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인구이동통계 |
|
|||||
보도자료 |
보도일시 |
2020. 1. 29.(수) 12:00 |
|
||||
배포일시 |
2020. 1. 29.(수) 08:30 |
||||||
담당부서 |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
||||||
담 당 자 |
과 장: 김 진(042- 481- 2250) 사 무 관: 이은정(042- 481- 2514) |
||||||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
|||||||
|
동 자료는 ‘출처 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일 러 두 기 |
||
|
||
□ 국내인구이동통계 개요 ○ 기초자료: 읍면동에 접수된 전입신고서 ○ 작성대상: 전입신고 중 읍면동 경계를 넘은 거주지 이동 ○ 대상기간 - (월간) 해당월 1일~말일, (연간) 해당연도 1월 1일~12월 31일 ○ 공표시기 - (월간) 익월말(매분기 월말, 분기내용 추가), (연간) 익년 1월말 ○ 공표방법 - 보도자료: 자료배포 및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에 게시함. - 통계자료: 국가통계포털 KOSIS(http://www.kosis.kr)에 게시함. ○ 용어정의 - 이동(Migration):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변경한 경우임. - 전입(Inmigration): 행정구역 경계(시도, 시군구, 읍면동)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임. - 전출(Outmigration): 행정구역 경계(시도, 시군구, 읍면동)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임. - 순이동(Net migration): 전입과 전출의 차이임(전국의 순이동은 0). - 이동률(Migration rate): 주민등록인구(거주자) 100명당 이동자 수임. *이동률 분모는「(해당기간초 주민등록인구 + 해당기간말 주민등록인구)/2」를 사용 *이동률 산출시 1992년까지는 추계인구, 1993년부터는 주민등록연앙인구 이용 □ 이용상 주의사항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하위 단위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전체 수치와 하위분류의 합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이동사항의 미신고, 지연신고, 허위신고 등으로 사실상의 이동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목 차 |
||
|
||
□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요약) 1 □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3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3 2. 성 및 연령별 인구이동 5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7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 10 5. 시도간 전입지 및 전출지 12 6. 전입사유별 인구이동 15 7. 권역별 인구이동 17 8. 수도권 인구이동 19 9. 시군구 인구이동 21 □ 통계표 24 ◇ 부 록 ◎ 국내인구이동통계 개요 46 |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요약)
(전국) 이동자 수 710만 4천 명, 전년대비 2.6%(19만 3천 명) 감소 |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3.8%, 전년대비 0.4%p 감소함.
□ 시도내 이동률은 9.2%, 시도간 이동률은 4.6%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감소함.
<총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19> |
|
|
□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1%), 30대(21.0%)가 높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낮음.
○ 전년대비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이동률 감소
<연령별 이동률, 2019> |
|
|
(시도) 순유입률은 세종과 경기, 순유출률은 대전과 대구가 높음 |
□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을 보인 시도는 세종(7.3%), 경기(1.0%) 등 5개 시도
□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을 보인 시도는 대전(- 1.1%), 대구(- 1.0%) 등 12개 시도
<시도별 순이동률, 2019> |
|
(권역) 수도권‧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호남권은 순유출 |
□ 수도권은 8만 3천 명 순유입, □ 중부권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순유입, 영남권은 전 연령층에서 순유출 □ 수도권은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이후 순유입 규모 전년대비 2만 3천 명 증가 |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09~2019> |
|
(시군구)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인천 중구(9.8%), 경기 화성시(6.6%) 등 |
□ 전국 228개* 시군구 중 71개 시군구 순유입, 157개 시군구 순유출 * 자치시군구 226개 + 행정시 2개(제주, 서귀포) □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인천 중구(9.8%), 경기 화성시(6.6%) 등 □ 순유출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서구(- 4.7%), 울산 중구(- 3.7%) 등 |
<시군구별 순이동률 5순위, 2019> |
|
(전입사유) 주된 전입사유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 |
□ 전년에 비해 주택으로 인한 이동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 16만 3천 명) □ 세종ㆍ경기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 제주ㆍ충북은 직업 □ 대전ㆍ서울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주택, 대구ㆍ울산 등 8개 시도는 직업 |
<전입사유별 이동자 구성비, 2018~2019> |
|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이동자 수 710만 4천 명, 전년대비 2.6%(19만 3천 명) 감소 |
□ 2019년 인구이동자 수는 총 710만 4천 명, 전년대비 2.6%(19만 3천 명) 감소함.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3.8%, 전년대비 0.4%p 감소함.
○ 2019년 인구이동률은 1972년(11.0%) 이후 최저를 기록함.
□ 시도내 이동은 전체 이동자 중 66.4%(471만 9천 명), 시도간 이동은 33.6% (238만 5천 명)를 차지함.
○ 전년대비 시도내 이동은 3.0%(14만 8천 명), 시도간 이동은 1.8%(4만 4천 명) 감소함.
□ 시도내 이동률은 9.2%, 시도간 이동률은 4.6%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감소함.
[그림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19
[그림 2] 시도내‧시도간 이동률 추이, 2009~2019
[표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19
(단위: 천 명, %, %p)
연 도 |
이동자 수 |
이동률 |
|||||||
총이동 |
시도내 |
시도간 |
총이동 |
시도내 |
시도간 |
||||
구성비 |
구성비 |
||||||||
1970 |
4,047 |
2,780 |
68.7 |
1,266 |
31.3 |
12.6 |
8.6 |
3.9 |
|
1980 |
8,259 |
5,653 |
68.4 |
2,606 |
31.6 |
21.7 |
14.8 |
6.8 |
|
1985 |
8,679 |
5,754 |
66.3 |
2,925 |
33.7 |
21.3 |
14.1 |
7.2 |
|
1990 |
9,459 |
6,228 |
65.8 |
3,231 |
34.2 |
22.1 |
14.5 |
7.5 |
|
1995 |
9,073 |
6,208 |
68.4 |
2,865 |
31.6 |
19.9 |
13.6 |
6.3 |
|
2000 |
9,009 |
6,164 |
68.4 |
2,846 |
31.6 |
19.0 |
13.0 |
6.0 |
|
2005 |
8,795 |
5,980 |
68.0 |
2,815 |
32.0 |
18.1 |
12.3 |
5.8 |
|
2010 |
8,227 |
5,564 |
67.6 |
2,662 |
32.4 |
16.5 |
11.2 |
5.3 |
|
2015 |
7,755 |
5,204 |
67.1 |
2,551 |
32.9 |
15.2 |
10.2 |
5.0 |
|
2016 |
7,378 |
4,925 |
66.7 |
2,453 |
33.3 |
14.4 |
9.6 |
4.8 |
|
2017 |
7,154 |
4,743 |
66.3 |
2,411 |
33.7 |
14.0 |
9.3 |
4.7 |
|
2018 |
7,297 |
4,868 |
66.7 |
2,429 |
33.3 |
14.2 |
9.5 |
4.7 |
|
2019 |
7,104 |
4,719 |
66.4 |
2,385 |
33.6 |
13.8 |
9.2 |
4.6 |
|
전년 대비 |
증 감 |
- 193 |
- 148 |
- 0.3 |
- 44 |
0.3 |
- 0.4 |
- 0.3 |
- 0.1 |
증감률 |
- 2.6 |
- 3.0 |
- |
- 1.8 |
- |
- |
- |
- |
[참고] 한국‧미국‧일본 국내인구이동 추이 비교, 2009~2019
(단위: %)
이동 경계 연도 |
한 국 |
미 국 |
일 본 |
|||||
총이동주) |
시군구 |
시도 |
총이동주) |
카운티 |
주 |
총이동주) |
도도부현 |
|
2009 |
17.1 |
10.7 |
5.5 |
12.1 |
3.7 |
1.6 |
4.2 |
2.0 |
2010 |
16.5 |
10.3 |
5.3 |
12.2 |
3.5 |
1.4 |
4.0 |
2.0 |
2011 |
16.2 |
9.9 |
5.2 |
11.3 |
3.5 |
1.6 |
4.0 |
1.9 |
2012 |
14.9 |
9.3 |
5.0 |
11.6 |
3.9 |
1.7 |
4.0 |
1.8 |
2013 |
14.7 |
9.0 |
4.8 |
11.4 |
3.8 |
1.6 |
4.0 |
1.8 |
2014 |
15.0 |
9.2 |
4.9 |
11.2 |
3.6 |
1.5 |
3.9 |
1.8 |
2015 |
15.2 |
9.3 |
5.0 |
11.1 |
3.8 |
1.6 |
4.0 |
1.9 |
2016 |
14.4 |
9.6 |
4.8 |
10.7 |
3.9 |
1.5 |
3.9 |
1.8 |
2017 |
14.0 |
9.3 |
4.7 |
10.6 |
3.8 |
1.7 |
3.9 |
1.8 |
2018 |
14.2 |
9.5 |
4.7 |
9.8 |
3.5 |
1.5 |
3.9 |
1.9 |
2019 |
13.8 |
9.2 |
4.6 |
9.4 |
3.6 |
1.5 |
- |
- |
주) 1. 총이동은 한국은 읍면동, 미국은 거주지, 일본은 시구정촌 경계임.
2. 국가별 행정구역 단위의 규모 차이로 이동률의 직접적인 비교는 주의를 요함.
3. 자료출처: U.S. Census Bureau, Current Population Survey, 1948- 2019
일본 총무성 통계국, 주민기본대장인구이동보고, 2018
2. 성 및 연령별 인구이동
20대(23.1%)와 30대(21.0%) 이동률은 높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낮음. |
□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1%)와 30대(21.0%)에서 높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낮음.
□ 전년대비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이동률이 감소함.
○ 10세미만(- 1.0%p), 80세이상(- 0.6%p), 70대‧60대‧30대(- 0.5%p) 순으로 감소함.
□ 성별 이동률은 남자 14.2%, 여자 13.5%로 남자가 여자보다 0.7%p 높음.
○ 이동률 성비(여자 1백명당)는 105.0명으로 전년대비 0.9명 증가
○ 연령별 이동률 성비는 30대가 108.7명으로 가장 높고, 70대부터 100명 이하로 감소함.
□ 이동자의 중위연령은 2019년 34.1세로 전년대비 0.1세 감소함.
[그림 3] 연령별 이동률, 2019
[그림 4] 총이동자 수 및 20~30대 이동자 수 추이, 2009~2019
[표 2] 성‧연령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09~2019
(단위: 천 명, 여자 1백 명당 남자, %, %p)
연 령 |
이동자 수(천 명) |
이동률(%) |
||||||||||||||
2009 |
2018 |
2019 |
전년대비 |
2009 |
2018 |
2019 |
전년 대비 증감 (%p) |
|||||||||
남자 |
여자 |
성비 |
증감 |
증감률 (%) |
남자 |
여자 |
성비 |
|||||||||
계 |
8,487 |
7,297 |
7,104 |
3,631 |
3,473 |
104.6 |
- 193 |
- 2.6 |
17.1 |
14.2 |
13.8 |
14.2 |
13.5 |
105.0 |
- 0.4 |
|
10세미만 |
1,002 |
698 |
634 |
325 |
309 |
105.5 |
- 64 |
- 9.2 |
20.0 |
16.0 |
15.0 |
15.0 |
15.0 |
100.0 |
- 1.0 |
|
10대 |
972 |
591 |
567 |
294 |
274 |
107.3 |
- 24 |
- 4.0 |
14.3 |
11.4 |
11.3 |
11.2 |
11.3 |
99.6 |
- 0.1 |
|
20대 |
1,701 |
1,519 |
1,564 |
799 |
765 |
104.5 |
45 |
3.0 |
23.9 |
22.4 |
23.1 |
22.4 |
23.8 |
94.1 |
0.7 |
|
20- 24세 |
593 |
636 |
646 |
310 |
335 |
92.5 |
9 |
1.5 |
18.8 |
18.5 |
19.3 |
17.6 |
21.0 |
83.9 |
0.7 |
|
25- 29세 |
1,108 |
883 |
918 |
489 |
429 |
113.9 |
36 |
4.0 |
27.9 |
26.4 |
26.8 |
27.0 |
26.5 |
101.8 |
0.4 |
|
30대 |
1,912 |
1,561 |
1,496 |
798 |
698 |
114.4 |
- 65 |
- 4.2 |
22.7 |
21.5 |
21.0 |
21.9 |
20.1 |
108.7 |
- 0.5 |
|
30- 34세 |
1,012 |
804 |
775 |
413 |
362 |
113.9 |
- 28 |
- 3.5 |
26.0 |
24.9 |
24.6 |
25.4 |
23.8 |
106.7 |
- 0.3 |
|
35- 39세 |
899 |
757 |
720 |
385 |
335 |
114.8 |
- 37 |
- 4.9 |
19.8 |
18.8 |
18.2 |
19.1 |
17.3 |
110.5 |
- 0.6 |
|
40대 |
1,342 |
1,110 |
1,062 |
562 |
501 |
112.1 |
- 48 |
- 4.3 |
15.4 |
13.1 |
12.7 |
13.3 |
12.2 |
108.6 |
- 0.3 |
|
50대 |
784 |
915 |
888 |
457 |
432 |
105.9 |
- 27 |
- 2.9 |
12.4 |
10.9 |
10.4 |
10.7 |
10.2 |
104.6 |
- 0.4 |
|
60대 |
429 |
526 |
527 |
262 |
265 |
99.0 |
1 |
0.1 |
10.7 |
9.2 |
8.7 |
8.9 |
8.6 |
103.5 |
- 0.5 |
|
70대 |
244 |
242 |
231 |
100 |
131 |
76.3 |
- 10 |
- 4.3 |
10.1 |
7.1 |
6.6 |
6.4 |
6.7 |
95.2 |
- 0.5 |
|
80세이상 |
102 |
136 |
135 |
35 |
100 |
34.8 |
- 1 |
- 0.4 |
12.1 |
8.3 |
7.6 |
6.0 |
8.4 |
71.9 |
- 0.6 |
|
연령계층 |
0- 14세 |
1,493 |
946 |
871 |
449 |
422 |
106.5 |
- 75 |
- 7.9 |
17.8 |
14.1 |
13.3 |
13.4 |
13.3 |
100.6 |
- 0.8 |
15- 64세 |
6,453 |
5,777 |
5,674 |
2,953 |
2,721 |
108.5 |
- 102 |
- 1.8 |
17.9 |
15.5 |
15.3 |
15.6 |
15.0 |
104.0 |
- 0.2 |
|
65세이상 |
541 |
575 |
559 |
229 |
330 |
69.4 |
- 15 |
- 2.7 |
10.5 |
7.8 |
7.2 |
6.9 |
7.5 |
92.2 |
- 0.5 |
|
중위연령(세) |
31.7 |
34.2 |
34.1 |
33.8 |
34.4 |
- |
- 0.1 |
- |
|
- |
- |
- |
- |
- |
- |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순유입률은 세종(7.3%)과 경기(1.0%), 순유출률은 대전(- 1.1%)과 대구(- 1.0%)가 높음 |
□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25.3%), 광주(15.0%), 서울‧경기(14.9%) 순으로 높고,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순으로 높음.
□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 5천 명), 세종(2만 4천 명), 제주·충북(3천 명), 강원(2천 명) 5개 시도임.
○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감소하였음.
□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 5만 명), 대구(- 2만 4천 명), 부산(- 2만 3천 명) 등 12개 시도임.
○ 대구‧경남 등은 전년대비 순유출 규모가 증가한 반면, 서울‧경북 등은 감소함.
□ 지역 인구대비 순이동자 수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대전(- 1.1%), 대구(- 1.0%), 울산(- 0.9%) 순으로 높음.
○ 순유출률이 증가한 시도는 대구(- 0.4%p), 대전‧경남‧인천(- 0.1%p) 등 5개 시도임.
[그림 5] 시도별 순이동률 및 순이동자 수, 2019
[표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2009~2019
(단위: 천 명, %, %p)
이동자 수(천 명) |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전년대비 |
||||||||||||
증감률(%) |
증감 |
||||||||||||||
2009 |
2014 |
2018 |
2019 |
2009 |
2014 |
2018 |
2019 |
2009 |
2014 |
2018 |
2019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
전 국 |
8,487 |
7,629 |
7,297 |
7,104 |
8,487 |
7,629 |
7,297 |
7,104 |
0 |
0 |
0 |
0 |
- 2.6 |
- 2.6 |
0 |
서 울 |
1,873 |
1,574 |
1,440 |
1,426 |
1,925 |
1,661 |
1,550 |
1,476 |
- 52 |
- 88 |
- 110 |
- 50 |
- 0.9 |
- 4.8 |
61 |
부 산 |
519 |
486 |
416 |
412 |
549 |
501 |
443 |
435 |
- 30 |
- 15 |
- 27 |
- 23 |
- 1.1 |
- 1.8 |
3 |
대 구 |
399 |
350 |
321 |
312 |
411 |
366 |
335 |
336 |
- 13 |
- 16 |
- 14 |
- 24 |
- 2.7 |
0.2 |
- 9 |
인 천 |
478 |
452 |
434 |
420 |
476 |
443 |
434 |
422 |
2 |
9 |
- 0 |
- 2 |
- 3.1 |
- 2.6 |
- 2 |
광 주 |
294 |
243 |
219 |
217 |
291 |
246 |
225 |
221 |
3 |
- 3 |
- 6 |
- 4 |
- 0.8 |
- 1.8 |
2 |
대 전 |
252 |
240 |
213 |
212 |
258 |
248 |
228 |
229 |
- 6 |
- 9 |
- 15 |
- 16 |
- 0.2 |
0.5 |
- 2 |
울 산 |
160 |
176 |
128 |
142 |
165 |
173 |
141 |
152 |
- 5 |
3 |
- 13 |
- 10 |
11.0 |
8.3 |
2 |
세 종 |
- |
57 |
86 |
82 |
- |
23 |
55 |
59 |
- |
33 |
31 |
24 |
- 4.7 |
6.7 |
- 8 |
경 기 |
2,176 |
1,892 |
2,042 |
1,941 |
2,082 |
1,834 |
1,872 |
1,806 |
94 |
57 |
170 |
135 |
- 4.9 |
- 3.5 |
- 35 |
강 원 |
249 |
228 |
216 |
218 |
247 |
226 |
220 |
216 |
2 |
2 |
- 4 |
2 |
0.6 |
- 1.9 |
6 |
충 북 |
233 |
216 |
219 |
211 |
230 |
214 |
214 |
209 |
3 |
2 |
5 |
3 |
- 3.4 |
- 2.3 |
- 3 |
충 남 |
330 |
290 |
292 |
259 |
318 |
280 |
282 |
260 |
12 |
10 |
10 |
- 1 |
- 11.5 |
- 8.0 |
- 11 |
전 북 |
314 |
274 |
243 |
229 |
319 |
277 |
257 |
242 |
- 5 |
- 3 |
- 14 |
- 13 |
- 6.0 |
- 6.1 |
1 |
전 남 |
281 |
260 |
224 |
224 |
288 |
261 |
232 |
233 |
- 7 |
- 1 |
- 8 |
- 9 |
0.0 |
0.4 |
- 1 |
경 북 |
367 |
337 |
309 |
307 |
376 |
338 |
319 |
311 |
- 8 |
- 1 |
- 9 |
- 5 |
- 0.9 |
- 2.4 |
5 |
경 남 |
485 |
462 |
390 |
396 |
474 |
456 |
396 |
406 |
11 |
6 |
- 6 |
- 9 |
1.7 |
2.5 |
- 4 |
제 주 |
77 |
93 |
104 |
95 |
78 |
81 |
95 |
92 |
- 1 |
11 |
9 |
3 |
- 8.9 |
- 3.5 |
- 6 |
이동률(%) |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전년대비 증감(%p) |
||||||||||||
2009 |
2014 |
2018 |
2019 |
2009 |
2014 |
2018 |
2019 |
2009 |
2014 |
2018 |
2019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
전 국 |
17.1 |
15.0 |
14.2 |
13.8 |
17.1 |
15.0 |
14.2 |
13.8 |
0.0 |
0.0 |
0.0 |
0.0 |
- 0.4 |
- 0.4 |
0.0 |
서 울 |
18.4 |
15.8 |
14.9 |
14.9 |
18.9 |
16.7 |
16.1 |
15.4 |
- 0.5 |
- 0.9 |
- 1.1 |
- 0.5 |
- 0.0 |
- 0.7 |
0.6 |
부 산 |
14.6 |
13.9 |
12.2 |
12.1 |
15.5 |
14.4 |
13.0 |
12.8 |
- 0.8 |
- 0.4 |
- 0.8 |
- 0.7 |
- 0.0 |
- 0.1 |
0.1 |
대 구 |
16.0 |
14.1 |
13.1 |
12.9 |
16.5 |
14.8 |
13.7 |
13.8 |
- 0.5 |
- 0.6 |
- 0.6 |
- 1.0 |
- 0.3 |
0.1 |
- 0.4 |
인 천 |
17.7 |
15.8 |
14.8 |
14.3 |
17.6 |
15.5 |
14.8 |
14.4 |
0.1 |
0.3 |
- 0.0 |
- 0.1 |
- 0.5 |
- 0.4 |
- 0.1 |
광 주 |
20.6 |
16.6 |
15.1 |
15.0 |
20.4 |
16.8 |
15.5 |
15.3 |
0.2 |
- 0.2 |
- 0.4 |
- 0.3 |
- 0.1 |
- 0.2 |
0.2 |
대 전 |
17.0 |
15.7 |
14.3 |
14.4 |
17.4 |
16.3 |
15.3 |
15.5 |
- 0.4 |
- 0.6 |
- 1.0 |
- 1.1 |
0.1 |
0.2 |
- 0.1 |
울 산 |
14.4 |
15.2 |
11.1 |
12.4 |
14.8 |
15.0 |
12.2 |
13.3 |
- 0.5 |
0.2 |
- 1.1 |
- 0.9 |
1.3 |
1.1 |
0.2 |
세 종 |
- |
40.9 |
29.2 |
25.3 |
- |
16.7 |
18.6 |
18.0 |
- |
24.2 |
10.6 |
7.3 |
- 3.9 |
- 0.6 |
- 3.3 |
경 기 |
19.1 |
15.5 |
15.9 |
14.9 |
18.3 |
15.0 |
14.6 |
13.8 |
0.8 |
0.5 |
1.3 |
1.0 |
- 1.0 |
- 0.7 |
- 0.3 |
강 원 |
16.5 |
14.9 |
14.1 |
14.2 |
16.4 |
14.8 |
14.4 |
14.1 |
0.1 |
0.1 |
- 0.3 |
0.1 |
0.1 |
- 0.2 |
0.4 |
충 북 |
15.3 |
13.8 |
13.8 |
13.3 |
15.1 |
13.6 |
13.5 |
13.1 |
0.2 |
0.2 |
0.3 |
0.2 |
- 0.5 |
- 0.3 |
- 0.2 |
충 남 |
16.3 |
14.2 |
13.9 |
12.3 |
15.7 |
13.7 |
13.4 |
12.3 |
0.6 |
0.5 |
0.5 |
- 0.0 |
- 1.6 |
- 1.1 |
- 0.5 |
전 북 |
16.9 |
14.7 |
13.3 |
12.6 |
17.2 |
14.9 |
14.0 |
13.3 |
- 0.3 |
- 0.1 |
- 0.8 |
- 0.7 |
- 0.7 |
- 0.7 |
0.0 |
전 남 |
14.7 |
13.7 |
12.0 |
12.0 |
15.1 |
13.8 |
12.4 |
12.5 |
- 0.4 |
- 0.0 |
- 0.4 |
- 0.5 |
0.1 |
0.1 |
- 0.0 |
경 북 |
13.7 |
12.6 |
11.6 |
11.5 |
14.1 |
12.6 |
11.9 |
11.7 |
- 0.3 |
- 0.0 |
- 0.3 |
- 0.2 |
- 0.1 |
- 0.2 |
0.2 |
경 남 |
15.0 |
13.9 |
11.6 |
11.8 |
14.6 |
13.7 |
11.8 |
12.1 |
0.3 |
0.2 |
- 0.2 |
- 0.3 |
0.2 |
0.3 |
- 0.1 |
제 주 |
13.6 |
15.5 |
15.9 |
14.3 |
13.8 |
13.7 |
14.5 |
13.9 |
- 0.2 |
1.9 |
1.3 |
0.4 |
- 1.6 |
- 0.6 |
- 0.9 |
[그림 6] 시도별 순이동률 추이, 2009~2019
2009년 - 0.5 0.1 - 0.3 0.8 0.6 0.2 - 0.4 0.3 - 0.5 0.2 - 0.4 - 0.3 - 0.2 - 0.5 - 0.8 0.1 |
||||||||||||||||||||||||||||||||||||||||||||||||||||||||||||||||
2019년 - 0.5 0.1 - 0.2 1.0 - 0.0 - 1.1 - 0.3 - 1.0 - 0.3 - 0.5 - 0.7 - 0.9 - 0.7 - 0.1 7.3 0.2 0.4
|
||||||||||||||||||||||||||||||||||||||||||||||||||||||||||||||||
2014년 - 0.9 0.1 - 0.0 0.5 0.5 - 0.6 0.2 - 0.6 - 0.2 - 0.0 - 0.1 1.9 0.2 - 0.4 0.3 24.2 0.2 |
||||||||||||||||||||||||||||||||||||||||||||||||||||||||||||||||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
세종‧경기는 전 연령층에서 순유입, 대전‧부산은 전 연령층에서 순유출 |
□ 전 연령층에서 인구유입이 된 시도는 세종‧경기, 전 연령층에서 인구유출이 된 시도는 대전‧부산임.
○ 충북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순유입, 울산은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순유출됨.
□ 20대는 전북(- 4.5%), 전남(- 4.2%), 경북‧경남(- 3.3%) 등 13개 시도에서 순유출되고 세종(9.3%), 서울(3.3%), 경기(1.5%), 인천(0.3%) 4개 시도에서 순유입 됨.
□ 30대는 대전(- 2.0%), 서울(- 1.9%), 부산(- 1.4%) 등 11개 시도에서 순유출되고 세종(10.7%), 경기(2.0%), 제주(1.7%) 등 6개 시도에서 순유입 됨.
□ 40~50대는 서울(- 1.2%), 대전(- 1.1%), 대구(- 0.8%) 등 7개 시도에서 순유출되고 세종(6.4%), 제주‧강원‧경기(0.7%) 등 10개 시도에서 순유입 됨.
□ 60대 이상은 서울(- 1.1%), 대전‧대구(- 0.6%) 등 6개 시도에서 순유출되고 세종(4.5%), 경기(0.8%), 강원(0.5%) 등 11개 시도에서 순유입 됨.
[그림 7]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률, 2019
[표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자 수와 순이동률, 2019
(단위: 천 명, %)
순이동자 수(천 명) |
||||||||||||
계 |
0- 9세 |
10- 19세 |
20- 29세 |
30- 39세 |
40- 59세 |
60세 이상 |
||||||
60- 69세 |
70- 79세 |
80세이상 |
||||||||||
40- 49세 |
50- 59세 |
|||||||||||
서 울 |
- 49.6 |
- 13.4 |
4.1 |
47.6 |
- 28.5 |
- 36.4 |
- 17.9 |
- 18.5 |
- 22.9 |
- 13.6 |
- 6.5 |
- 2.8 |
부 산 |
- 23.4 |
- 0.8 |
- 0.3 |
- 5.8 |
- 6.3 |
- 6.3 |
- 2.8 |
- 3.5 |
- 3.9 |
- 2.9 |
- 0.9 |
- 0.2 |
대 구 |
- 23.7 |
0.1 |
- 1.9 |
- 9.3 |
- 3.0 |
- 6.5 |
- 2.6 |
- 3.9 |
- 3.0 |
- 2.3 |
- 0.6 |
- 0.1 |
인 천 |
- 2.3 |
- 1.9 |
- 0.3 |
1.2 |
- 1.2 |
- 0.9 |
- 0.2 |
- 0.7 |
0.7 |
- 0.5 |
0.5 |
0.7 |
광 주 |
- 3.9 |
1.1 |
- 1.0 |
- 2.6 |
- 0.0 |
- 1.2 |
- 0.2 |
- 1.0 |
- 0.3 |
- 0.6 |
0.0 |
0.3 |
대 전 |
- 16.3 |
- 1.9 |
- 1.2 |
- 2.0 |
- 4.1 |
- 5.2 |
- 2.4 |
- 2.8 |
- 1.9 |
- 1.6 |
- 0.3 |
- 0.0 |
울 산 |
- 10.2 |
- 0.7 |
- 1.3 |
- 4.7 |
- 1.0 |
- 1.9 |
- 0.8 |
- 1.1 |
- 0.5 |
- 0.8 |
0.0 |
0.2 |
세 종 |
23.7 |
3.5 |
2.0 |
3.3 |
6.4 |
6.5 |
3.7 |
2.8 |
2.0 |
1.4 |
0.4 |
0.3 |
경 기 |
134.7 |
15.5 |
5.2 |
26.8 |
39.3 |
29.6 |
17.0 |
12.6 |
18.3 |
9.6 |
5.2 |
3.5 |
강 원 |
1.7 |
0.9 |
0.1 |
- 5.7 |
0.9 |
3.5 |
0.9 |
2.6 |
2.0 |
1.9 |
0.2 |
- 0.1 |
충 북 |
2.6 |
0.2 |
0.1 |
- 2.8 |
0.4 |
3.1 |
1.0 |
2.0 |
1.5 |
1.2 |
0.2 |
0.1 |
충 남 |
- 0.8 |
- 1.0 |
- 0.5 |
- 4.0 |
- 0.2 |
2.9 |
0.7 |
2.2 |
2.0 |
1.6 |
0.5 |
- 0.1 |
전 북 |
- 12.7 |
- 0.1 |
- 1.3 |
- 9.7 |
- 2.1 |
0.2 |
- 0.4 |
0.5 |
0.3 |
0.5 |
0.1 |
- 0.3 |
전 남 |
- 8.8 |
- 1.5 |
- 1.0 |
- 8.5 |
- 0.9 |
2.8 |
0.8 |
2.1 |
0.3 |
1.5 |
- 0.1 |
- 1.1 |
경 북 |
- 4.6 |
- 1.1 |
- 0.3 |
- 9.9 |
- 1.5 |
5.2 |
1.2 |
4.0 |
3.0 |
2.7 |
0.5 |
- 0.2 |
경 남 |
- 9.3 |
0.2 |
- 2.2 |
- 13.0 |
0.4 |
3.1 |
1.0 |
2.1 |
2.2 |
1.7 |
0.5 |
0.0 |
제 주 |
2.9 |
0.8 |
- 0.2 |
- 1.0 |
1.5 |
1.6 |
1.0 |
0.7 |
0.3 |
0.2 |
0.1 |
- 0.0 |
순이동률(%) |
||||||||||||
계 |
0- 9세 |
10- 19세 |
20- 29세 |
30- 39세 |
40- 59세 |
60세 이상 |
||||||
40- 49세 |
50- 59세 |
60- 69세 |
70- 79세 |
80세이상 |
||||||||
서 울 |
- 0.5 |
- 2.0 |
0.5 |
3.3 |
- 1.9 |
- 1.2 |
- 1.2 |
- 1.2 |
- 1.1 |
- 1.2 |
- 1.0 |
- 1.0 |
부 산 |
- 0.7 |
- 0.3 |
- 0.1 |
- 1.3 |
- 1.4 |
- 0.6 |
- 0.5 |
- 0.6 |
- 0.4 |
- 0.6 |
- 0.3 |
- 0.1 |
대 구 |
- 1.0 |
0.0 |
- 0.8 |
- 2.8 |
- 1.0 |
- 0.8 |
- 0.7 |
- 0.9 |
- 0.6 |
- 0.8 |
- 0.3 |
- 0.2 |
인 천 |
- 0.1 |
- 0.8 |
- 0.1 |
0.3 |
- 0.3 |
- 0.1 |
- 0.0 |
- 0.1 |
0.1 |
- 0.2 |
0.3 |
0.8 |
광 주 |
- 0.3 |
0.9 |
- 0.6 |
- 1.3 |
- 0.0 |
- 0.3 |
- 0.1 |
- 0.4 |
- 0.1 |
- 0.4 |
0.0 |
0.8 |
대 전 |
- 1.1 |
- 1.5 |
- 0.8 |
- 0.9 |
- 2.0 |
- 1.1 |
- 1.0 |
- 1.2 |
- 0.6 |
- 1.0 |
- 0.3 |
- 0.0 |
울 산 |
- 0.9 |
- 0.6 |
- 1.1 |
- 3.1 |
- 0.6 |
- 0.5 |
- 0.4 |
- 0.5 |
- 0.3 |
- 0.6 |
0.0 |
0.8 |
세 종 |
7.3 |
7.7 |
5.1 |
9.3 |
10.7 |
6.4 |
6.1 |
7.0 |
4.5 |
5.4 |
3.0 |
3.7 |
경 기 |
1.0 |
1.3 |
0.4 |
1.5 |
2.0 |
0.7 |
0.8 |
0.6 |
0.8 |
0.7 |
0.7 |
1.0 |
강 원 |
0.1 |
0.8 |
0.1 |
- 3.1 |
0.5 |
0.7 |
0.4 |
1.0 |
0.5 |
0.9 |
0.1 |
- 0.1 |
충 북 |
0.2 |
0.2 |
0.1 |
- 1.4 |
0.2 |
0.6 |
0.4 |
0.8 |
0.4 |
0.6 |
0.2 |
0.1 |
충 남 |
- 0.0 |
- 0.5 |
- 0.3 |
- 1.6 |
- 0.1 |
0.4 |
0.2 |
0.7 |
0.4 |
0.6 |
0.3 |
- 0.1 |
전 북 |
- 0.7 |
- 0.1 |
- 0.7 |
- 4.5 |
- 1.1 |
0.0 |
- 0.1 |
0.2 |
0.1 |
0.2 |
0.1 |
- 0.3 |
전 남 |
- 0.5 |
- 1.1 |
- 0.5 |
- 4.2 |
- 0.5 |
0.5 |
0.3 |
0.7 |
0.1 |
0.6 |
- 0.0 |
- 1.0 |
경 북 |
- 0.2 |
- 0.5 |
- 0.1 |
- 3.3 |
- 0.5 |
0.6 |
0.3 |
0.9 |
0.4 |
0.7 |
0.2 |
- 0.1 |
경 남 |
- 0.3 |
0.1 |
- 0.7 |
- 3.3 |
0.1 |
0.3 |
0.2 |
0.4 |
0.3 |
0.4 |
0.2 |
0.0 |
제 주 |
0.4 |
1.3 |
- 0.3 |
- 1.3 |
1.7 |
0.7 |
0.9 |
0.6 |
0.2 |
0.3 |
0.1 |
- 0.1 |
5. 시도간 전입지 및 전출지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이동, 세종 전입자의 37.6%는 대전에서 이동 |
□ 서울‧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 6개 시도의 전입 및 전출 1순위 지역은 모두 경기임.
○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이동,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이동함.
□ 경기의 전입 및 전출 1순위 지역은 서울임.
○ 경기 전입자의 52.3%는 서울에서 이동, 경기 전출자의 48.0%는 서울로 이동함.
□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간의 전입 및 전출이 많음.
□ 세종으로의 전입은 대전‧경기‧충남 순, 전출은 대전‧경기‧서울 순임.
□ 제주로의 전입은 경기‧서울‧부산 순, 전출은 서울‧경기‧부산 순임.
[표 5] 시도별 3대 전입지 및 전출지, 2019
(단위 : 천 명, %)
타시도에서 전입 |
타시도로 전출 |
|||||||||||||||
전입자수 |
1위 |
2위 |
3위 |
전출자수 |
1위 |
2위 |
3위 |
|||||||||
2018년 |
2018년 |
|||||||||||||||
서 울 |
476 |
경기 |
(50.9) |
(50.7) |
인천 |
(7.3) |
충남 |
(4.3) |
525 |
경기 |
(63.6) |
(64.6) |
인천 |
(7.3) |
강원 |
(3.6) |
부 산 |
110 |
경남 |
(40.2) |
(39.3) |
서울 |
(11.7) |
경기 |
(10.3) |
133 |
경남 |
(39.3) |
(40.1) |
서울 |
(15.3) |
경기 |
(12.4) |
대 구 |
81 |
경북 |
(47.4) |
(47.0) |
경기 |
(10.2) |
경남 |
(10.0) |
105 |
경북 |
(43.3) |
(42.8) |
서울 |
(13.8) |
경기 |
(12.9) |
인 천 |
144 |
경기 |
(43.5) |
(43.3) |
서울 |
(26.8) |
충남 |
(4.6) |
146 |
경기 |
(48.5) |
(49.8) |
서울 |
(23.8) |
충남 |
(5.2) |
광 주 |
68 |
전남 |
(54.8) |
(53.8) |
경기 |
(10.8) |
서울 |
(10.3) |
72 |
전남 |
(46.1) |
(46.7) |
서울 |
(15.0) |
경기 |
(14.3) |
대 전 |
78 |
충남 |
(19.2) |
(19.3) |
경기 |
(16.7) |
서울 |
(13.7) |
95 |
세종 |
(21.4) |
(23.5) |
경기 |
(17.2) |
서울 |
(15.5) |
울 산 |
40 |
부산 |
(22.7) |
(23.1) |
경남 |
(17.4) |
경북 |
(16.8) |
50 |
부산 |
(19.0) |
(18.6) |
경북 |
(16.0) |
경남 |
(14.5) |
세 종 |
54 |
대전 |
(37.6) |
(38.3) |
경기 |
(12.8) |
충남 |
(12.0) |
30 |
대전 |
(23.2) |
(24.0) |
경기 |
(16.7) |
서울 |
(14.8) |
경 기 |
639 |
서울 |
(52.3) |
(54.6) |
인천 |
(11.1) |
충남 |
(5.7) |
505 |
서울 |
(48.0) |
(46.2) |
인천 |
(12.4) |
충남 |
(6.6) |
강 원 |
78 |
경기 |
(36.2) |
(36.0) |
서울 |
(24.5) |
인천 |
(6.7) |
76 |
경기 |
(36.5) |
(36.7) |
서울 |
(26.1) |
인천 |
(6.0) |
충 북 |
78 |
경기 |
(27.8) |
(28.8) |
서울 |
(16.1) |
대전 |
(10.6) |
75 |
경기 |
(28.0) |
(28.0) |
서울 |
(18.3) |
대전 |
(10.4) |
충 남 |
115 |
경기 |
(29.1) |
(30.3) |
서울 |
(16.1) |
대전 |
(12.6) |
116 |
경기 |
(31.6) |
(30.8) |
서울 |
(17.7) |
대전 |
(13.0) |
전 북 |
58 |
경기 |
(24.0) |
(24.6) |
서울 |
(18.9) |
전남 |
(9.3) |
71 |
경기 |
(24.8) |
(25.0) |
서울 |
(21.5) |
충남 |
(8.5) |
전 남 |
88 |
광주 |
(37.5) |
(39.4) |
경기 |
(15.6) |
서울 |
(12.9) |
97 |
광주 |
(38.3) |
(38.2) |
경기 |
(16.5) |
서울 |
(14.3) |
경 북 |
121 |
대구 |
(37.6) |
(36.4) |
경기 |
(12.9) |
서울 |
(9.9) |
125 |
대구 |
(30.7) |
(31.8) |
경기 |
(16.4) |
서울 |
(13.5) |
경 남 |
122 |
부산 |
(43.0) |
(43.5) |
경기 |
(10.8) |
서울 |
(9.4) |
131 |
부산 |
(33.7) |
(32.6) |
서울 |
(14.0) |
경기 |
(13.8) |
제 주 |
35 |
경기 |
(25.4) |
(26.5) |
서울 |
(24.2) |
부산 |
(7.5) |
32 |
서울 |
(26.4) |
(25.6) |
경기 |
(24.5) |
부산 |
(6.9) |
[그림 8] 시도별 3대 전입지 및 전출지, 2019
전입지 |
전출지 |
전입지 |
전출지 |
||||
서 울 |
부 산 |
||||||
|
|
|
|
||||
대 구 |
인 천 |
||||||
|
|
|
|
||||
광 주 |
대 전 |
||||||
|
|
|
|
||||
울 산 |
세 종 |
||||||
|
|
|
|
||||
전입 : |
1위 |
2위 |
3위 |
전출 : |
1위 |
2위 |
3위 |
|
|
|
|
|
|
전입지 |
전출지 |
전입지 |
전출지 |
||||
경 기 |
강 원 |
||||||
|
|
|
|
||||
충 북 |
충 남 |
||||||
|
|
|
|
||||
전 북 |
전 남 |
||||||
|
|
|
|
||||
경 북 |
경 남 |
||||||
|
|
|
|
||||
제 주 |
|||||||
|
|
6. 전입사유별 인구이동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임 |
□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순으로, 총이동 사유의 84.2%를 차지함.
○ 전년대비 주택사유(- 16만 3천 명)에 의한 이동자 수가 가장 크게 감소함.
□ 시도내 이동사유는 주택(47.8%)이 가장 많은 반면, 시도간 이동사유는 직업(34.8%)이 가장 많음.
□ 순유입률이 높은 세종ㆍ경기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 제주ㆍ충북은 직업임.
□ 순유출률이 높은 대전ㆍ서울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주택이고 대구ㆍ울산 등 8개 시도는 직업임.
[표 6]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및 구성비, 2018~2019
구분 |
전입사유 |
||||||||
계 |
직 업 |
가 족 |
주 택 |
교 육 |
주거환경 |
자연환경 |
기 타 |
||
2018년 |
전체 |
7,297 |
1,532 |
1,702 |
2,921 |
313 |
248 |
79 |
502 |
(100.0) |
(21.0) |
(23.3) |
(40.0) |
(4.3) |
(3.4) |
(1.1) |
(6.9) |
||
시도내 이동 |
4,868 |
711 |
1,039 |
2,369 |
172 |
187 |
40 |
350 |
|
(100.0) |
(14.6) |
(21.4) |
(48.7) |
(3.5) |
(3.8) |
(0.8) |
(7.2) |
||
시도간 이동 |
2,429 |
820 |
663 |
552 |
142 |
62 |
38 |
152 |
|
(100.0) |
(33.8) |
(27.3) |
(22.7) |
(5.8) |
(2.5) |
(1.6) |
(6.3) |
||
2019년 |
전체 |
7,104 |
1,533 |
1,692 |
2,758 |
333 |
283 |
79 |
426 |
(100.0) |
(21.6) |
(23.8) |
(38.8) |
(4.7) |
(4.0) |
(1.1) |
(6.0) |
||
시도내 이동 |
4,719 |
703 |
1,042 |
2,254 |
176 |
214 |
41 |
290 |
|
(100.0) |
(14.9) |
(22.1) |
(47.8) |
(3.7) |
(4.5) |
(0.9) |
(6.1) |
||
시도간 이동 |
2,385 |
830 |
650 |
504 |
158 |
69 |
38 |
136 |
|
(100.0) |
(34.8) |
(27.2) |
(21.1) |
(6.6) |
(2.9) |
(1.6) |
(5.7) |
||
전년대비 |
전체 |
- 193 |
1 |
- 10 |
- 163 |
20 |
35 |
0 |
- 76 |
시도내 이동 |
- 193 |
- 8 |
3 |
- 115 |
4 |
28 |
0 |
- 60 |
|
시도간 이동 |
0 |
10 |
- 13 |
- 48 |
16 |
7 |
- 0 |
- 16 |
[그림 9] 전입사유별 이동자 구성비, 2019
[표 7] 시도 전입사유별 순이동자 수, 2018~2019
시도 |
전입사유 |
||||||||
계 |
직 업 |
가 족 |
주 택 |
교 육 |
주거환경 |
자연환경 |
기 타 |
||
2018년 |
서 울 |
- 110.2 |
29.6 |
- 45.8 |
- 98.1 |
22.6 |
- 1.1 |
- 9.5 |
- 7.9 |
부 산 |
- 26.8 |
- 10.7 |
- 5.5 |
- 8.8 |
1.2 |
- 0.2 |
- 1.5 |
- 1.3 |
|
대 구 |
- 14.2 |
- 12.1 |
2.8 |
- 2.4 |
- 1.8 |
0.2 |
- 1.7 |
0.8 |
|
인 천 |
- 0.1 |
- 2.7 |
3.3 |
3.8 |
- 2.1 |
- 1.2 |
- 0.7 |
- 0.4 |
|
광 주 |
- 6.2 |
- 8.6 |
4.2 |
- 0.2 |
- 1.0 |
0.4 |
- 1.3 |
0.3 |
|
대 전 |
- 14.8 |
- 3.0 |
- 1.3 |
- 9.6 |
0.9 |
- 0.5 |
- 0.8 |
- 0.5 |
|
울 산 |
- 12.7 |
- 5.8 |
1.7 |
- 3.4 |
- 3.2 |
- 0.4 |
- 0.4 |
- 1.2 |
|
세 종 |
31.4 |
7.8 |
5.8 |
14.3 |
1.5 |
1.2 |
0.1 |
0.8 |
|
경 기 |
170.1 |
26.1 |
31.8 |
102.5 |
- 2.4 |
2.6 |
- 0.1 |
9.5 |
|
강 원 |
- 3.9 |
- 3.1 |
- 2.4 |
- 0.1 |
0.9 |
0.3 |
2.9 |
- 2.3 |
|
충 북 |
5.1 |
5.0 |
- 0.5 |
- 1.1 |
- 0.8 |
- 0.2 |
1.3 |
1.5 |
|
충 남 |
10.1 |
8.8 |
1.1 |
0.7 |
- 1.1 |
- 0.3 |
1.8 |
- 1.0 |
|
전 북 |
- 13.8 |
- 11.3 |
- 0.5 |
- 1.5 |
- 1.7 |
- 0.1 |
1.0 |
0.4 |
|
전 남 |
- 8.0 |
- 4.5 |
- 0.9 |
- 1.6 |
- 3.2 |
- 0.4 |
2.6 |
0.0 |
|
경 북 |
- 9.2 |
- 7.0 |
- 1.6 |
- 1.0 |
- 3.0 |
- 0.3 |
2.8 |
0.8 |
|
경 남 |
- 5.8 |
- 14.3 |
8.0 |
5.8 |
- 6.6 |
- 0.0 |
1.5 |
- 0.2 |
|
제 주 |
8.9 |
5.7 |
- 0.1 |
0.7 |
- 0.1 |
0.1 |
1.9 |
0.7 |
|
2019년 |
서 울 |
- 49.6 |
44.6 |
- 40.6 |
- 68.3 |
27.2 |
0.3 |
- 10.1 |
- 2.6 |
부 산 |
- 23.4 |
- 11.3 |
- 5.0 |
- 6.7 |
2.4 |
0.3 |
- 1.6 |
- 1.5 |
|
대 구 |
- 23.7 |
- 15.0 |
1.0 |
- 5.5 |
- 2.1 |
0.2 |
- 1.9 |
- 0.3 |
|
인 천 |
- 2.3 |
- 3.4 |
1.1 |
5.4 |
- 2.0 |
- 0.8 |
- 1.0 |
- 1.6 |
|
광 주 |
- 3.9 |
- 7.8 |
4.0 |
1.4 |
- 1.3 |
0.3 |
- 1.4 |
0.9 |
|
대 전 |
- 16.3 |
- 3.9 |
- 3.0 |
- 9.0 |
0.8 |
- 0.2 |
- 1.0 |
0.0 |
|
울 산 |
- 10.2 |
- 5.6 |
2.5 |
- 2.2 |
- 3.5 |
- 0.4 |
- 0.5 |
- 0.4 |
|
세 종 |
23.7 |
6.3 |
4.1 |
11.6 |
0.6 |
1.1 |
0.1 |
- 0.0 |
|
경 기 |
134.7 |
22.3 |
31.7 |
75.3 |
- 3.9 |
2.6 |
0.6 |
6.1 |
|
강 원 |
1.7 |
- 1.7 |
- 0.1 |
1.1 |
0.9 |
0.3 |
2.9 |
- 1.7 |
|
충 북 |
2.6 |
2.9 |
- 0.6 |
- 0.7 |
- 0.3 |
- 0.7 |
1.3 |
0.7 |
|
충 남 |
- 0.8 |
4.0 |
- 0.3 |
- 3.0 |
- 1.7 |
- 0.8 |
1.9 |
- 1.0 |
|
전 북 |
- 12.7 |
- 10.9 |
0.2 |
- 1.3 |
- 1.8 |
- 0.5 |
1.1 |
0.4 |
|
전 남 |
- 8.8 |
- 3.2 |
- 1.0 |
- 2.9 |
- 3.9 |
- 0.6 |
2.8 |
0.0 |
|
경 북 |
- 4.6 |
- 6.3 |
- 1.0 |
1.2 |
- 2.6 |
- 0.6 |
3.3 |
1.4 |
|
경 남 |
- 9.3 |
- 13.5 |
7.7 |
3.7 |
- 7.9 |
- 0.6 |
1.8 |
- 0.4 |
|
제 주 |
2.9 |
2.5 |
- 0.6 |
- 0.1 |
- 0.8 |
0.1 |
1.9 |
- 0.0 |
|
전년대비 |
서 울 |
60.6 |
15.0 |
5.1 |
29.8 |
4.6 |
1.4 |
- 0.6 |
5.3 |
부 산 |
3.4 |
- 0.6 |
0.5 |
2.1 |
1.2 |
0.6 |
- 0.1 |
- 0.2 |
|
대 구 |
- 9.4 |
- 2.9 |
- 1.8 |
- 3.1 |
- 0.3 |
0.0 |
- 0.3 |
- 1.1 |
|
인 천 |
- 2.3 |
- 0.7 |
- 2.2 |
1.6 |
0.1 |
0.4 |
- 0.3 |
- 1.2 |
|
광 주 |
2.3 |
0.8 |
- 0.2 |
1.6 |
- 0.3 |
- 0.1 |
- 0.1 |
0.6 |
|
대 전 |
- 1.6 |
- 0.9 |
- 1.7 |
0.6 |
- 0.1 |
0.2 |
- 0.3 |
0.6 |
|
울 산 |
2.5 |
0.1 |
0.8 |
1.2 |
- 0.3 |
- 0.0 |
- 0.1 |
0.8 |
|
세 종 |
- 7.7 |
- 1.5 |
- 1.7 |
- 2.7 |
- 0.9 |
- 0.0 |
- 0.0 |
- 0.8 |
|
경 기 |
- 35.4 |
- 3.8 |
- 0.1 |
- 27.3 |
- 1.5 |
0.0 |
0.6 |
- 3.3 |
|
강 원 |
5.5 |
1.4 |
2.4 |
1.2 |
0.0 |
- 0.0 |
- 0.1 |
0.6 |
|
충 북 |
- 2.6 |
- 2.1 |
- 0.1 |
0.4 |
0.5 |
- 0.5 |
0.0 |
- 0.9 |
|
충 남 |
- 10.9 |
- 4.8 |
- 1.4 |
- 3.7 |
- 0.6 |
- 0.5 |
0.1 |
0.0 |
|
전 북 |
1.0 |
0.4 |
0.7 |
0.2 |
- 0.1 |
- 0.4 |
0.1 |
0.0 |
|
전 남 |
- 0.8 |
1.3 |
- 0.1 |
- 1.3 |
- 0.7 |
- 0.2 |
0.2 |
0.0 |
|
경 북 |
4.7 |
0.6 |
0.7 |
2.2 |
0.4 |
- 0.3 |
0.5 |
0.6 |
|
경 남 |
- 3.5 |
0.8 |
- 0.4 |
- 2.1 |
- 1.4 |
- 0.6 |
0.3 |
- 0.1 |
|
제 주 |
- 5.9 |
- 3.2 |
- 0.5 |
- 0.8 |
- 0.7 |
0.1 |
0.0 |
- 0.7 |
7. 권역별 인구이동
가. 권역별 순이동 추이
수도권‧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호남권은 순유출 |
□ 수도권 순유입 8만 3천 명, 2017년 순유입으로 전환한 이후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2만 3천 명 증가
□ 중부권 순유입 1만 1천 명, 전년대비 순유입 1만 7천 명 감소
□ 호남권 순유출 2만 5천 명, 전년대비 순유출 3천 명 감소
□ 영남권 순유출 7만 1천 명, 전년대비 순유출 2천 명 증가
□ 권역별 순이동의 절대적인 규모는 19만 명으로, 전년대비 5천 명 증가함.
[표 8]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09~2019
(단위: 천 명)
권 역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수도권 |
44 |
31 |
- 8 |
7 |
- 4 |
- 21 |
- 33 |
- 1 |
16 |
60 |
83 |
중부권 |
11 |
22 |
35 |
33 |
28 |
39 |
49 |
41 |
42 |
28 |
11 |
호남권 |
- 9 |
- 9 |
- 2 |
- 10 |
- 7 |
- 6 |
- 8 |
- 16 |
- 18 |
- 28 |
- 25 |
영남권 |
- 45 |
- 44 |
- 26 |
- 35 |
- 25 |
- 23 |
- 22 |
- 40 |
- 54 |
- 69 |
- 71 |
주)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 중부권: 대전‧세종‧강원‧충북‧충남
호남권: 광주‧전북‧전남 / 영남권: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그림 10]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09~2019
나. 권역간 순이동
수도권은 3개 권역으로부터 모두 순유입, 영·호남권은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순유출 |
□ 수도권은 중부권(8천 명), 호남권(2만 1천 명), 영남권(5만 5천 명)에서 모두 순유입 됨. □ 중부권은 호남권(6천 명), 영남권(1만 3천 명)에서 순유입, 수도권(- 8천 명)으로 순유출 됨. □ 호남권은 수도권(- 2만 1천 명), 중부권(- 6천 명)으로 순유출, 영남권(2천 명)에서 순유입 됨. □ 영남권은 수도권(- 5만 5천 명), 중부권(- 1만 3천 명), 호남권(- 2천 명)으로 모두 순유출 됨. |
[그림 11] 권역간 순이동 (단위: 천 명) 호남권 8 21 55 13 영남권 중부권 수도권 2 6 |
|||||
[표 9] 권역간 순이동자 수, 2019 (단위: 천 명) |
||||||
전출 전입 |
전 체 (제주 제외) |
수도권 |
중부권 |
호남권 |
영남권 |
|
수도권 |
84 |
- |
8 |
21 |
55 |
|
중부권 |
11 |
- 8 |
- |
6 |
13 |
|
호남권 |
- 25 |
- 21 |
- 6 |
- |
2 |
|
영남권 |
- 70 |
- 55 |
- 13 |
- 2 |
- |
|
주) 제주는 제외(수도권→제주: 1, 중부권→제주: 0, 호남권→제주: 0, 영남권→제주: 2) |
다. 권역‧연령별 순이동
수도권은 20대 순유입이 가장 많고, 중부권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순유입 |
□ 권역별 순이동을 연령별로 보면
○ 수도권은 40대 미만은 순유입이나 40대 이상은 순유출 됨.
○ 중부권은 20대는 순유출, 다른 연령층에서 순유입 됨.
○ 호남권은 40대 이상은 순유입이나 40대 미만은 순유출 됨.
○ 영남권은 전 연령층에서 순유출 됨.
[표 10] 권역‧연령별 순이동자 수, 2019
(단위: 천 명)
권 역 |
계 |
0- 9세 |
10- 19세 |
20- 29세 |
30- 39세 |
40- 49세 |
50- 59세 |
60세이상 |
수도권 |
83 |
0 |
9 |
76 |
10 |
- 1 |
- 7 |
- 4 |
중부권 |
11 |
2 |
0 |
- 11 |
3 |
4 |
7 |
6 |
호남권 |
- 25 |
- 1 |
- 3 |
- 21 |
- 3 |
0 |
2 |
0 |
영남권 |
- 71 |
- 2 |
- 6 |
- 43 |
- 11 |
- 4 |
- 2 |
- 2 |
8. 수도권 인구이동
가. 수도권, 비수도권 이동
총이동자 중 수도권내 이동자 46.6%, 전년대비 0.6%p 감소 |
□ 수도권내 이동자수는 331만 2천 명, 전년대비 3.9%(13만 3천 명) 감소함.
○ 수도권내 이동자 수가 전체 이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6%, 전년대비 0.6%p 감소함.
□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이동은 47만 6천 명, 전년대비 1.2%(6천 명) 증가함.
□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이동은 39만 3천 명, 전년대비 4.2%(1만 7천 명) 감소함.
□ 비수도권간 이동자수는 292만 4천 명, 전년대비 1.6%(4만 8천 명) 감소함.
○ 비수도권간 이동이 전체이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2%, 전년대비 0.4%p 증가함.
[표 11] 수도권, 비수도권 이동자 수 추이, 2009~2019
(단위: 천 명, %, %p)
연 도 |
이동자 수(천 명) |
구성비(%) |
|||||||||
계 |
수도권 ↔ 수도권 |
비수도권 → 수도권 |
수도권 → 비수도권 |
비수도권 ↔ 비수도권 |
계 |
수도권 ↔ 수도권 |
비수도권 → 수도권 |
수도권 → 비수도권 |
비수도권↔ 비수도권 |
||
2009 |
8,487 |
4,002 |
525 |
481 |
3,479 |
100 |
47.2 |
6.2 |
5.7 |
41.0 |
|
2010 |
8,227 |
3,856 |
508 |
477 |
3,386 |
100 |
46.9 |
6.2 |
5.8 |
41.2 |
|
2011 |
8,127 |
3,803 |
480 |
489 |
3,355 |
100 |
46.8 |
5.9 |
6.0 |
41.3 |
|
2012 |
7,507 |
3,494 |
475 |
468 |
3,070 |
100 |
46.5 |
6.3 |
6.2 |
40.9 |
|
2013 |
7,412 |
3,430 |
447 |
451 |
3,084 |
100 |
46.3 |
6.0 |
6.1 |
41.6 |
|
2014 |
7,629 |
3,466 |
452 |
473 |
3,239 |
100 |
45.4 |
5.9 |
6.2 |
42.5 |
|
2015 |
7,755 |
3,606 |
450 |
483 |
3,217 |
100 |
46.5 |
5.8 |
6.2 |
41.5 |
|
2016 |
7,378 |
3,468 |
448 |
449 |
3,014 |
100 |
47.0 |
6.1 |
6.1 |
40.8 |
|
2017 |
7,154 |
3,324 |
447 |
431 |
2,953 |
100 |
46.5 |
6.2 |
6.0 |
41.3 |
|
2018 |
7,297 |
3,445 |
470 |
410 |
2,972 |
100 |
47.2 |
6.4 |
5.6 |
40.7 |
|
2019 |
7,104 |
3,312 |
476 |
393 |
2,924 |
100 |
46.6 |
6.7 |
5.5 |
41.2 |
|
전년 대비 |
증 감 |
- 193 |
- 133 |
6 |
- 17 |
- 48 |
- |
- 0.6 |
0.3 |
- 0.1 |
0.4 |
증감률 |
- 2.6 |
- 3.9 |
1.2 |
- 4.2 |
- 1.6 |
[그림 12] 수도권 전입‧전출자 수 추이, 2009~2019
나. 시도별 수도권 순이동
수도권에서 세종‧제주‧강원으로 순유출, 부산‧경남 등은 수도권으로 순유입 |
□ 수도권에서 순유출은 세종(- 4천 명), 제주(- 1천 명), 강원(- 0.2천 명) 3개 시도
□ 수도권으로 순유입은 부산(1만 4천 명), 경남(1만 3천 명) 등 11개 시도
□ 수도권으로 대전, 대구, 부산 등 7개 시도에서 순유입이 증가
○ 수도권에서 제주와 세종으로 순유출 감소
□ 서울은 수도권내 경기, 인천으로의 순유출이 9만 6천 명으로 전년대비 4만 8천 명 감소
□ 경기의 수도권내 순유입은 전년대비 4만 5천 명 감소, 인천은 전년대비 순유출 4천 명 증가
[표 12] 시도별 수도권 인구이동, 2018~2019
(단위: 천 명)
시 도 |
전입(비수도권 → 수도권) |
전출(수도권 → 비수도권) |
순이동(수도권 ↔ 비수도권) |
수도권내 순이동 |
|||||||||
2018 |
2019 |
증감 |
2018 |
2019 |
증감 |
2018 |
2019 |
증감 |
2018 |
2019 |
증감 |
||
수도권(계) |
470 |
476 |
6 |
410 |
393 |
- 17 |
60 |
83 |
23 |
- |
- |
- |
|
서 울 |
194 |
199 |
4 |
161 |
153 |
- 8 |
34 |
46 |
12 |
- 144 |
- 96 |
48 |
|
인 천 |
42 |
43 |
1 |
41 |
41 |
0 |
1 |
2 |
1 |
- 1 |
- 4 |
- 4 |
|
경 기 |
234 |
234 |
0 |
208 |
200 |
- 9 |
25 |
35 |
9 |
145 |
100 |
- 45 |
|
부 산 |
39 |
40 |
0 |
27 |
26 |
- 1 |
12 |
14 |
1 |
- |
- |
- |
|
대 구 |
29 |
30 |
1 |
19 |
18 |
- 1 |
10 |
12 |
2 |
- |
- |
- |
|
광 주 |
24 |
23 |
- 1 |
16 |
16 |
- 1 |
7 |
7 |
0 |
- |
- |
- |
|
대 전 |
32 |
34 |
1 |
27 |
26 |
- 1 |
5 |
7 |
2 |
- |
- |
- |
|
울 산 |
15 |
15 |
0 |
9 |
9 |
- 0 |
6 |
7 |
1 |
- |
- |
- |
|
세 종 |
9 |
10 |
2 |
14 |
14 |
- 0 |
- 5 |
- 4 |
2 |
- |
- |
- |
|
강 원 |
55 |
52 |
- 2 |
52 |
53 |
0 |
2 |
- 0 |
- 3 |
- |
- |
- |
|
충 북 |
38 |
38 |
0 |
41 |
38 |
- 2 |
- 3 |
0 |
3 |
- |
- |
- |
|
충 남 |
60 |
64 |
3 |
66 |
60 |
- 6 |
- 5 |
4 |
9 |
- |
- |
- |
|
전 북 |
38 |
37 |
- 1 |
30 |
28 |
- 2 |
8 |
9 |
1 |
- |
- |
- |
|
전 남 |
34 |
33 |
- 0 |
29 |
28 |
- 0 |
5 |
5 |
- 0 |
- |
- |
- |
|
경 북 |
41 |
41 |
- 0 |
30 |
31 |
1 |
11 |
10 |
- 1 |
- |
- |
- |
|
경 남 |
40 |
40 |
0 |
28 |
27 |
- 1 |
12 |
13 |
1 |
- |
- |
- |
|
제 주 |
17 |
18 |
1 |
23 |
20 |
- 3 |
- 5 |
- 1 |
4 |
- |
- |
- |
주) 순이동 = 각 시도에서 수도권으로 전입 - 수도권에서 각 시도로 전출
[그림 13] 시도별 수도권 순이동, 2019
9. 시군구 인구이동
시군구 순유입률은 인천 중구, 경기 화성시와 경기 하남시 순으로 높음 |
□ 전국 228개* 시군구 중 71개 시군구 순유입, 157개 시군구 순유출 됨.
* 자치시군구 226개 + 행정시 2개(제주, 서귀포)
□ 시군구별 순유입률은 인천 중구(9.8%), 경기 화성시(6.6%), 경기 하남시(6.5%) 순으로 높음.
□ 시군구별 순유출률은 대구 서구(- 4.7%), 울산 중구(- 3.7%), 경기 광명시(- 3.4%) 순으로 높음.
[표 13] 시군구별 순이동률 순위, 2018~2019
(단위: %, 천 명)
2018 |
2019 |
||||||
순유입 상위 10위 |
|||||||
순위 |
시군구 |
순이동률 |
순이동자 수 |
순위 |
시군구 |
순이동률 |
순이동자 수 |
1 |
경기 하남시 |
8.7 |
21 |
1 |
인천 중구 |
9.8 |
12 |
2 |
경기 화성시 |
8.7 |
63 |
2 |
경기 화성시 |
6.6 |
52 |
3 |
경북 예천군 |
8.6 |
4 |
3 |
경기 하남시 |
6.5 |
17 |
4 |
경기 김포시 |
7.2 |
29 |
4 |
인천 연수구 |
5.3 |
19 |
5 |
경기 시흥시 |
6.3 |
27 |
5 |
경기 시흥시 |
5.0 |
23 |
6 |
충북 진천군 |
6.0 |
5 |
6 |
울산 북구 |
4.8 |
10 |
7 |
경기 광주시 |
4.7 |
16 |
7 |
광주 동구 |
4.6 |
4 |
8 |
인천 서구 |
3.9 |
20 |
8 |
부산 강서구 |
4.5 |
6 |
9 |
부산 강서구 |
3.8 |
4 |
9 |
경기 의왕시 |
4.4 |
7 |
10 |
인천 중구 |
3.7 |
4 |
10 |
경북 예천군 |
3.8 |
2 |
순유출 상위 10위 |
|||||||
순위 |
시군구 |
순이동률 |
순이동자 수 |
순위 |
시군구 |
순이동률 |
순이동자 수 |
1 |
강원 고성군 |
- 5.8 |
- 2 |
1 |
대구 서구 |
- 4.7 |
- 8 |
2 |
전북 고창군 |
- 5.1 |
- 3 |
2 |
울산 중구 |
- 3.7 |
- 8 |
3 |
인천 동구 |
- 4.7 |
- 3 |
3 |
경기 광명시 |
- 3.4 |
- 11 |
4 |
대구 서구 |
- 3.7 |
- 7 |
4 |
울산 동구 |
- 3.4 |
- 5 |
5 |
인천 계양구 |
- 3.7 |
- 12 |
5 |
인천 계양구 |
- 3.1 |
- 9 |
6 |
강원 화천군 |
- 3.7 |
- 1 |
6 |
전북 임실군 |
- 3.1 |
- 1 |
7 |
울산 동구 |
- 3.4 |
- 6 |
7 |
강원 양구군 |
- 2.8 |
- 1 |
8 |
인천 부평구 |
- 3.1 |
- 17 |
8 |
서울 성동구 |
- 2.7 |
- 8 |
9 |
울산 중구 |
- 3.0 |
- 7 |
9 |
강원 고성군 |
- 2.7 |
- 1 |
10 |
부산 중구 |
- 3.0 |
- 1 |
10 |
대전 대덕구 |
- 2.7 |
- 5 |
[그림 14] 시군구별 순이동률 및 순유입‧순유출 상위 10개 시군구, 2019
통 계 표
통 계 표
1. 성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 2019
2. 성‧연령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2001- 2019
3. 시도별 이동자 수 추이, 2001- 2019
4. 시도‧성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9
5. 시도 및 성‧연령별 순이동자 수, 2019
6. 시도 전입‧전출지 및 성별 이동자 수, 2019
7. 시도 전입‧전출지 및 성별 순이동자 수, 2019
8. 수도권 이동자 수 추이, 1990- 2019
9. 월별 인구이동 추이, 2017- 2019
10. 시도 및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2019
※ 참고표: 이동건 수(전입신고건 수) 추이, 2001- 2019
부록 |
국내인구이동통계 개요 |
1. 작성목적: 지역별 인구 이동량 및 이동 방향 등을 파악하여 지역간 균형적 국토개발, 교통, 교육, 주택 등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지역별 추계인구 작성에 활용
2. 기초자료: 국민이 거주지를 옮길 때 주민센터에 제출하는 『전입신고서』
3. 법적근거: 통계법 제17조 1항에 의해 승인된 지정통계(승인번호 제101015호)
4. 용어정의
○ 이동현상
- 전입: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해당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 전출: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해당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 순이동: 전입 - 전출
‧순유입(전입초과): 전입이 전출보다 많은 경우
‧순유출(전출초과): 전출이 전입보다 많은 경우
○ 이동경계기준
- 시도간 이동: 시도를 달리하는 이동
- 시도내 이동: 시도는 같으나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시군구간 이동: 시군구를 달리하는 이동
‧시군구내 이동: 시군구는 같으나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 「시」는 9개 도의 자치시이나, 행정시인 제주‧서귀포시는 포함
「구」는 특‧광역시의 자치구로, 수원‧성남‧안양‧안산‧고양‧용인‧청주‧천안 ‧전주‧포항‧창원시의 일반구는 제외
○ 이동률(%)
- 이동률(전입률, 전출률, 순이동률) = |
이동자수(전입자수, 전출자수, 순이동자수) |
× 100 |
|
주민등록연앙인구 |
* 본 보도자료의 이동률은 1992년 이전은 추계인구, 1993년부터는 주민등록인구(2010년 이후 거주불명등록자 제외)를 사용하여 재산출한 결과로 과거 연보에 발표된 수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