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보도참고자료 |
|||
보도일시 |
배포시 |
배포일시 |
2020. 6. 24.(수) 14:00 |
|
담당과장 |
혁신성장추진기획단 혁신성장기획팀장 김동곤 (02- 6050- 2515) |
담당자 |
김종현 사무관 (02- 6050- 2513) |
EU, 주요 경쟁국 혁신성과 비교결과 한국이 1위(8년 연속) - EU, 2020 EIS(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평가결과 - |
□ 6.23일 EU 집행위원회는 ‘2020년도 유럽혁신지수(EIS)’ 발표
<참고: 유럽혁신지수(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 동 평가는 EU 회원국(27개국), 인접국*(10개국) 및 글로벌 경쟁국**(한국포함 10개국) 간 혁신성과 비교를 위해 ’01년부터 매년 실시 * 영국, 스위스, 이스라엘,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세르비아, 터키, 우크라이나 등 ** 한국,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중국, 브라질, 인도, 남아공, 러시아 ‣ 평가지표는 혁신여건, 투자, 혁신활동, 파급효과 4개부문 27개지표(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쟁국은 16개 지표만 사용하여 평가) |
□ 우리나라는 ‘19년 종합혁신지수 134점*으로 글로벌 경쟁국(EU평균 포함) 중 8년 연속 1위**를 기록
* ‘19년 EU 회원국의 평균을 100으로 하여 각국의 혁신성과를 비교
** 우리나라에 이어 캐나다(122), 호주(111), 일본(102), 미국(96), 중국(92) 順
ㅇ 평가 대상국 전체* 기준으로는 스위스(165점), 스웨덴(141점), 핀란드(140점)에 이어 4위
* EU 27개 회원국, 인접 10개국, 글로벌 경쟁국 10개국 등 총 47개국
※ 보고서는 ‘12년 EU 평균을 100으로 한 ‘19년 종합혁신지수도 동시에 발표(7년 전 대비 당해 연도 혁신성과 비교목적)
- 동 지수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19년 138점으로 글로벌 경쟁국 중 1위, 평가대상 전체로는 스위스,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네덜란드에 이어 6위
- 1 -
□ 우리나라는 직접 비교가 가능한 16개 평가지표 중 10개 지표에서 EU 평균보다 우수한 것으로 파악
ㅇ ‘특허출원’(502.8), ‘상표출원’(252.7), ‘디자인출원’(228.8) 측면에서 특히 강점을 보였고,
ㅇ ‘高인용 과학논문 비중’(76.5), ‘제품‧공정혁신 중소기업 비중’(76.6), ‘개방형 혁신’(51.3) 등은 다소 뒤쳐진 것으로 나타남
<EU 회원국 평균 대비 한국의 혁신수준>
※ ‘12년 EU 회원국 평균을 100으로 할 때 당해 연도 한국 수준
EU 대비 |
지표 |
’12년 |
’19년 |
차이 (‘19- ’12) |
우위 |
고등교육을 이수한 25- 34세 인구 비중 |
177.5 |
180.2 |
2.7 |
GDP 대비 공공분야 연구개발비 지출 비중 |
107.4 |
115.1 |
7.7 |
|
GDP 대비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 비중 |
216.5 |
219.8 |
3.4 |
|
마케팅 또는 조직 혁신을 한 중소기업 비중 |
49.5 |
106.8 |
57.3 |
|
인구 백만명 당 공공- 민간 공동 논문 |
116.6 |
111.8 |
- 4.8 |
|
GDP 대비 공공- 민간 공동 연구개발 지출 비중 |
98.3 |
122.1 |
23.8 |
|
GDP 10억 유로당 PCT 특허 출원 |
392.4 |
502.8 |
110.4 |
|
GDP 10억 유로당 상표권 출원 |
249.9 |
252.7 |
2.8 |
|
GDP 10억 유로당 디자인권 출원 |
200.1 |
228.8 |
28.7 |
|
중‧고급 기술 제품의 무역수지 기여도 |
128.2 |
117.1 |
- 11.1 |
|
열위 |
25∼34세 인구 천명 당 신규 박사 학위자 |
73.0 |
95.6 |
22.6 |
인구 백만명 당 과학 분야 국내외 공저 논문 |
93.9 |
91.4 |
- 2.6 |
|
전세계 상위 10% 이상 인용된 논문 비중 |
81.1 |
76.5 |
- 4.6 |
|
제품 또는 공정혁신을 한 중소기업 비중 |
51.6 |
76.6 |
25.1 |
|
다른 주체와 협력하는 혁신적 중소기업 비중 |
57.5 |
51.3 |
- 6.3 |
|
전체 서비스수출 중 지식 집약 서비스 수출 비중 |
91.7 |
85.7 |
- 6.0 |
|
종 합 지 수 |
123 |
138 |
15 |
□ EU 집행위는 ‘12년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혁신성과 증가 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되고, EU 평균과의 격차도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우리나라 종합혁신지수(’12년 EU 평균 기준)가 ‘19년 138에서 ’20년 140으로 증가 전망
ㅇ 정부는 열위지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한국판 뉴딜, 포스트코로나 대책, 혁신성장 보완방안 마련 등을 통해 혁신성장 추동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
|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sfpr@korea.kr |
|
- 2 -
참고 1 |
글로별 경쟁국 혁신수준 비교 |
* 자료: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2020
참고 2 |
혁신성과에 따른 국가그룹 분류 |
그룹 |
글로벌 경쟁국 |
EU 회원국 및 EU 인근국가 |
혁신 리더그룹 (Innovation Leaders) |
한국, 캐나다 |
덴마크, 핀란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웨덴, 스위스 |
상위 혁신그룹 (Strong Innovators) |
호주, 일본, 미국, 중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에스토니아, 영국,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포르투갈,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
중위 혁신그룹 (Moderate Innovators) |
브라질 |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키아,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말타,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등 |
하위 혁신그룹 (Modest Innovators) |
러시아, 인도, 남아공 |
불가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 |
* 분류기준
1) 혁신 리더그룹: ‘19년도 성과가 EU 평균의 120% 이상인 국가
2) 상위 혁신그룹: EU 평균의 90%에서 120% 사이인 국가
3) 중위 혁신그룹: EU 평균의 50%에서 90% 사이인 국가
4) 하위 혁신그룹: EU 평균의 50% 이하인 국가
- 3 -
참고 3 |
유럽혁신지수(EIS) 세부지표 체계 |
부문 |
세부지표 |
기준연도 |
1. 혁신여건 (Framework Conditions) |
1.1 인적자원 |
- |
1.1.1 25- 34세 인구 천명 당 신규 박사 학위자 |
2017 |
|
1.1.2 고등교육을 이수한 25- 34세 인구 비중 |
2018 |
|
1.1.3 25- 64세 인구중 평생교육 대상 비중 |
2018 |
|
1.2 연구 시스템 매력도 |
- |
|
1.2.1 인구 백만명 당 국제 과학 분야 공동 논문 |
2019 |
|
1.2.2 국가의 전체 과학 논문 중 전 세계 상위 10% 이상 인용된 과학 논문 비중 |
2017 |
|
1.2.3 전체 박사과정 학생 중 외국 학생 비중 |
2017 |
|
1.3 혁신 친화 환경 |
- |
|
1.3.1 광대역통신망 연결 기업 비중 |
2019 |
|
1.3.2 기회형(Opportunity driven) 창업 비중 |
2018 |
|
2. 투자 (Investments) |
2.1 재정과 지원 |
- |
2.1.1 GDP 대비 공공분야 연구개발비 지출 비중 |
2018 |
|
2.1.2 GDP 대비 벤처 캐피탈 투자 비중 |
2019 |
|
2.2 기업 투자 |
- |
|
2.2.1 GDP 대비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 비중 |
2018 |
|
2.2.2 매출액 대비 비연구개발 혁신 지출 비중 |
2016 |
|
2.2.3 ICT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실시 기업 비중 |
2019 |
|
3. 혁신활동 (Innovation Activities) |
3.1 혁신기업 |
- |
3.1.1 중소기업 중 제품 또는 공정 혁신기업 비중 |
2016 |
|
3.1.2 중소기업 중 마케팅 또는 조직 혁신기업 비중 |
2016 |
|
3.1.3 중소기업 중 내부 혁신 기업 비중 |
2016 |
|
3.2 협력 |
- |
|
3.2.1 중소기업 중 타 기관과 협력하는 혁신적 중소기업 비중 |
2016 |
|
3.2.2 인구 백만명 당 공공- 민간 공동 논문 |
2019 |
|
3.2.3 GDP대비 공공- 민간 공동 연구개발 지출 비중 |
2018 |
|
3.3 지식재산 |
- |
|
3.3.1 GDP 10억 유로당 PCT 특허 출원 |
2017 |
|
3.3.2 GDP 10억 유로당 상표권 출원 |
2018 |
|
3.3.3 GDP 10억 유로당 디자인권 출원 |
2018 |
|
4. 영향 (Impacts) |
4.1 고용영향 |
- |
4.1.1 전체 고용 중 지식집약 활동 분야 고용 비중 |
2018 |
|
4.1.2 전체 고용 중 고성장기업 고용 비중 |
2017 |
|
4.2 판매영향 |
- |
|
4.2.1 중‧고급 기술 제품의 무역수지 기여도 |
2018 |
|
4.2.2 전체 서비스수출 중 지식 집약 서비스 수출 비중 |
2018 |
|
4.2.3 매출액 중 신기술 관련 판매 비중 |
2016 |
* 음영처리된 지표가 글로벌 경쟁국에 적용되는 16개 지표임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