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배포 후 즉시 |
배포 |
2020. 4. 20.(월) |
|||
담당부서 |
기업공시국 |
유희준 팀장(3145- 8610), 이승희 선임(3145- 8612) |
제 목 :「Open DART」에서 공시정보를 마음껏 활용해보세요.
4.20.(월)부터 공시정보 개방 전용「Open DART」서비스 전면 가동 ▪ 23종의 오픈API를 활용하여 맞춤형 기업정보 분석 앱(App) 등 개발 가능 ▪ 누구나 DART 공시정보를 스마트폰과 PC로 쉽게 비교‧분석 가능 ▪ 민간부문의 다양한 서비스 창출 및 공시정보에 기반한 합리적 투자문화 정착에 기여 |
Ⅰ |
개 요 |
□ 금융감독원은 '20.4.20.(월)부터 약 720만건의 DART 공시정보를 외부에 개방하는 「Open DART」 서비스*(opendart.fss.or.kr)를 전면 가동합니다.
* 「Open DART」는 DART홈페이지와 달리 공시서류를 일일이 열람하지 않고도 주요 공시정보를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시정보 개방 전용 서비스임
◦ 민간기업 등이 공시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상장사 재무정보 및 지분현황 등 공시정보 23종을 오픈API*로 제공합니다.
*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누구든지 DART 공시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표준규약으로, 동 규약에 따라 프로그램을 만들면 DART에 방문하지 않고도 공시정보 수집‧활용 가능
◦ 누구나 공시정보를 쉽게 비교‧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인 「공시정보 활용마당」 코너를 스마트폰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개선하였습니다.
- 1 -
Ⅱ |
Open DART 활용예시 |
1. 공시정보 오픈API
□ 오픈API로 개방된 공시정보는 기업 투자정보 분석 및 핀테크 서비스 개발,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이용절차 : Open DART에서 오픈API 인증키 발급 → ‘개발가이드’를 참고하여 프로그램 제작
(<붙임1> ‘공시정보 오픈API 세부내역’, <붙임2> ‘공시정보 오픈API 이용방법’ 참조)
<오픈API 활용예시>
(예시1) ‘단일회사 전체 재무제표’ API를 이용, 특정회사의 최근 5년간 재무비율을 분석 |
(예시2) ‘다중회사 주요계정정보’ API를 이용, 투자정보 분석 제공앱 개발 |
(예시3)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 API를 이용, 전체 상장사 개인별 보수 Top5 집계 |
|
|
|
※ <붙임3> ‘공시정보 오픈API 활용예시’ 참조
<오픈API 제공정보>
구 분 |
제공 정보명 |
제공 건수 |
|
기존 제공 (2종) |
기업개황, 공시목록 |
총 720만건 * ‘20.3월말 기준 |
|
추가 제공 (21종) |
❶ 전체 공시서류(2종) |
공시서류 원본파일, 제출회사 고유번호 |
|
❷ 사업보고서 주요정보(12종) |
증자(감자), 배당, 자기주식, 최대주주, 소액주주, 임직원, 보수, 타법인 출자 현황 등 |
||
❸ 지분공시 종합정보(2종) |
대량보유 및 임원·주요주주 소유주식보유 현황 |
||
❹ 상장사 재무정보(5종) |
상장사 재무제표 및 주요 계정과목 등 |
- 2 -
2. 공시정보 활용마당
□ 동시에 여러 회사의 재무‧비재무 정보 등을 한 화면에서 직접 비교하고 엑셀파일과 텍스트파일로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시정보 활용마당’ 활용예시>
(예시1) ‘재무정보조회–회사간 주요계정 비교’ 화면에서 관심있는 기업을 여러개 선택 후, 주요계정정보를 한눈에 비교 조회 |
|
(예시2) ‘사업보고서 주요정보조회’ 화면에서 전체 회사의 ‘개인별 보수지급금액’을 조회하여 엑셀다운로드 후, 보수총액순으로 정렬‧분석 |
|
※ <별첨> ‘공시정보 활용마당 가이드’ 참조
< 공시정보 활용마당 제공정보 >
메뉴명 |
제공 정보명 |
제공 건수 |
|
사업보고서 주요정보조회 (12종) |
증자현황, 배당, 최대주주, 임원, 직원, 임원 개인별보수, 임원 전체보수, 5억원 이상 상위 5인 보수, 최대주주 변동내역, 소액주주, 자기주식, 타법인 출자현황 |
총 105만건 * ‘20.3월말 기준 |
|
재무정보조회 (4종) |
단일회사 재무제표 조회, 단일회사 주요계정 조회, 회사간 주요계정 비교, XBRL 재무제표 원문 내려받기 |
||
재무정보 일괄 다운로드(1종) |
분기별 전체 상장사 요약 재무정보를 텍스트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
||
지분공시 종합 정보조회(4종) |
(5%보고) 회사별 대표보고자 현황 및 대표보고자 공시내역 (임원·주요주주소유보고) 회사별 보고자 현황 및 보고자 공시내역 |
※ <붙임4> ‘공시정보 활용마당 개선내용’ 참조
- 3 -
Ⅲ |
시범운영 성과 |
□ '20.1월 중순부터 3개월간 시범운영을 실시하여 이용자 의견을 수렴하고 서비스를 보완하였으며,
◦ 시범운영 기간 중 2,500여명의 오픈API 이용자가 총 2,770만건(일평균 36만건)의 공시정보를 수집‧활용하였습니다.
◦ 오픈API 사용실적을 분석한 결과, 공시내역(공시검색 API*, 일평균 26만건)과 재무정보(단일회사 전체 재무제표 API**, 일평균 1.6만건) 항목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 DART에 공시되는 공시문서의 목록을 제출일자, 회사 등의 조건을 지정하여 받아볼 수 있는 API
** 상장회사(금융업 제외)가 제출한 재무제표의 전체 계정과목을 한번에 받아볼 수 있는 API
Ⅳ |
기대 효과 |
□ 공시정보 오픈API를 활용하여 민간부문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결합,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핀테크 활성화에 기여하고
◦ 일반투자자부터 연구·투자분석 기관까지 공시정보를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어 공시정보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문화 정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Ⅴ |
향후 계획 |
□ 앞으로도 Open DART 이용현황 및 데이터 활용 수요 등을 파악하여 공시정보 개방 범위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 기존 DART홈페이지의 오픈API는 '20.4.29.까지만 운영하므로 기존 오픈API 이용자는 기한내 Open DART홈페이지에서 회원정보 이관 동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4 -
붙임1 |
공시정보 오픈API 세부내역 |
오픈API명 |
공시보고서명 |
비 고 |
기업개황 |
- |
기존 제공 (2종) |
공시검색 |
||
공시서류 원본파일 |
신규 추가 (21종) |
|
고유번호 목록 |
||
증자(감자)현황 |
사업보고서 (분·반기보고서) |
|
배당에 관한 사항 |
||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
||
최대주주 현황 |
||
최대주주 변동 현황 |
||
소액주주현황 |
||
임원현황 |
||
직원현황 |
||
이사·감사의 개인별 보수 현황 |
||
이사·감사 전체의 보수 현황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5억이상 상위5인) |
||
타법인 출자현황 |
||
대량보유상황보고 |
주식등의 대량보유 상황보고 |
|
임원·주요주주 소유보고 |
임원·주요주주 특정증권 등 소유상황보고 |
|
단일회사 주요계정정보 |
사업보고서(분·반기보고서) - 재무에 관한 사항 ※ XBRL 재무제표 |
|
다중회사 주요계정정보 |
||
단일회사 전체 재무제표정보 |
||
재무제표 원본파일(XBRL) |
||
K- IFRS XBRL 택사노미 재무제표 양식 |
- 5 -
붙임2 |
공시정보 오픈API 이용방법 |
Open DART 홈페이지 접속
◦ DART 홈페이지의 오른쪽 ‘오픈다트’ 퀵링크를 클릭하거나, http://opendart.fss.or.kr 로 직접 접속
|
오픈API 인증키 신청 메뉴 이동
◦ 상단 메뉴 중 ‘인증키 신청/관리’ - ‘인증키 신청’ 메뉴 클릭
|
- 6 -
오픈API 인증키 신청
◦ 신청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후 등록
- 개인은 즉시, 기업은 사업자등록증 검토 후 인증키 발급
|
오픈API 인증키 확인
◦ ‘인증키 신청/관리’ - ‘오픈API 이용현황’에서 인증키 확인
|
- 7 -
오픈API 개발가이드 확인
◦ ‘개발가이드’ 메뉴에서 이용을 원하는 정보의 개발가이드 확인
|
◦ 사용 URL, 요청인자, 응답결과 등을 상세히 확인 가능
|
공시데이터 수집 프로그램 및 활용 서비스 개발
◦ ‘개발가이드’를 참고하여 원하는 정보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데이터 형식 : XML, JSON)
- 8 -
붙임3 |
공시정보 오픈API 활용예시 |
□ (예시1) ‘단일회사 전체 재무제표’ API를 이용, 특정회사의 최근 5년간 재무비율을 분석
◦ 전체 재무제표 계정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주요재무비율 뿐만 아니라 원하는 지표를 자유롭게 생성하여 분석 가능
|
- 9 -
□ (예시2) ‘다중회사 주요계정정보’ API를 이용, 상장법인 재무제표 주요계정과목을 받아오는 프로그램 작성 및 실행
◦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 개발(예 : 투자정보 제공 앱)
|
- 10 -
□ (예시3)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 API를 이용, 전체 상장사 개인별 보수 Top5 집계
◦ 전체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열람하지 않고 오픈API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집계 가능
|
- 11 -
붙임4 |
공시정보 활용마당 개선내용 |
검색조건 입력창 디자인 개편
◦ 검색조건 입력창 배치를 가독성이 좋아지도록 개선
<「공시정보 활용마당」 개선 전(기존 DART 화면)>
|
- 12 -
<공시정보 활용마당 개선 후 (Open DART 화면) >
|
- 13 -
‘넓게보기’ 기능 추가
◦ 조회결과의 열항목이 많을 경우 한 화면에 들어오지 않아 불편했던 점을 ‘넓게보기’ 기능을 추가하여 개선
<‘넓게보기’ 기능>
|
(오른쪽 상단 ‘넓게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이 확장됨) |
|
- 14 -
모바일용 화면 추가
◦ 모바일에서도 편리하게 공시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도록 모바일용 화면 제공
<모바일용 화면>
|
➡ (모바일 화면 크기에 맞게 디자인 변경) |
|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