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배포 후 즉시 |
배포 |
2020. 4. 28.(화) |
|||
담당부서 |
기업공시국 |
유희준 팀장(3145- 8610), 김갑제 선임(3145- 8615) |
제 목 : 금융소비자도 재무제표 주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장사 재무상태를 보다 심도있게 분석할 수 있게 됩니다.
- 비금융업 주석사항에 대한 재무공시 선진화 추진 -
◈ 전자공시시스템(DART) 이용자에게 보다 유용한 상장사 재무정보를 개방하고 ◦ 미국, 일본 등 국제적 추세*에 부합하는 재무공시 선진화를 위하여 재무제표 주석에 대한 표준化 및 데이터化(XBRL) 착수 * 미국, 일본 등은 재무제표 본문 및 주석을 XBRL로 공시하고 있으며, 유럽은 '22년부터 주석(재무제표 본문은 '20년)을 XBRL로 공시할 계획(붙임 참조) ※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 ⇒ '21년도 결산 사업보고서부터 주석 데이터를 입수‧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DART시스템 개선 등 기술구현은 차년도에 단계적 추진 ◈ 신속‧정확한 재무정보 수집‧분석으로 정보 비대칭성 개선 및 가치투자 활성화 등 금융소비자의 편익이 증대되며, ◦ 자동화된 검증 등을 통해 기업의 규제 대응능력 향상과 최신 기술을 활용한 감독업무의 효율성 및 신속성 제고 등 긍정적 효과 기대
|
- 1 -
Ⅰ |
개 요 |
□ 금융감독원은 DART 이용자에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 재무제표 본문을 분석이 용이한 데이터 형태로 개방*하고 있으나,
* ‘Open DART’에서 비금융업 상장사 주요 재무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http://opendart.fss.or.kr, 오픈API 및 공시정보 활용마당 메뉴)
◦ 재무제표 주석*의 경우 기업별 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작성‧공시되고 있어 이용자가 기업간 비교‧분석 등 자유롭게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 DART홈페이지에 공시된 사업보고서, 감사보고서 등을 통해 열람 가능하며, 재무제표 본문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기업의 회계처리방침 및 주요 계정별 상세 내역 등을 포함
➡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선 외부전문가들과 함께 재무제표 주석에 대한 표준체계와 작성규칙 등 개발(XBRL 설계 단계)을 추진합니다.
※ 주석에 대한 XBRL 작성기 및 DART시스템 개발 등 기술구현은 차년도에 추진
재무공시 선진화(XBRL) 개요
- 2 -
Ⅱ |
단계적 추진 방안 |
1. XBRL 주석표준체계 설계 단계(금년 사업범위)
□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국내기업의 해외 공시 사례* 등을 감안한 주요 주석표준체계를 개발하고, 기업실정에 맞게 확장 가능하도록 작성규칙을 마련합니다.
* 美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국내 비금융업 회사(포스코, 한국전력, KT, SKT, LG디스플레이)의 사업보고서(20- F) 주석사항 등
◦ 산업 리스크 요인, 상장사 주석공시 사례, 회계감리 지적사례 등을 분석하여 업종별 필수 공시항목*을 선정합니다.
* 예시: (유통업) 매출채권, (바이오·제약) 약정사항·시장성 차입현황(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항공업) 리스사항
□ 기업이 재무제표 본문 및 주석 작성시 표준체계를 따르도록 유도하고, 재무데이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가이드라인(자율규제) 및 제도 개선사항 등 데이터 품질 강화방안을 마련합니다.
2. 기술구현 단계(차년도 추진사항)
□ 기업이 주석표준체계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제출할 수 있도록 XBRL작성기를 개발하고,
◦ 접수된 재무제표에서 주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오픈API 등으로 외부에 개방하기 위해 DART시스템을 개선합니다.
□ XBRL 재무데이터를 내‧외부 정보와 결합하고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적용하여 감독업무에 활용하는 SupTech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3 -
Ⅲ |
기대효과 |
1. 투자자 측면
□ 정보의 비대칭성 개선
◦ 일반투자자도 상장사 재무제표·주석을 엑셀 등으로 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되는 등 재무분석 비용이 절감됩니다.
* 예시: 실시간 주가지수를 활용해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을 신속하게 산출
◦ 재무정보 오픈API를 이용한 기업데이터 유통업체가 늘어나고 각종 정보를 활용한 고급 분석도 가능해지면서 가치투자가 활성화되는 등 자본시장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합니다.
(예시1) 미국 상장 금융회사 재무분석 예시 |
||||||||
|
||||||||
◇ 은행별 대손충당금 설정 세부현황 주석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대출채권 건전성 및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필요사항 등을 분석하여 향후 은행 손익에 미칠 영향도 파악 - 은행의 BIS비율과 상세 계정과목 현황 등을 토대로 추가자본 확충 필요성 등을 분석하여 향후 적정 주가를 산출 NYSE 상장 국내 금융회사 대출채권 주석 공시(XBRL) 현황
|
□ 재무제표 주석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재무건전성 평가의 질적 향상
◦ 리스약정, 이연법인세자산, 하이브리드 증권 등 기업의 질적 정보를 대량 수집할 경우 정밀한 신용평가 모형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향후 기업이 부담해야할 사항(리스비용, 소송액, 콜옵션, 등)에 대한 파악이 용이하여 신속한 투자의사 결정이 가능해집니다.
- 4 -
(예시2) 기업 건전성 평가 활용 예시 |
||
|
||
◇ (바이오·제약업) 자금조달로 사용되는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시장성 차입의 발행일·만기일·청구권 내역 등을 주석 데이터로 확인한 후, 조기상환에 따른 유동성 문제 등 재무영향을 자동으로 분석 ◇ (항공업) 저비용항공사(LCC) 등의 연도별 항공기 계약 체결 현황 및 향후 리스료 지급 예상액 등의 고정비용 데이터와 외부요인에 따른 매출감소액 등을 분석하여 잠재 손익을 예측 ◇ (P2P대출·암호자산) 파산 등 문제 발생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핀테크 업체의 XBRL 공시(임의공시 등)를 통해 건전한 업체 선택을 유도 * P2P대출 또는 암호자산 중개액이 자기자본에 비해 과다하여 업체 과실 등으로 투자자 재산에 손해가 발생할 경우 투자금 회수 곤란 |
2. 기업 측면(RegTech)
□ 재무보고 자동 검증 및 주요사항 표준양식 제공 등을 통해 기업의 회계기준 등 규제 대응능력이 향상됩니다.
◦ 표준 데이터에 내장된 연산기능을 통해 재무제표와 주석 간의 내용 불일치 등 오류가 자동 식별되며,
◦ 표준양식에 맞춰 지분구조 변동, 약정사항, 특수관계자 거래 등 주요사항의 누락이 방지될 수 있습니다.
3. 금융감독 측면(SupTech)
□ XBRL 데이터 및 기타 공시정보 등 내·외부 정보를 결합·활용하여 한계기업, 산업리스크 등을 신속하게 식별하고,
◦ 중장기 추세분석, 유사집단 비교분석 등을 통해 분식리스크 高위험군을 선정‧정밀 심사*하는 등 감리 업무 등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유사집단의 매출액 증가율 대비 매출채권 증가율 비교분석을 통한 매출채권 허위 계상 등의 분식회계리스크 적출
- 5 -
□ 또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등을 통한 실시간·자동화된 회계법인의 회계감사는 국내 회계 투명성을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고) 美 SEC의 회계감독 및 공시점검을 위한 SupTech 구축 사례 |
||
|
||
◇ 美 증권거래위원회(SEC)는 XBRL데이터와 경영진단의견서(MD&A), 기타 비재무정보(기업평가 정보, 언론, SNS 등) 등을 수집‧분석하는 SupTech 시스템(CIRA*) 개발 ◦ 대량의 데이터를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기법 등으로 처리하여 분식회계, 부실기업 리스크 식별 등에 활용 * CIRA : Corporate Issuer Risk Assessment |
Ⅳ |
금년도 추진 일정 |
□ 경쟁입찰 및 기술평가 등을 거쳐 사업 수행능력을 갖춘 외부전문업체를 선정하고,
◦ 상장사 및 회계법인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 및 표준데이터화 우선 적용 범위 등을 논의하기 위한 외부기관 참여 T/F를 운영하여, 금년 말까지 표준화된 주석 사항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 사업자 선정관련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국가종합전자조달 시스템(나라장터) 참고
(참고) 비금융업 주석사항에 대한 재무공시 선진화 추진 로드맵
|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6 -
붙임 |
해외 재무정보 공시 표준화(XBRL) 도입 및 운영 현황 |
□ (XBRL 운영현황)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금융업종을 포함한 全 업종에 대한 표준계정과목 체계*를 구축
*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공표한 XBRL 국제표준 계정과목을 기반으로 각국 환경에 맞는 표준을 개발
국가별 「XBRL 운영현황」 비교
구 분 |
미국 |
일본 |
유럽 |
대만 |
규제기관 |
증권거래위원회 (SEC) |
금융청(FSA) |
유럽증권시장감독국(ESMA) |
금융감독위원회(FSC) |
XBRL 도입 시기 |
'09년 |
'08년 |
'20년 |
'10년 |
XBRL 공시 범위 |
재무제표 본문 (자본변동표 제외) |
재무제표 본문 |
재무제표 본문 |
재무제표 본문 (자본변동표 제외) |
주석 일부 |
주석 일부 |
주석 일부 ('22년 시행) |
주석 일부 등 |
|
표준 계정과목 체계 |
통합형 |
통합형 |
통합형 |
업종별 구분 |
업종별 공시 규칙 마련 |
업종별 공시 규칙 마련 |
- (제정중) |
재무제표 및 업종별 구분 |
|
표준 계정과목 체계 확장성 여부 |
O (계정과목 추가 가능) |
O (계정과목 추가 가능) |
O (계정과목 추가 가능) |
X |
금융업종 구분 |
은행, 보험, 증권 (3개) |
은행, 신탁, 생보, 손보 등 (11개) |
- (제정중) |
은행, 증권, 금융지주, 보험 (4개) |
회계 기준 |
US- GAAP, IFRS(외국기업) |
J- GAAP, IFRS |
IFRS |
IFRS |
□ (주석사항) 기업의 질적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주석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주요국 대부분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표준데이터化
* 기업가치평가, 투자의사결정 등에 있어 영업부문별 성과, 보유중인 유가증권과 파생상품, 이연법인세, 리스 약정 등의 주석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
국가별 「주석사항 표준데이터화」 현황 비교
구 분 |
미국 |
일본 |
유럽 |
대만 |
싱가포르 |
규제기관 |
증권거래 |
금융청 (FSA) |
유럽증권시장감독국(ESMA) |
금융감독 위원회(FSC) |
기업회계 감독청(ACRA) |
주석사항 XBRL 적용 여부 |
O |
O |
O('22년) |
O |
O |
필수사항 공시 |
자율 (항목 선택) |
자율 (항목 선택) |
자율 (항목 선택) |
자율 (항목 선택) |
일부 필수 |
선택가능한 주석 항목 개수 |
75개 |
65개 |
(미확정) |
20개 |
49개 (11개 필수) |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