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밝은 미래! 금융투자협회가 함께 합니다」
GLOBAL |
TRUST |
PRESTIGE |
|||
|
보 도 자 료 |
||||
’20.4.8(수) 배포시부터 보도바랍니다. |
|||||
작성부서 |
시장관리본부 채권부 |
||||
책 임 자 |
김영돈 부장(☏2003- 9120) |
담 당 자 |
이한구 부서원(☏2003- 9123) |
||
배 포 일 |
2020.4.8(수) |
배포부서 |
홍보실(☏2003- 9311~3) |
경기침체 우려로 금리 변동성 확대되면서 커브 스티프닝,
외국인 국내 채권투자 큰 폭 증가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4월 8일(수) 「2020년 3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금리) ‘20.3월 국내 채권금리는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로 재정정책(추경 11.7조원), 긴급 금리 인하*, 채권시장 안정대책에도 불구 단기금리는 하락하고 장기금리는 상승하는 스티프닝(Steepening) 시현하였다. * 한은 임시 금통위(3/16)에서 기준금리 50bp 인하(1.25%→0.75%) ○ 월초 미 연준의 긴급 금리인하(3/4, 50bp)에도 불구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팬더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 선언(3/12), 국제 유가의 급락 등으로 금리 변동성 확대되면서 상승세를 보이다가, ○ 중순이후 달러 확보 수요가 강해지면서 트리플(원화·주식·채권) 약세가 보였고, 글로벌 정책금리 인하와 채권시장 안정 대책* 등으로 단저장고 현상을 보였다. * 미 연준 추가 금리 인하(3/18, 100bp), 한미 통화스왑 체결(3/19 600억달러), 채권시장안정펀드 재개(20조원), 한은 무제한 RP매입 등 (발행) 3월 채권 발행규모는 금융채, 국채 및 ABS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7.3조원 증가(71.7조원 → 79.0조원), 발행잔액은 국채, 금융채 등의 순발행이 31.4조원 증가하면서 2,100.9조원을 기록하였다. ○ 회사채는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신용경색 심화로 크레딧 스프레드가 가파르게 확대되면서 회사채 발행은 전월대비 큰 폭 감소(△7.3조원)한 5.1조원 발행되었다. (수요예측) 3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크레딧 채권 투자 심리 악화 등으로 발행이 감소하면서 총 10건 1조 2,200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2조 920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187.9%이며 전년동월대비 205.9%p 감소하였다. (유통) 3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금리 변동성 증가 등으로 전월대비 큰 폭 증가(+135.7조원)한 600.8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4.1조원 증가한 27.3조원 기록하였다. ○ 채권종류별로 국채, 금융채 및 통안증권은 전월대비 각각 91.6조원, 30.1조원, 22.3조원 증가, 회사채는 6.5조원 감소하였다. ○ 투자자별 거래량은 금리 변동성 증가에 따른 거래량 증가로 증권사간, 은행, 외국인 및 자산운용의 채권 거래는 전월대비 각각 68.9조원, 20.8조원, 14.5조원, 12.2조원 증가하였다. ○ 외국인은 원화 절하에도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국가신용등급 대비 높은 금리와 재정건전성 등으로 국채는 큰 폭 증가한 4.8조원, 통안채 1.0조원 등 총 6.7조원 순매수하였다. * 외국인 국내채권 보유 잔고 : 133조 3,259억원(+4.4조원), 출처:금융감독원 (CD시장) 3월 중 CD 발행금액은 일부 시중은행의 발행으로 전월대비 4,900억원 증가한 총 7,900억원(총 4건) 발행되었다. ○ 3월말 기준 CD금리는 한은의 임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큰 폭 인하 등으로 전월대비 31bp 하락한 1.10% 기록하였다. (QIB시장) 3월 중 QIB채권 신규 등록은 없었으며, 제도도입(’12.7월) 이후 ‘20.3월말까지 총 246개 종목 약 89.3조원의 QIB채권이 등록되었다. ※ <별첨> : 2020년 3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
※ 금융투자협회 보도자료는 홈페이지(www.kofia.or.kr), 페이스북(www.facebook.com/kofia.or), 트위터(twitter.com/kofiahb)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별첨> 2020년 3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1 |
금리 동향 |
□ ‘20.3월 국내 채권금리는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경기침체로 재정정책(추경 11.7조원), 긴급 금리 인하*, 채권시장 안정대책에도 불구 단기금리는 하락하고 장기금리는 상승하는 스티프닝(Steepening) 시현
* 한은 임시 금통위(3/16)에서 기준금리 50bp 인하(1.25%→0.75%)
○ 월초 미 연준의 긴급 금리인하(3/4, 50bp)에도 불구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팬더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 선언(3/12), 국제 유가의 급락 등으로 금리 변동성 확대되면서 상승세
○ 중순이후 달러 확보 수요가 강해지면서 트리플(원화·주식·채권) 약세가 보였고, 글로벌 정책금리 인하와 채권시장 안정 대책* 등으로 단저장고 현상을 보임
* 미 연준 추가 금리 인하(3/18, 100bp), 한미 통화스왑 체결(3/19 600억달러), 채권시장안정펀드 재개(20조원), 한은 무제한 RP매입 등
[‘20.3월말 국고채 금리]
(단위 : %, bp)
국고채 |
1년 |
3년 |
5년 |
10년 |
20년 |
30년 |
50년 |
금리(%) |
0.989 |
1.070 |
1.296 |
1.551 |
1.671 |
1.669 |
1.670 |
전월말 대비(bp) |
- 12.4 |
- 3.4 |
11.6 |
21.8 |
28.7 |
27.2 |
27.3 |
국내외 국채금리(10년) 추이(단위 : %) |
월간 만기별 국내 금리 변동(단위 : bp) |
||
|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해외금리는 코스콤 CHECK
- 2 -
2 |
발행시장 동향 |
□ (전체) 3월 채권 발행규모는 금융채, 국채 및 ABS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7.3조원 증가(71.7조원 → 79.0조원), 발행잔액은 국채, 금융채 등의 순발행이 31.4조원 증가하면서 2,100.9조원을 기록
[채권 종류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발 행 |
전월대비 |
순발행액 |
잔액 |
잔액비중 |
|
‘20.2월 |
‘20.3월 |
|||||
국채 |
21,717 |
27,072 |
5,355 |
16,708 |
737,526 |
35.1 |
지방채 |
730 |
957 |
227 |
545 |
22,381 |
1.1 |
특수채 |
10,786 |
8,402 |
- 2,384 |
1,110 |
342,948 |
16.3 |
통안증권 |
12,300 |
12,800 |
500 |
1,730 |
165,710 |
7.9 |
금융채 |
12,663 |
22,285 |
9,622 |
9,621 |
483,080 |
23.0 |
회사채 |
12,338 |
5,055 |
- 7,283 |
641 |
299,225 |
14.2 |
ABS |
1,203 |
2,424 |
1,221 |
1,070 |
50,020 |
2.4 |
합계 |
71,737 |
78,995 |
7,258 |
31,425 |
2,100,890 |
100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회사채는 ABS 제외), 매출일 기준
□ (회사채 등급별)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신용경색 심화로 크레딧 스프레드가 가파르게 확대되면서 회사채 발행은 전월대비 큰 폭 감소(△7.3조원)한 5.1조원 기록
○ AA등급의 발행이 큰 폭 감소하였고 AAA, BBB 등급에서도 전월대비 발행 감소
[신용등급별 회사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회사채 발행액(비중) |
전월대비 |
||||
‘20.2월 |
‘20.3월 |
증감 |
증감율 |
|||
보증사채 |
10 |
(0.08) |
- |
- |
- 10 |
- 100.0 |
AAA |
684 |
(5.54) |
133 |
(2.63) |
- 551 |
- 80.6 |
AA |
8,201 |
(66.47) |
1,612 |
(31.90) |
- 6,589 |
- 80.3 |
A |
1,023 |
(8.29) |
1,000 |
(19.79) |
- 23 |
- 2.2 |
BBB |
270 |
(2.19) |
130 |
(2.57) |
- 140 |
- 51.9 |
BB이하 |
- |
- |
4 |
(0.08) |
4 |
- |
기타(사모 등) |
2,124 |
(17.21) |
2,176 |
(43.02) |
52 |
2.4 |
무보증사채계 |
12,328 |
(99.92) |
5,055 |
(100.00) |
- 7,273 |
- 59.0 |
총계 |
12,328 |
(100.00) |
5,055 |
(100.00) |
- 7,283 |
- 59.0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ABS 제외), 괄호는 발행비중 및 전월대비 증가율, 매출일 기준
- 3 -
□ (회사채 수요예측 동향) 3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크레딧 채권 투자 심리 악화 등으로 발행이 감소하면서 총 10건 1조 2,200억원으로 집계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2조 920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187.9%이며 전년동월대비 205.9%p 감소
○ 등급별 참여율은 AA등급 이상 우량물은 201.0%, A등급은 137.5%, BBB등급 이하는 34.0% 기록
[회사채 수요예측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
건수 |
수요예측금액 |
수요예측참여금액 |
참여율(%) |
||||
‘19.3월 |
‘20.3월 |
‘19.3월 |
‘20.3월 |
‘19.3월 |
‘20.3월 |
‘19.3월 |
‘20.3월 |
|
AA등급이상 |
9 |
6 |
13,100 |
10,500 |
50,800 |
21,100 |
387.8% |
201.0% |
A등급 |
6 |
2 |
2,800 |
1,200 |
12,280 |
1,650 |
438.6% |
137.5% |
BBB등급이하 |
5 |
2 |
1,600 |
500 |
5,840 |
170 |
365.0% |
34.0% |
합계 |
20 |
10 |
17,500 |
12,200 |
68,920 |
22,920 |
393.8% |
187.9% |
출처 : 금융투자협회(K- Bond 수요예측시스템), 금융감독원(DART 참조), 발행예정금액 기준
□ 한편, 3월 수요예측은 A등급 이상 2건, BBB등급 이하 2건 미매각 발생하여 미매각율(미매각금액/전체 발행금액*)은 2.0%를 기록
* 전월 수요예측 완료 후 당월 발행금액 포함
[회사채 수요예측 미매각 현황]
(단위 : 억원, %, 건수)
구분 |
발행금액(건수) |
미매각금액(건수) |
미매각율(%) |
|||
‘19.3월 |
‘20.3월 |
‘19.3월 |
‘20.3월 |
‘19.3월 |
‘20.3월 |
|
AA등급이상 |
26,600 |
25,700 |
- |
400 |
- |
1.5% |
건수 |
15 |
15 |
- |
2 |
||
A등급 |
9,700 |
9,400 |
- |
- |
- |
- |
건수 |
11 |
7 |
- |
- |
||
BBB등급이하 |
3,790 |
1,240 |
- |
330 |
- |
26.6% |
건수 |
6 |
3 |
- |
2 |
||
합계 |
40,090 |
36,340 |
- |
730 |
- |
2.0% |
건수 |
32 |
25 |
- |
4 |
- 4 -
3 |
유통시장 동향 |
□ (전체) 3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금리 변동성 증가 등으로 전월대비 큰 폭 증가(+135.7조원)한 600.8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4.1조원 증가한 27.3조원 기록
○ 국채, 금융채 및 통안증권은 전월대비 각각 91.6조원, 30.1조원, 22.3조원 증가, 회사채는 6.5조원 감소
[채권 종류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3월 |
‘20.2월 |
‘20.3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국채 |
214,797 |
214,441 |
306,057 |
50.9% |
91,616 |
91,260 |
지방채 |
950 |
1,249 |
2,099 |
0.3% |
850 |
1,149 |
특수채 |
21,462 |
31,763 |
25,691 |
4.3% |
- 6,072 |
4,229 |
통안증권 |
85,284 |
98,620 |
120,959 |
20.1% |
22,339 |
35,675 |
금융채 |
80,913 |
91,505 |
121,603 |
20.2% |
30,098 |
40,690 |
회사채 |
18,146 |
18,829 |
12,359 |
2.1% |
- 6,470 |
- 5,787 |
ABS |
8,840 |
8,718 |
12,070 |
2.0% |
3,352 |
3,230 |
합계 |
430,392 |
465,125 |
600,838 |
100.0% |
135,713 |
170,446 |
일평균 |
21,520 |
23,256 |
27,311 |
4,055 |
5,791 |
출처 : 금융투자협회, 매매일 기준(거래량 기준)
□ (투자자별) 금리 변동성 증가에 따른 거래량 증가로 증권사간, 은행, 외국인 및 자산운용의 채권 거래는 전월대비 각각 68.9조원, 20.8조원, 14.5조원, 12.2조원 증가
- 5 -
[투자자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3월 |
‘20.2월 |
‘20.3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증권사간 |
243,932 |
253,317 |
322,186 |
54.33% |
68,869 |
78,254 |
은행 |
57,808 |
79,185 |
100,024 |
16.87% |
20,839 |
42,216 |
자산운용 |
54,808 |
59,413 |
71,594 |
12.07% |
12,181 |
16,786 |
보험 |
25,019 |
21,254 |
29,895 |
5.04% |
8,641 |
4,876 |
기금·공제 |
15,384 |
15,097 |
18,807 |
3.17% |
3,710 |
3,423 |
외국인 |
13,140 |
11,733 |
26,277 |
4.43% |
14,544 |
13,137 |
국가·지자체 |
5,371 |
3,110 |
5,478 |
0.92% |
2,368 |
107 |
개인 |
851 |
745 |
624 |
0.11% |
- 121 |
- 227 |
기타법인 |
14,080 |
14,652 |
18,086 |
3.05% |
3,434 |
4,006 |
합계 |
430,393 |
458,506 |
592,971 |
100.0% |
134,465 |
162,578 |
출처 : 금융투자협회(거래량 기준)
□ (외국인 동향) 원화 절하에도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신용등급 대비 높은 금리와 국가 재정건전성 등으로 국채는 큰 폭 증가한 4.8조원, 통안채 1.0조원 등 총 6.7조원 순매수
[외국인 국내 채권 종류별 순매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년 (연간) |
‘20년 (3월까지) |
‘20.2월 |
‘20.3월 |
|
순 매 수 계 |
56,208 |
16,714 |
3,413 |
6,659 |
|
국 채 |
27,057 |
9,115 |
1,949 |
4,787 |
|
통안채 |
27,558 |
6,517 |
1,273 |
1,010 |
|
기 타 |
1,593 |
1,082 |
191 |
862 |
출처 : 금융투자협회(매매일 및 거래대금 체결기준)
○ 3월말 기준 외국인은 국채 장기물 투자가 증가하면서 국내 채권보유 잔고는 133조 3,259억원*으로, 전월(128조 9,168억원)대비 4.4조원 큰 폭 증가(순매수 규모는 +3.5조원→+7.4조원으로 증가)
* 보유잔고는 만기상환분 반영금액(출처 : 금융감독원)
- 6 -
4 |
CD시장 동향 |
□ (CD시장) 3월 중 CD 발행금액은 일부 시중은행의 발행으로 전월대비 4,900억원 증가한 총 7,900억원*(총 4건) 발행
* 국민은행 4,200억원(2건), 스탠다드차타드은행 2,000억원(1건), 부산은행 1,700억원(1건)
○ 3월말 기준 CD금리는 한은의 임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큰 폭 인하(3/16, 50bp 인하) 등으로 전월대비 31bp 하락한 1.10% 기록
5 |
QIB시장 현황 |
□ (QIB시장) 3월 중 QIB채권 신규 등록*은 없었음
* 국내외 기업들이 발행하는 채권을 국내 적격기관투자자(QIB)간 유통하고자하는 경우 QIB시장 등록을 통해 공모보다 완화된 요건으로 발행가능하고, 해외발행 채권이 국내에 유입되는 경우 전매제한 조치 중 하나로 QIB시장에 등록 함.
○ 제도 도입(’12.7월) 이후, ‘20.3월말까지 총 246개 종목 약 89.3조원의 QIB채권이 등록*
* 현재 QIB 등록채권은 대부분 국내기업의 해외발행 채권(KP물)이여, 국내 판매를 위한 전매제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QIB채권 등록 추이]
(단위 : 십억원, 건수)
구분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3월까지 |
건수 |
25 |
43 |
22 |
23 |
19 |
33 |
41 |
35 |
5 |
금액* |
5,800 |
10,864 |
7,804 |
13,654 |
7,989 |
12,163 |
13,879 |
14,610 |
2,517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 당월 말 환율을 적용한 원화 환산금액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