각 시장의 지수 사상최고치 : 코스피 2,598p(’18.1.29), 코스닥 2,834*p(’00.03.10) * ’04.1.26 코스닥 버블 급락에 따른 지수 단위 조정(지수x10배) |
- 1 -
< 주요 배경 >
□ 美 대선 불확실성 해소 및 백신 개발 가시화 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 회복 기대감이 위험자산으로의 자금 유입을 가속화시키며 글로벌 증시 시가총액도 사상 최고치* 연일 경신
* 글로벌 시가총액(10억 달러): 88,352(9.30일) → 91,505(10.20일) → 94,933(11.10일)
ㅇ 바이든 당선 등에 따른 달러약세 심화로 신흥국 통화가치 절상폭 확대*되며 최근 亞 국가 중심으로 대규모 외국인 매수세** 유입
* 11월 亞 국가 중 통화 가치 절상 폭(11.10일 기준): 韓(+1.8%), 中(+1.1%), 대만(+0.3%)
** 11월 亞 국가 외국인 자금 유입(11.9일 기준, 백만달러): 韓(+2,303), 대만(+3,028), 인도(+2,331)
- 특히, 원화가치는 2년來 최고치(11.11일, 1,110원/달러)를 기록하며 11월 이후 대규모 외국인 자금 유입(+3.3조원)에 기여
□ 코스피는 전고점(’18.1.29) 대비 4.3% 하락하였으나 언택트, 바이오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시가총액은 0.6%(+13조원) 증가
* NAVER,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ㅇ 다만, 11월 이후 저평가된 경기 순환주* 위주로 상승
* 운수창고(+19.4%), 금융업(+11.7%), 철강금속(+11.1%)
【 KOSPI 시가총액 상위 종목 추이 】
(단위 : 억원)
순위 |
종목 |
’18.1.29 |
종목 |
’20.11.11 |
||
시가총액 |
비중 |
시가총액 |
비중 |
|||
1 |
삼성전자 |
3,306,212 |
19.6% |
삼성전자 |
3,659,477 |
21.5% |
2 |
SK하이닉스 |
548,185 |
3.3% |
SK하이닉스 |
633,362 |
3.7% |
3 |
POSCO |
341,772 |
2.0% |
삼성바이오로직스 |
503,516 |
3.0% |
4 |
현대차 |
340,327 |
2.0% |
LG화학 |
488,499 |
2.9% |
5 |
LG화학 |
311,665 |
1.9% |
NAVER |
459,938 |
2.7% |
6 |
NAVER |
307,212 |
1.8% |
셀트리온 |
400,256 |
2.4% |
7 |
삼성바이오로직스 |
290,795 |
1.7% |
현대차 |
374,988 |
2.2% |
8 |
KB금융 |
280,971 |
1.7% |
삼성SDI |
352,074 |
2.1% |
9 |
삼성물산 |
269,360 |
1.6% |
카카오 |
313,721 |
1.8% |
10 |
삼성생명 |
261,000 |
1.6% |
LG생활건강 |
245,362 |
1.4% |
※ 글로벌 수치 출처: 블룸버그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