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보도참고자료 |
|||
보도일시 |
배포시 |
배포일시 |
2020. 6. 2(화) 09:00 |
|
담당과장 |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장 이준범 (044- 215- 2770) |
담당자 |
진승우 사무관 (044- 215- 2771) |
제목 : ‘20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 |
◇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0.3% 하락(전월비 △0.2%),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비 0.5% 상승 ◇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 ) 전환된 것은 석유류 가격 하락 등 공급측 요인과 무상교육‧무상급식 확대 등 정책요인에 주로 기인 * 품목별 기여도(%p) : (석유류) △0.82 (고등학교납입금) △0.31 (학교급식비) △0.07 |
□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하락폭 확대 및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0.3% 하락
(%) |
‘19.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0.1 |
2 |
3 |
4 |
5 |
전년동월비 |
0.6 |
0.7 |
0.7 |
0.6 |
0.0 |
△0.4 |
0.0 |
0.2 |
0.7 |
1.5 |
1.1 |
1.0 |
0.1 |
△0.3 |
전월비 |
0.4 |
0.2 |
△0.2 |
△0.3 |
0.2 |
0.4 |
0.2 |
△0.6 |
0.2 |
0.6 |
0.1 |
△0.2 |
△0.6 |
△0.2 |
ㅇ 농축수산물은 봄배추 작황부진 등에 따른 채소 가격 상승, 집밥수요 증가에 따른 돼지고기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폭 확대(전년동월비, (4월)1.8→(5월)3.1%)
* 전년동월비(%): ‘20.4월 → (농산물) △0.8 (축산물) 3.5 (수산물) 8.1
‘20.5월 → (농산물) △0.5 (축산물) 7.2 (수산물) 7.7
* 농산물(전년동월비, %): (’19.3)0.7 (4)0.6 (5)1.2 / (’20.3)0.1 (4)△0.8 (5)△0.5
* 주요품목(전년동월비, ’20.4→‘20.5) : (배추)91.4→102.1 (돼지고기)2.6→12.2
ㅇ 석유류는 유류세 인하(‘18.11~’19.8월)의 기저효과에도 불구,
큰 폭의 유가하락으로 전년동월대비 크게 하락(△6.7→△18.7%)
* 두바이유($/b): (’19.3) 66.9 (4) 70.9 (5) 69.4 / (’20.3) 33.7 (4) 20.4 (5) 30.5
휘발유(원/L): (’19.3) 1,370 (4) 1,424 (5) 1,517 / (’20.3) 1,469 (4) 1,324 (5) 1,255
- 1 -
ㅇ 공공서비스는 대구 고등학교 등록금 감면, 유치원비 지원, 지자체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으로 하락폭 확대(△1.6→△1.9%)
* 등락률(전년동월비, %) : (고등학교납입금) △66.2 → 기여도 △0.31%p
(유치원납입금) △6.4 → 기여도 △0.02%p
ㅇ 개인서비스는 서울, 부산, 대구, 경북 등에서 무상급식이 확대되고 코로나19로 여행‧문화 관련 가격이 하락하며 상승세 둔화(1.0→0.9%)
* 전년동월비(%, ‘20.4→5월) : (학교급식비)△35.8→△63.0 (해외단체여행비)△10.1→△7.7
(호텔숙박료)△6.8→△8.0
품목성질별 물가 동향
품목별 상승률(%) |
전체 |
농축 수산물 |
공업 제품 |
전기수도 가스 |
집세 |
공공 서비스 |
개인 서비스 |
|
|||
석유류 |
외식 |
외식外 |
|||||||||
4월 |
전년동월비 |
0.1 |
1.8 |
△0.7 |
△6.7 |
1.4 |
0.0 |
△1.6 |
1.0 |
0.8 |
1.2 |
5월 |
전년동월비 |
△0.3 |
3.1 |
△2.0 |
△18.7 |
1.3 |
0.1 |
△1.9 |
0.9 |
0.6 |
1.2 |
(기여도,%p) |
△0.32 |
0.24 |
△0.65 |
△0.82 |
0.05 |
0.01 |
△0.27 |
0.30 |
0.07 |
0.23 |
|
전월비(%) |
△0.2 |
0.0 |
△0.5 |
△7.8 |
△0.1 |
0.0 |
△0.2 |
△0.1 |
△0.1 |
0.0 |
|
(기여도,%p) |
△0.23 |
0.00 |
△0.17 |
△0.3 |
△0.00 |
0.00 |
△0.03 |
△0.02 |
0.01 |
0.02 |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오름폭 확대(0.3→0.5%)
*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상승률로 전체 460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관련 품목을 제외한 407개 품목으로 구성
(전년동월비, %) |
‘19.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0.1 |
2 |
3 |
4 |
5 |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 |
0.9 |
0.8 |
0.9 |
1.0 |
0.9 |
0.6 |
0.8 |
0.6 |
0.7 |
0.9 |
0.6 |
0.7 |
0.3 |
0.5 |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 |
0.7 |
0.6 |
0.7 |
0.9 |
0.8 |
0.5 |
0.6 |
0.5 |
0.6 |
0.8 |
0.5 |
0.4 |
0.1 |
0.1 |
□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하락 전환(0.3→△0.7%)
* 전체 460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1개 품목으로 작성
ㅇ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대비 오름폭 확대(2.9→3.4%)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
‘19.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0.1 |
2 |
3 |
4 |
5 |
생활물가지수 |
0.4 |
0.8 |
0.8 |
0.4 |
△0.4 |
△0.9 |
△0.3 |
0.2 |
1.1 |
2.1 |
1.7 |
1.8 |
0.3 |
△0.7 |
신선식품지수 |
△2.7 |
△2.1 |
0.0 |
△1.6 |
△13.9 |
△15.3 |
△7.8 |
△5.3 |
△2.2 |
4.1 |
0.7 |
3.8 |
2.9 |
3.4 |
- 2 -
□ 코로나19에 따른 국제유가 하락으로 휘발유 등 석유류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5월 소비자물가는 마이너스(- ) 상승률 시현
ㅇ 무상교육‧무상급식 확대 기조 하에 지자체의 지방 공공요금 감면 등이 가미되며 소비자물가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
ㅇ 다만, 소비자물가지수 전체 품목(460개) 중 가격하락 품목 수는 전월대비 14개 감소한 126개(전체 품목 중 27.4% 차지)
* 소비자물가지수 전체 품목 중 가격 하락품목 수(비중)
: (‘20.2월)128개(28.4%) (3월)125개(27.2%) (4월)140개(30.4%) (5월)126개(27.4%)
□ 향후 소비자물가는 코로나19 전개 양상, 국제유가 흐름 등에 영향을 받을 전망
ㅇ 최근 국제유가가 다소 회복세를 보이며 휘발유 등 국내 석유류 가격도 상승하는 모습
* 최근 보통휘발유 가격(원/리터) : (5.15)1,247 (5.20)1,249 (5.25)1,255 (5.31)1,270
□ 정부는 소비자물가 흐름 및 물가 상・하방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해 나갈 계획
|
기획재정부 대변인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 moefpr@korea.kr |
|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