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밝은 미래! 금융투자협회가 함께 합니다」
회원사 서포터 |
정책 파트너 |
투자자 길잡이 |
|||
|
보 도 자 료 |
||||
’20.7.7(화) 배포시부터 보도바랍니다. |
|||||
작성부서 |
시장관리본부 채권부 |
||||
책 임 자 |
김영돈 부장(☏2003- 9120) |
담 당 자 |
이한구 부서원(☏2003- 9123) |
||
배 포 일 |
2020. 7. 7(화) |
배포부서 |
홍보실(☏2003- 9311~3) |
외국인 국내 채권보유 최고치 경신, 회사채 순증 발행 큰폭 증가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7월 7일(화) 「2020년 6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금리) ‘20.6월 국내 채권금리는 3차 추경 추진에 따른 적자 국채 물량 증대와 구축효과 우려, 코로나 19 재확산 우려에 따른 경기 회복 속도 둔화, 반기말 효과 등으로 박스권에서 움직이면서 소폭 상승 하였다. ○ 월초 3차 추경에 따른 국고채 수급 부담, 코로나 19의 2차 유행 가능성과 이에 따른 실물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장단기 금리는 소폭 등락하며 상승 하다가, ○ 중순이후 반기말 유동성 우려, 윈도우 드레싱 수요, Repo 규제 연기 및 전월 수준의 7월 국고채 발행 계획(13.6조원) 발표 등 금리 상승·하락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단·중기 금리는 하락했으나 장기금리는 소폭 추가 상승 하였다. (발행) 6월 채권 발행규모는 국채 발행이 큰 폭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3.5조원 증가(80.2조원 → 83.6조원), 발행잔액은 국채, 회사채, 특수채 등의 순발행이 21.9조원 증가하면서 2,182.8조원을 기록 하였다. ○ 회사채 크레딧 스프레드는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사모 발행 증가와 상환액이 감소하면서 발행은 전월대비 소폭 증가(0.6조원)한 12.0조원 발행되었으나 순증 규모는 큰폭 증가하였다. (수요예측) 6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전년 동월대비로는 소폭 증가하면서 총 62건 4조 4,000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13조 4,870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306.5%이며 전년동월대비 74.2%p 감소하였다. (유통) 6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코로나 19 재확산 우려와 국채 발행 증가 등으로 전월대비 큰 폭 증가(80.2조원)한 516.2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0.5조원 증가한 23.5조원 기록하였다. ○ 채권종류별로 통안증권, 국채, 금융채, 회사채는 전월대비 각각 12.1조원, 5.3조원, 4.6조원, 4.6조원 증가하였다. ○ 투자자별 거래량은 국채 발행 증가에 따른 거래량 증가로 증권사간, 은행, 보험, 자산운용, 기금·공제의 채권 거래는 전월대비 각각 45.1조원, 13.7조원, 7.4조원, 6.6조원, 4.7조원 증가하였다. ○ 외국인은 국가 신용등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국고채 금리, 양호한 국가 재정 건전성과 코로나 선방에 따른 양호한 성장률 전망, 재정거래 유인 등으로 국채는 6.1조원, 통안채 3.0조원, 은행채 1.1조원 등 총 10.2조원으로 순매수 지속하며 보유규모는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였다. * 외국인 국내채권 보유 잔고 : 146조 7,218억원(전월대비 3.7조원 증가), 출처:금융감독원 (CD시장) 6월 중 CD 발행금액은 시중은행의 발행 감소로 전월대비 4,900억원 감소한 총 2조 3,100억원 발행되었다. ○ 6월말 기준 CD금리는 발행 감소 등으로 전월대비 2bp 하락한 0.79% 기록하였다. (QIB시장) 6월 중 QIB채권 신규 등록은 없었으며, 제도도입(’12.7월) 이후 ‘20.6월말까지 총 249개 종목 약 91.1조원의 QIB채권이 등록되었다. ※ <별첨> : 2020년 6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
※ 금융투자협회 보도자료는 홈페이지(www.kofia.or.kr), 페이스북(www.facebook.com/kofia.or), 트위터(twitter.com/kofiahb)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별첨> 2020년 6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1 |
금리 동향 |
□ ‘20.6월 국내 채권금리는 3차 추경 추진에 따른 적자 국채 물량 증대*와 구축효과 우려, 코로나 19 재확산 우려에 따른 경기 회복 속도 둔화, 반기말 효과 등으로 박스권에서 움직이면서 소폭 상승
* ‘20년 국고채 발행 : 약 167.0조원(연간 계획+적자국채), 상반기 발행(94.8조원), 하반기 발행 예정(72.2조원 규모)
○ 월초 3차 추경에 따른 국고채 수급 부담, 코로나 19의 2차 유행 가능성과 이에 따른 실물 경기 우려 등으로 장단기 금리는 소폭 등락하며 상승 시현
○ 중순이후 반기말 유동성 우려, 윈도우 드레싱 수요, Repo 규제 연기 및 전월 수준의 7월 국고채 발행 계획(13.6조원) 발표 등 금리 상승·하락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단·중기 금리는 하락했으나 장기금리는 소폭 추가 상승
[‘20.6월말 국고채 금리]
(단위 : %, bp)
국고채 |
1년 |
3년 |
5년 |
10년 |
20년 |
30년 |
50년 |
금리(%) |
0.716 |
0.842 |
1.111 |
1.373 |
1.577 |
1.601 |
1.601 |
전월말 대비(bp) |
2.4 |
1.6 |
1.4 |
- 0.1 |
7.8 |
7.3 |
7.4 |
국내외 국채금리(10년) 추이(단위 : %) |
월간 만기별 국내 금리 변동(단위 : bp) |
||
|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해외금리는 코스콤 CHECK
- 2 -
2 |
발행시장 동향 |
□ (전체) 6월 채권 발행규모는 국채 발행이 큰폭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3.5조원 증가(80.2조원 → 83.6조원), 발행잔액은 국채, 회사채, 특수채 등의 순발행이 21.9조원 증가하면서 2,182.8조원을 기록
[채권 종류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발 행 |
전월대비 |
순발행액 |
잔액 |
잔액비중 |
|
‘20.5월 |
‘20.6월 |
|||||
국채 |
18,277 |
28,856 |
10,579 |
8,348 |
769,930 |
35.3 |
지방채 |
1,046 |
804 |
- 242 |
411 |
23,483 |
1.1 |
특수채 |
8,023 |
8,226 |
203 |
3,472 |
351,848 |
16.1 |
통안증권 |
13,100 |
14,030 |
930 |
1,670 |
168,870 |
7.7 |
금융채 |
25,145 |
16,283 |
- 8,862 |
1,036 |
504,269 |
23.1 |
회사채 |
11,435 |
11,989 |
554 |
6,437 |
312,821 |
14.3 |
ABS |
3,146 |
3,454 |
308 |
567 |
51,623 |
2.4 |
합계 |
80,172 |
83,642 |
3,470 |
21,941 |
2,182,844 |
100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회사채는 ABS 제외), 매출일 기준
□ (회사채 등급별) 크레딧 스프레드*는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사모 발행 증가와 상환액이 감소하면서 발행은 전월대비 소폭 증가(0.6조원)한 12.0조원 발행되었으나 순증 규모는 큰폭 증가
* 회사채 AA- (3년, bp) : 58(‘19)→101(‘20.3)→121(‘20.4)→133(‘20.5)→140(‘20.6)
회사채 BBB- (3년, bp) : 669(‘19)→722(‘20.3)→745(‘20.4)→763(‘20.5)→770(‘20.6)
○ 비우량물 발행이 증가되면서 A등급, BBB등급 전월대비 소폭 증가
[신용등급별 회사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회사채 발행액(비중) |
전월대비 |
||||
‘20.5월 |
‘20.6월 |
증감 |
증감율 |
|||
보증사채 |
- |
(0.00) |
- |
- |
- |
- |
AAA |
1,284 |
(11.23) |
2,214 |
(18.47) |
930 |
72.4 |
AA |
5,060 |
(44.25) |
4,187 |
(34.94) |
- 873 |
- 17.3 |
A |
1,340 |
(11.72) |
1,523 |
(12.71) |
183 |
13.7 |
BBB |
210 |
(1.84) |
588 |
(4.91) |
378 |
180.0 |
BB이하 |
156 |
(1.36) |
257 |
(2.14) |
101 |
64.7 |
기타(사모 등) |
3,384 |
(29.60) |
3,220 |
(26.83) |
- 165 |
- 5.0 |
무보증사채계 |
11,435 |
(100.00) |
11,989 |
(100.00) |
554 |
4.8 |
총계 |
11,435 |
(100.00) |
11,989 |
(100.00) |
55 |
4.8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ABS 제외), 괄호는 발행비중 및 전월대비 증가율, 매출일 기준
- 3 -
□ (회사채 수요예측 동향) 6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전년 동월대비로는 소폭 증가하면서 총 62건 4조 4,000억원으로 집계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13조 4,870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306.5%이며 전년동월대비 74.2%p 감소
○ 등급별 참여율은 AA등급 이상 우량물은 333.7%, A등급은 232.1%, BBB등급 이하에서도 2건 178.0%를 기록
[회사채 수요예측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
건수 |
수요예측금액 |
수요예측참여금액 |
참여율(%) |
||||
‘19.6월 |
‘20.6월 |
‘19.6월 |
‘20.6월 |
‘19.6월 |
‘20.6월 |
‘19.6월 |
‘20.6월 |
|
AA등급이상 |
35 |
36 |
32,600 |
32,500 |
116,660 |
108,450 |
357.9% |
333.7% |
A등급 |
14 |
24 |
7,800 |
11,000 |
37,220 |
25,530 |
477.2% |
232.1% |
BBB등급이하 |
1 |
2 |
300 |
500 |
1,060 |
890 |
353.3% |
178.0% |
합계 |
50 |
62 |
40,700 |
44,000 |
154,940 |
134,870 |
380.7% |
306.5% |
출처 : 금융투자협회(K- Bond 수요예측시스템), 금융감독원(DART 참조), 발행예정금액 기준
□ 한편, 6월 수요예측은 A등급 이상에서 2건 미매각 발생하여 미매각율(미매각금액/전체 발행금액*)은 2.7%를 기록
* 전월 수요예측 완료 후 당월 발행금액 포함
[회사채 수요예측 미매각 현황]
(단위 : 억원, %, 건수)
구분 |
발행금액(건수) |
미매각금액(건수) |
미매각율(%) |
|||
‘19.6월 |
‘20.6월 |
‘19.6월 |
‘20.6월 |
‘19.6월 |
‘20.6월 |
|
AA등급이상 |
44,200 |
49,500 |
200 |
800 |
0.5% |
1.6% |
건수 |
39 |
39 |
1 |
2 |
||
A등급 |
12,140 |
13,330 |
- |
890 |
- |
6.7% |
건수 |
15 |
18 |
- |
2 |
||
BBB등급이하 |
530 |
200 |
- |
- |
- |
- |
건수 |
1 |
1 |
- |
- |
||
합계 |
56,870 |
63,030 |
200 |
1,690 |
0.4% |
2.7% |
건수 |
55 |
58 |
1 |
4 |
- 4 -
3 |
유통시장 동향 |
□ (전체) 6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코로나 19 재확산 우려와 국채 발행 증가 등으로 전월대비 큰 폭 증가(80.2조원)한 516.2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0.5조원 증가한 23.5조원 기록
○ 통안증권, 국채, 금융채, 회사채는 전월대비 각각 12.1조원, 5.3조원, 4.6조원, 4.6조원 증가
[채권 종류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6월 |
‘20.5월 |
‘20.6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국채 |
230,958 |
185,392 |
238,519 |
46.2% |
53,127 |
7,561 |
지방채 |
622 |
2,104 |
1,462 |
0.3% |
- 642 |
840 |
특수채 |
15,470 |
26,104 |
29,410 |
5.7% |
3,306 |
13,940 |
통안증권 |
75,793 |
86,381 |
98,444 |
19.1% |
12,063 |
22,651 |
금융채 |
70,102 |
110,755 |
115,363 |
22.3% |
4,608 |
45,261 |
회사채 |
13,155 |
13,563 |
18,129 |
3.5% |
4,566 |
4,974 |
ABS |
8,920 |
11,708 |
14,869 |
2.9% |
3,161 |
5,949 |
합계 |
415,020 |
436,007 |
516,196 |
100.0% |
80,189 |
101,176 |
일평균 |
21,843 |
22,948 |
23,463 |
|
515 |
1,620 |
출처 : 금융투자협회, 매매일 기준(거래량 기준)
□ (투자자별) 국채 발행 증가에 따른 거래량 증가로 증권사간, 은행, 보험, 자산운용, 기금·공제의 채권 거래는 전월대비 각각 45.1조원, 13.7조원, 7.4조원, 6.6조원, 4.7조원 증가
- 5 -
[투자자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6월 |
‘20.5월 |
‘20.6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증권사간 |
238,731 |
224,323 |
269,427 |
52.91% |
45,104 |
30,696 |
은행 |
55,480 |
66,963 |
80,641 |
15.84% |
13,678 |
25,161 |
자산운용 |
52,605 |
69,742 |
76,322 |
14.99% |
6,580 |
23,717 |
보험 |
20,536 |
16,315 |
23,680 |
4.65% |
7,365 |
3,144 |
기금·공제 |
10,856 |
13,759 |
18,481 |
3.63% |
4,722 |
7,625 |
외국인 |
15,590 |
18,375 |
18,105 |
3.56% |
- 270 |
2,515 |
국가·지자체 |
3,192 |
3,768 |
3,278 |
0.64% |
- 490 |
86 |
개인 |
841 |
725 |
660 |
0.13% |
- 65 |
- 181 |
기타법인 |
11,686 |
16,247 |
18,613 |
3.66% |
2,366 |
6,927 |
합계 |
409,517 |
430,217 |
509,207 |
100.0% |
78,990 |
99,690 |
출처 : 금융투자협회(거래량 기준)
□ (외국인 동향) 외국인은 국가 신용등급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양호한 국가 재정 건전성과 코로나 선방에 따른 양호한 성장률 전망, 재정거래 유인 등으로 국채는 6.1조원, 통안채 3.0조원, 은행채 1.1조원 등 총 10.2조원으로 순매수 지속
[외국인 국내 채권 종류별 순매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년 (연간) |
‘20년 (6월까지) |
‘20.5월 |
‘20.6월 |
|
순 매 수 계 |
56,208 |
42,912 |
5,854 |
10,160 |
|
국 채 |
27,057 |
22,884 |
2,612 |
6,090 |
|
통안채 |
27,558 |
16,570 |
2,414 |
3,018 |
|
기 타 |
1,593 |
3,458 |
828 |
1,052 |
출처 : 금융투자협회(매매일 및 거래대금 체결기준)
○ 6월말 기준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 규모는 큰 폭 증가하여 국내 채권보유 잔고는 사상 최고치인 146조 7,218억원*으로, 전월(143조 504억원)대비 3.7조원 증가(순매수 규모는 +6.3조원→+10.1조원으로 감소)
* 보유잔고는 만기상환분 반영금액(출처 : 금융감독원)
- 6 -
4 |
CD시장 동향 |
□ (CD시장) 6월 중 CD 발행금액은 시중은행의 발행 감소로 전월대비 4,900억원 감소한 총 2조 3,100억원*(총 14건) 발행
* 국민은행 8,000억원(4건), 스탠다드차타드은행 6,600(3건), NH농협은행 5,900(1건), 경남은행 600(2건), 중국은행 2,000억원(4건) 등
○ 6월말 기준 CD금리는 발행 감소 등으로 전월대비 2bp 하락한 0.79% 기록
5 |
QIB시장 현황 |
□ (QIB시장) 6월 중 QIB채권 등록*은 없었음
* 국내외 기업들이 발행하는 채권을 국내 적격기관투자자(QIB)간 유통하고자하는 경우 QIB시장 등록을 통해 공모보다 완화된 요건으로 발행가능하고, 해외발행 채권이 국내에 유입되는 경우 전매제한 조치 중 하나로 QIB시장에 등록 함.
○ 제도 도입(’12.7월) 이후, ‘20.6월말까지 총 249개 종목 약 91.1조원의 QIB채권이 등록*
* 현재 QIB 등록채권은 대부분 국내기업의 해외발행 채권(KP물)이여, 국내 판매를 위한 전매제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QIB채권 등록 추이]
(단위 : 십억원, 건수)
구분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6월까지 |
건수 |
25 |
43 |
22 |
23 |
19 |
33 |
41 |
35 |
8 |
금액* |
5,800 |
10,864 |
7,804 |
13,654 |
7,989 |
12,163 |
13,879 |
14,610 |
4,345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 당월 말 환율을 적용한 원화 환산금액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