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산업의 밝은 미래! 금융투자협회가 함께 합니다」
GLOBAL |
TRUST |
PRESTIGE |
|||
|
보 도 자 료 |
||||
’20.3.9(월) 배포시부터 보도바랍니다. |
|||||
작성부서 |
시장관리본부 채권부 |
||||
책 임 자 |
김영돈 부장(☏2003- 9120) |
담 당 자 |
이한구 부서원(☏2003- 9123) |
||
배 포 일 |
2020.3.9(월) |
배포부서 |
홍보실(☏2003- 9312~4)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금리 큰 폭 하락,
회사채 발행 수요 급증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3월 9일(월) 「2020년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금리) ‘20.2월 국내 채권금리는 코로나19의 예상치 못한 국내 확산*에 따른 감염병 공포가 빠르게 번지면서 글로벌 안전자산인 채권의 선호 심리가 극대화되면서 큰 폭 하락 시현하였다.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수 추이(명) : 11(1.31)→ 28(2.15)→ 3,150(2.29) ○ 월초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조치,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이 제한적으로 진행되면서 금리는 소폭 등락을 보이다가, ○ 중순이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와 통화완화 기대* 등으로 금통위의 금리 동결(1.25%, 2.27)에도 불구 안전자산으로 자금이동이 확대되면서 금리는 큰 폭 하락하였다. * 연준(Fed)의 3월 금리 인하 및 한은(BOK)의 4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치 상승 (발행) 2월 채권 발행규모는 국채, 회사채 및 특수채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14.0조원 증가, 발행잔액은 국채, 회사채, 특수채 등의 순발행이 33.3조원 증가하면서 2,070.0조원을 기록하였다. ○ 회사채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금리하락과 기업들의 선제적 장기 자금수요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큰 폭 증가(+5.5조원)한 12.3조원 발행되었다. (수요예측) 2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금리하락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우량 기업들의 선제적 자금조달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총 73건 6조 5,300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23조 2,925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356.7%이며 전년동월대비 93.7%p 감소하였다. (유통) 2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발행 증가와 금리 하락 등으로 전월대비 17.5조원 증가한 465.0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0.9조원 증가한 23.3조원 기록하였다. ○ 채권종류별로 국채, 특수채 및 회사채는 전월대비 각각 19.0조원, 5.0조원, 3.8조원 증가, 금융채 및 ABS는 9.4조원, 4.0조원 감소하였다. ○ 투자자별 거래량은 금리 급락에 따른 거래 증가로 증권사, 자산운용 및 은행의 채권 거래량은 전월대비 각각 11.3조원, 11.2조원, 8.0조원 증가하였다. ○ 외국인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증가, 원·달러 환율 상승 및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국채 2.0조원 통안채 1.3조원 등 총 3.4조원 순매수하였다. * 외국인 국내채권 보유 잔고 : 128조 9,168억원(+0.5조원), 출처:금융감독원 (CD시장) 2월 중 CD 발행금액은 시중은행의 발행이 전혀 없어 전월대비 2조 2,100억원 감소한 총 3,000억원(총 5건) 발행되었다. ○ 2월말 기준 CD금리는 시중은행의 발행이 없었으나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전월대비 1bp 하락한 1.41% 기록하였다. (QIB시장) 2월 중 QIB채권 등록은 1개 종목, 0.4조원이며, 제도도입(’12.7월) 이후 ‘20.2월말까지 총 246개 종목 약 89.3조원의 QIB채권이 등록되었다. ※ <별첨> : 2020년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
※ 금융투자협회 보도자료는 홈페이지(www.kofia.or.kr), 페이스북(www.facebook.com/kofia.or), 트위터(twitter.com/kofiahb)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1 -
<별첨> 2020년 2월 장외채권시장 동향 세부내용
1 |
금리 동향 |
□ ‘20.2월 국내 채권금리는 코로나19의 예상치 못한 국내 확산*에 따른 감염병 공포가 빠르게 번지면서 글로벌 안전자산인 채권의 선호 심리가 극대화되면서 큰 폭 하락 시현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수 추이(명) : 11(1.31)→ 28(2.15)→ 3,150(2.29)
○ 월초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조치,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이 제한적으로 진행되면서 금리는 소폭 등락을 보임
○ 중순이후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와 통화완화 기대* 등으로 금통위의 금리 동결(1.25%, 2.27)에도 불구 안전자산으로 자금이동이 확대되면서 금리는 큰 폭 하락
* 연준(Fed)의 3월 금리 인하 및 한은(BOK)의 4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치 상승
[‘20.2월말 국고채 금리]
(단위 : %, bp)
국고채 |
1년 |
3년 |
5년 |
10년 |
20년 |
30년 |
50년 |
금리(%) |
1.113 |
1.104 |
1.180 |
1.333 |
1.384 |
1.397 |
1.397 |
전월말 대비(bp) |
- 15.1 |
- 19.9 |
- 20.7 |
- 22.5 |
- 20.4 |
- 18.4 |
- 18.2 |
국내외 국채금리(10년) 추이(단위 : %) |
월간 만기별 국내 금리 변동(단위 : bp) |
||
|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해외금리는 코스콤 CHECK
- 2 -
2 |
발행시장 동향 |
□ (전체) 2월 채권 발행규모는 국채, 회사채 및 특수채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14.0조원 증가(58.3조원 → 72.3조원), 발행잔액은 국채, 회사채, 특수채 등의 순발행이 33.3조원 증가하면서 2,070.0조원을 기록
[채권 종류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발 행 |
전월대비 |
순발행액 |
잔액 |
잔액비중 |
|
‘20.1월 |
‘20.2월 |
|||||
국채 |
13,612 |
22,265 |
8,653 |
21,158 |
721,366 |
34.8 |
지방채 |
459 |
774 |
315 |
488 |
21,880 |
1.1 |
특수채 |
9,318 |
10,810 |
1,492 |
4,860 |
341,861 |
16.5 |
통안증권 |
11,520 |
12,300 |
780 |
590 |
163,980 |
7.9 |
금융채 |
15,367 |
12,663 |
- 2,704 |
434 |
473,459 |
22.9 |
회사채 |
6,805 |
12,316 |
5,511 |
6,230 |
298,508 |
14.4 |
ABS |
1,229 |
1,203 |
- 26 |
- 457 |
48,949 |
2.4 |
합계 |
58,310 |
72,331 |
14,021 |
33,303 |
2,070,003 |
100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회사채는 ABS 제외), 매출일 기준
□ (회사채 등급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금리하락과 기업들의 선제적 장기 자금수요가 증가하면서 회사채 발행은 전월대비 큰 폭 증가(+5.5조원)한 12.3조원 기록
○ AA등급의 발행이 큰 폭 증가하였고 사모채권의 발행과 BBB등급 이하 등급에서도 전월대비 발행 증가
[신용등급별 회사채 발행현황]
(단위 : 십억원, %)
구 분 |
회사채 발행액(비중) |
전월대비 |
||||
‘20.1월 |
‘20.2월 |
증감 |
증감율 |
|||
보증사채 |
- |
(0.00) |
10 |
(0.08) |
10 |
- |
AAA |
1,469 |
(21.59) |
684 |
(5.55) |
- 785 |
- 53.4 |
AA |
2,890 |
(42.47) |
8,201 |
(66.59) |
5,311 |
183.8 |
A |
942 |
(13.84) |
1,023 |
(8.31) |
81 |
8.6 |
BBB |
131 |
(1.93) |
270 |
(2.19) |
139 |
106.1 |
BB이하 |
- |
(0.00) |
25 |
(0.20) |
25 |
- |
기타(사모 등) |
1,373 |
(20.16) |
2,103 |
(17.08) |
730 |
53.3 |
무보증사채계 |
6,805 |
(100.00) |
12,306 |
(99.92) |
5,500 |
80.8 |
총계 |
6,805 |
(100.00) |
12,316 |
(100.00) |
5,510 |
81.0 |
출처 : 코스콤, 금융투자협회(ABS 제외), 괄호는 발행비중 및 전월대비 증가율, 매출일 기준
- 3 -
□ (회사채 수요예측 동향) 2월 회사채 수요예측금액은 금리하락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우량 기업들의 선제적 자금조달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총 73건 6조 5,300억원으로 집계
○ 수요예측 전체 참여금액은 23조 2,925억원으로 참여율(수요예측참여금액/수요예측금액)은 356.7%이며 전년동월대비 93.7%p 감소
○ 등급별 참여율은 AA등급 이상 우량물은 385.3%, A등급은 220.4%, BBB등급 이하는 297.5% 기록
[회사채 수요예측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
건수 |
수요예측금액 |
수요예측참여금액 |
참여율(%) |
||||
‘19.2월 |
‘20.2월 |
‘19.2월 |
‘20.2월 |
‘19.2월 |
‘20.2월 |
‘19.2월 |
‘20.2월 |
|
AA등급이상 |
31 |
57 |
28,300 |
53,600 |
119,370 |
206,525 |
421.8 |
385.3 |
A등급 |
12 |
14 |
8,400 |
10,900 |
45,400 |
24,020 |
540.5 |
220.4 |
BBB등급이하 |
2 |
2 |
700 |
800 |
3,700 |
2,380 |
528.6 |
297.5 |
합계 |
45 |
73 |
37,400 |
65,300 |
168,470 |
232,925 |
450.5 |
356.7 |
출처 : 금융투자협회(K- Bond 수요예측시스템), 금융감독원(DART 참조), 발행예정금액 기준
□ 한편, 2월 수요예측은 A등급 이상 우량물이 2건 미매각 발생하여 미매각율(미매각금액/전체 발행금액*)은 0.6%를 기록
* 전월 수요예측 완료 후 당월 발행금액 포함
[회사채 수요예측 미매각 현황]
(단위 : 억원, %, 건수)
구분 |
발행금액(건수) |
미매각금액(건수) |
미매각율(%) |
|||
‘19.2월 |
‘20.2월 |
‘19.2월 |
‘20.2월 |
‘19.2월 |
‘20.2월 |
|
AA등급이상 |
39,400 |
79,800 |
- |
200 |
- |
0.25 |
건수 |
29 |
52 |
- |
1 |
||
A등급 |
10,400 |
7,470 |
- |
350 |
- |
4.69 |
건수 |
11 |
9 |
- |
1 |
||
BBB등급이하 |
400 |
2,700 |
- |
- |
- |
- |
건수 |
1 |
4 |
- |
- |
||
합계 |
50,200 |
89,970 |
- |
550 |
- |
0.61 |
건수 |
41 |
65 |
- |
2 |
3 |
유통시장 동향 |
- 4 -
□ (전체) 2월 장외 채권거래량은 발행 증가와 금리 하락 등으로 전월대비 17.5조원 증가한 465.0조원, 일평균 거래량은 전월대비 0.9조원 증가한 23.3조원 기록
○ 국채, 특수채 및 회사채는 전월대비 각각 19.0조원, 5.0조원, 3.8조원 증가, 금융채 및 ABS는 9.4조원, 4.0조원 감소
[채권 종류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2월 |
‘20.1월 |
‘20.2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국채 |
150,325 |
195,333 |
214,341 |
46.1% |
19,008 |
64,016 |
지방채 |
707 |
1,041 |
1,249 |
0.3% |
208 |
542 |
특수채 |
16,327 |
26,785 |
31,763 |
6.8% |
4,978 |
15,436 |
통안증권 |
52,726 |
95,766 |
98,620 |
21.2% |
2,854 |
45,894 |
금융채 |
62,713 |
100,872 |
91,505 |
19.7% |
- 9,367 |
28,792 |
회사채 |
14,272 |
14,999 |
18,829 |
4.0% |
3,830 |
4,557 |
ABS |
5,068 |
12,681 |
8,686 |
1.9% |
- 3,995 |
3,618 |
합계 |
302,138 |
447,477 |
464,993 |
100.0% |
17,516 |
162,855 |
일평균 |
17,773 |
22,374 |
23,250 |
876 |
5,477 |
출처 : 금융투자협회, 매매일 기준(거래량 기준)
□ (투자자별) 금리 급락에 따른 거래 증가로 증권사, 자산운용 및 은행의 채권 거래량은 전월대비 각각 11.3조원, 11.2조원, 8.0조원 증가
○ 반면 외국인 및 보험의 채권 거래량은 전월대비 각각 4.4조원, 3.2조원 감소
- 5 -
[투자자별 장외거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2월 |
‘20.1월 |
‘20.2월 |
당월비중 |
전월대비 |
전년동월 대비 |
증권사간 |
172,890 |
241,964 |
253,301 |
55.26% |
11,337 |
80,411 |
은행 |
38,472 |
71,149 |
79,185 |
17.28% |
8,036 |
40,713 |
자산운용 |
42,301 |
48,239 |
59,413 |
12.96% |
11,174 |
17,112 |
보험 |
18,727 |
24,435 |
21,154 |
4.61% |
- 3,281 |
2,427 |
기금·공제 |
9,102 |
17,437 |
15,097 |
3.29% |
- 2,340 |
5,995 |
외국인 |
6,729 |
16,084 |
11,733 |
2.56% |
- 4,351 |
5,004 |
국가·지자체 |
3,139 |
6,041 |
3,110 |
0.68% |
- 2,931 |
- 29 |
개인 |
397 |
519 |
745 |
0.16% |
226 |
348 |
기타법인 |
10,382 |
15,448 |
14,636 |
3.19% |
- 812 |
4,254 |
합계 |
302,139 |
441,316 |
458,374 |
100.0% |
17,058 |
156,235 |
출처 : 금융투자협회(거래량 기준)
□ (외국인 동향)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증가, 원·달러 환율 상승 및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국채 2.0조원 통안채 1.3조원 등 총 3.4조원 순매수
[외국인 채권 종류별 순매수 현황]
(단위 : 십억원)
구 분 |
‘19년 (연간) |
‘20년 (2월까지) |
‘20.1월 |
‘20.2월 |
|
순 매 수 계 |
56,208 |
10,055 |
6,643 |
3,413 |
|
국 채 |
27,057 |
4,328 |
2,380 |
1,949 |
|
통안채 |
27,558 |
5,507 |
4,234 |
1,273 |
|
기 타 |
1,593 |
220 |
29 |
191 |
출처 : 금융투자협회(매매일 및 거래대금 체결기준)
○ 2월말 기준 외국인 국내 채권보유 잔고는 128조 9,168억원*으로, 전월(128조 3,734억원)대비 0.5조원 소폭 증가(순매수 규모는 +6.2조원→+0.3조원으로 큰 폭 감소)
* 보유잔고는 만기상환분 반영금액(출처 : 금융감독원)
- 6 -
4 |
CD시장 동향 |
□ (CD시장) 2월 중 CD 발행금액은 시중은행의 발행이 전혀 없어 전월대비 2조 2,100억원 감소한 총 3,000억원*(총 5건) 발행
* 중국건설은행 2,000억원(3건), 중국은행 500억원(1건), OCBC은행 500억원(1건)
○ 2월말 기준 CD금리는 시중은행의 발행이 없었으나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전월대비 1bp 하락한 1.41% 기록
5 |
QIB시장 현황 |
□ (QIB시장) 2월 중 QIB채권 등록*은 1개 종목, 0.4조원** 기록
* 국내외 기업들이 발행하는 채권을 국내 적격기관투자자(QIB)간 유통하고자하는 경우 QIB시장 등록을 통해 공모보다 완화된 요건으로 발행가능하고, 해외발행 채권이 국내에 유입되는 경우 전매제한 조치 중 하나로 QIB시장에 등록 함.
** 당월 말 환율을 적용한 원화 환산금액
[QIB채권 등록 현황(2월)]
등록일자 |
발행사 |
발행금액 |
표시통화 |
발행금리 |
발행일 |
만기일 |
2020- 2- 7 |
현대캐피탈 |
3억 |
CHF |
0.260% |
2020- 02- 11 |
2025- 02- 11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 제도 도입(’12.7월) 이후, ‘20.2월말까지 총 246개 종목 약 89.3조원의 QIB채권이 등록*
* 현재 QIB 등록채권은 대부분 국내기업의 해외발행 채권(KP물)이여, 국내 판매를 위한 전매제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QIB채권 등록 추이]
(단위 : 십억원, 건수)
구분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2월까지 |
건수 |
25 |
43 |
22 |
23 |
19 |
33 |
41 |
35 |
5 |
금액* |
5,800 |
10,864 |
7,804 |
13,654 |
7,989 |
12,163 |
13,879 |
14,610 |
2,517 |
출처 : 금융투자협회(채권정보센터) * 당월 말 환율을 적용한 원화 환산금액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