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배포시부터 보도 가능 |
배포 |
2020. 3. 26. (목) |
||
담당부서 |
포용금융실 |
이창운 실장(3145- 8410), 최정환 팀장(3145- 8409) |
제목 : 금감원 코로나19 금융지원상황 점검, 윤석헌 원장 현장 방문
◈ 금감원이 코로나19 관련 은행권의 금융지원상황을 점검한데 이어 윤석헌 원장은 ’20.3.26.(목) KB국민은행 사당동지점의 ‘코로나19 피해지원 전담창구’와 ‘KB소호컨설팅 사당센터’(동 지점 3층)를 찾아 ◦ 코로나19 피해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에 대한 자금지원이 일선 창구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 등을 직접 청취하였음
|
1. 은행권 코로나19 관련 금융지원상황 점검 결과 (☞붙임 참고)
□ 점검 결과 각 은행들은 경영진의 책임⋅지휘 아래 코로나19 피해 관련 비상지원⋅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자영업자 등 지원방안을 수립하여
◦ 금융지원 실적 관리, 피해지원 상품 개발, 지역사회 기여활동 강화, 피해가 집중되는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특별지원대책 시행 등 전반적으로 적극적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3.3일 은행연합회 주최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한 윤석헌 원장은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ㆍ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직접 챙겨줄 것을 당부한 바 있음
< 코로나19 피해 지원ㆍ관리체계 구축 사례(국민은행) > |
||
① 은행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자영업자 등을 위한 금융지원반’과 ‘소외계층 등을 위한 非금융지원반’을 운영 ② 각 지역 주요 거점도시(9곳)에 ‘심사신속지원반’을 설치하고 전담심사역을 배치하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을 모니터링하고 해소하기 위한 ‘현장지원반’을 본점에 설치 ③ 전국 13개 컨설팅센터를 통해 자영업자들의 경영ㆍ금융애로를 상담하고 적합한 자금 지원방안 등을 안내(상담고객에게 국민은행의 특별출연 지신보 보증상품의 한도 등 우대) |
- 1 -
◦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 자영업자 등은 ‘은행권의 지원노력이 피부로 와 닿지 않는다’고 느끼는 것과 관련,
- 창구담당자들은 코로나19 관련 자금수요가 초기에 저금리 정책자금으로만 쏠리면서 은행들의 지원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 은행들의 보증업무 분담, 신속 심사 및 지원ㆍ관리체계 구축에 이어 은행을 통한 이차보전 대출프로그램이 준비 중이므로, 긴급한 자금수요가 안정화되면 고객의 만족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2. 금융감독원장 현장방문 및 금융권 당부사항
□ 윤석헌 원장은 주변에 소규모 상가가 다수 분포한 KB국민은행 사당동지점의 ‘KB소호컨설팅 사당센터’, ‘피해지원 전담창구’를 차례로 방문하여
◦ 현장의 금융지원 상황을 점검하고 애로사항 등을 청취
□ 소상공인ㆍ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지점 직원들을 격려하면서
◦ 향후에도 ①이차보전 대출프로그램의 원활한 정착, ②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의 차질없는 시행, ③연체우려고객에 대한 지원 등을 당부하였음
□ 아울러, 지점 직원들이 주변 자영업자분들의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므로, ‘현장의 판단’에 따라 ‘최대한 신속하게’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 금융감독원도 코로나19 피해 지원에 대해서는 향후 검사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적극적인 면책 조치로 뒷받침하기로 하였음을 강조
<참고> 금융감독원의 코로나19 지원 관련 면책 조치 |
|||
➊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 업무에 대해 고의·중과실이 없는 한 제재하지 않음을 안내(2.18.) ➋ 은행 창구직원들의 구체적 우려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 면책조치 시행(3.13.)
|
- 2 -
붙임 |
은행권 코로나19 금융지원상황 점검 결과 |
1. 비상지원⋅관리체계 구축
□ 대형은행(국민⋅신한⋅하나⋅농협 등)은 총괄위원회(위원장 : 은행장) 중심의 비상지원ㆍ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지원활동*을 이행중
* 신속한 자금지원, 리스크관리, 영업점 업무지원 등
◦ 특히, 신한⋅국민⋅우리⋅하나 등 4대 은행은 신속한 여신심사를 위한 특별전담조직 및 인력을 운영중*
* ① 국민 : 코로나19 피해기업 전담 ‘심사 신속지원반’(지방 주요 거점도시 총 9곳)
② 신한 : 여신그룹 산하 130명 규모의 ‘컴프랜드’(영업점과 협업해 신속 대출심사 지원)
③ 우리 : 대구⋅경북 ‘특별 전담심사반’(긴급자금 요청시 2영업일내 신속 여신심사)
④ 하나 : 개인사업자 및 개인대출 관련 지역 전담 심사역 배치
◦ 이외 대부분의 은행도 임원을 책임자로 하는 비상대책TF 등을 구축⋅운영중임
2. 피해 지원을 위한 상품개발
□ 은행별로 코로나19 지원을 위한 다양한 대출상품을 취급중으로 지방의 부산⋅대구⋅경남은행 등은 자체 재원의 대출상품을 출시
◦ 특히 부산은행은 비상경제회의의 ‘이자상환 유예제도’ 발표(3.19.) 이전에 자체적인 이자유예 프로그램을 기시행(3.6.)
◦ 또한 상당수 은행이 보증기관(지역신보, 신⋅기보)에 특별출연하고 동 재원으로 발급된 보증서를 담보로 한 협약대출도 활발하게 취급
[참고] 코로나19 피해지원 관련 상품 개발 사례 * ① 부산 : 본부승인 새희망홀씨 대출(총 10억원, 3.4일 출시, 최저 3.8% 금리) → 새희망홀씨 불승인 고객 중 무급 휴직자 등을 대상으로 본부승인 대출 ② 대구 : 코로나19 포용금융 특별지원 프로그램 (총 1,000억원, ’20.3월말 출시 예정, 산출금리에서 영업점장 최대 1.5%p 감면) → 제조업을 영위중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업체당 5천만원 지원 ③ 경남 : 코로나 피해 소상공인 긴급지원 특별신용대출(총 100억원, 3.16일 출시, 최저 3.91% 금리) |
- 3 -
3. 대구⋅경북지역 특별지원 실적(정책금융기관의 지원 제외)
□ 2.7.∼3.20. 기간중 시중⋅지방은행의 대구⋅경북지역 지원 실적은 7,077억원이며, 대구(2,222억원), 하나(1,300억원), 신한은행(841억원) 順
대구⋅경북지역 금융지원 현황(’20.2.7.~3.20.)
◦ 비대면거래 수수료의 한시적 인하⋅면제, 만기연장 업무의 비대면처리 등 특별지원도 지속중
4. 지역사회 기여활동(非금융지원)
□ 은행권은 공통적으로 피해기업, 소외계층에 대한 코로나19 예방물품 및 성금 기부, 착한 임대인 운동 동참, 내수활성화 지원* 등을 추진
* 지역상품권 구입, 화훼농가 꽃 사주기 운동, 구내식당 휴무일 운영 등
◦ 이외에도 부산은행은 지역 전통시장 216개에 대한 방역지원을 하고,
- 국민은행은 대구ㆍ경북지역 등 피해지역에 소외아동 대상 공부방 및 지역아동센터 리모델링 지원을 추진중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