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 1. 20.(월) 석간 |
배포 |
2020. 1. 17.(금) |
|||
담당부서 |
기업공시국 |
김원택 팀장(3145- 8090), 김동규 조사역(3145- 8093) |
제 목 : ’19년 ABS 발행 실적 분석
□ ’19년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총액은 51.7조원으로 전년(49.4조원) 대비 2.3조원 증가(+4.7%) ◦ 한국주택금융공사의 MBS 발행 증가(24.8조원→28.1조원, 3.3조원↑) 등에 기인 |
1 |
개 황 |
□ ’19년 자산유동화증권(ABS : Asset- Backed Securities) 발행총액은 51.7조원으로 전년(49.4조원) 대비 2.3조원 증가(+4.7%)
◦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28.1조원(전체의 54.4%)의 MBS*를 발행(전년 24.8조원 대비 3.3조원 증가, +13.3%)
* MBS(Mortgage Backed Securities) :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발행하는 ABS의 일종
◦ 한편, 금융회사는 부실채권(NPL), 할부금융채권* 등을 기초로 13.3조원(전체의 25.7%), 일반기업은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등을 기초로 10.3조원(전체의 19.9%)의 ABS를 발행
* 카드채권, 자동차할부채권, 리스채권
※ ’19년 12월말 기준 ABS 발행잔액은 약 190.8조원*
* 유동화계획시의 만기일을 기준으로 추정(MBS는 주택금융공사 통계 활용)
- 1 -
[ 연도별 ABS 발행추이 ]
(단위: 조원, 건, %)
구 분 |
’17년 |
’18년 |
’19년 |
|
증감률 |
||||
발행금액 |
57.6 |
49.4 |
51.7 |
+4.7 |
발행건수 |
167 |
163 |
153 |
△6.1 |
2 |
’19년 ABS 발행현황 |
□ (자산보유자별) 전년 대비 자산보유자별 ABS 발행액은 공공법인 및 금융회사는 증가, 일반기업은 감소
◦ 한국주택금융공사(공공법인)는 3.3조원 증가(+13.3%)한 28.1조원의 MBS를 발행
◦ 금융회사(은행・여전사・증권 등)는 2.4조원 증가(+22.0%)한 13.3조원의 ABS를 발행
- 은행은 부실채권을 기초로 3.1조원(△0.6조원, △16.2%), 여전사는 할부금융채권을 기초로 7.6조원(+2.6조원, +52.0%), 증권사는 중소기업 발행 회사채를 기초로 P- CBO를 2.6조원(+0.4조원, +18.2%) 발행
◦ 일반기업은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부동산 PF 등을 기초로 3.4조원 감소(△24.8%)한 10.3조원의 ABS를 발행
[ 자산보유자별 발행현황 ] (단위: 조원) |
|
- 2 -
□ (유동화자산별) 유동화자산별로는 전년 대비 대출채권1) 기초 ABS, 매출채권2) 기초 ABS 및 회사채 기초 P- CBO 모두 증가
1) MBS, NPL(감소), SOC 대출채권(감소)
2) 카드채권, 자동차할부채권, 기업매출채권(감소), 부동산 PF(감소)
◦ 대출채권 기초 ABS는 1.8조원 증가(+6.0%)한 31.6조원 발행
- 한국주택금융공사의 MBS 28.1조원(+3.3조원, +13.3%), 부실채권(NPL) 기초 ABS 3.1조원(△0.6조원, △16.2%) 및 SOC 대출채권 기초 ABS 0.4조원(△0.9조원, △69.2%) 발행
◦ 매출채권 기초 ABS는 0.1조원 증가(+0.6%)한 17.5조원 발행
- 카드채권 기초 ABS는 3.9조원(+1.3조원, +50.0%), 자동차할부채권* 기초 ABS는 3.7조원(+1.3조원, +54.2%), 기업매출채권** 기초 ABS는 8.6조원(△2.1조원, △19.6%), 부동산 PF 기초 ABS는 1.3조원(△0.4조원, △23.5%) 발행
* 리스채권 포함
** 단말기할부대금채권, 항공운임채권
◦ 중소기업 회사채를 기초로 한 P- CBO는 0.4조(+18.2%) 증가한 2.6조원 발행
[ 유동화자산별 발행현황 ] (단위: 조원) |
|
- 3 -
3 |
주요 특징 |
한국주택금융공사의 MBS 발행 증가[24.8조원 → 28.1조원(3.3조원↑)] |
◦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한 한국주택금융공사의 MBS 발행은 전년 대비 3.3조원 증가(+13.3%)
- ’19.4분기 중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규 공급과 이에 동반한 기존 보금자리론 이용 증대, 그리고 변화된 예대율* 규제 시행(’20.1.1.)으로 인한 은행의 주금공 앞 주택담보 개인대출 양도 증가에 기인
* 예대율 가중치 조정(가계대출 +15%, 기업대출 △15%)
분기별 MBS 발행 실적
(단위: 조원) |
|||||||||||||||
구분 |
’17년 |
’18년 |
’19년 |
||||||||||||
1Q |
2Q |
3Q |
4Q |
소계 |
1Q |
2Q |
3Q |
4Q |
소계 |
1Q |
2Q |
3Q |
4Q |
소계 |
|
발행금액 |
9.0 |
9.1 |
7.6 |
6.0 |
31.7 |
5.5 |
6.5 |
5.9 |
6.9 |
24.8 |
4.8 |
5.6 |
5.3 |
12.4 |
28.1 |
카드사 할부금융채권 기초 ABS 발행 증가[2.6조원 → 5.0조원(2.4조원↑)] |
◦ 카드사의 할부금융채권* 기초 ABS 발행액은 5.0조원으로 전년 대비 2.4조원 증가(2.6조원→5.0조원, +92.3%)
* 카드채권(3.9조원), 자동차할부채권(1.1조원)
- 카드사가 조달비용 감축* 등을 위해 회사채 발행규모를 줄이고(20.1조원→17.4조원, 2.7조원↓) ABS 발행규모를 늘린데 기인
* ABS는 회사채보다 신용등급이 높아 발행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음
기업매출채권 ABS 발행 감소 [10.7조원 → 8.6조원(2.1조원↓)] |
◦ 기업매출채권 기초 ABS 발행액은 8.6조원으로 전년 대비 2.1조원 감소(10.7조원→8.6조원, △19.6%)
- 이는 통신사의 단말기할부대금채권 ABS 발행 감소(8.9조원→8.1조원) 및 항공사의 항공운임채권 ABS 발행 감소(1.5조원→0.5조원) 등에 기인
붙임)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실적 세부내역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4 -
붙임 |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실적 세부내역 |
1 |
자산보유자별 |
||
(단위: 억원, %)
구 분 |
발행 주체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금융 회사 |
은 행 |
33,577 |
( 5.5) |
35,097 |
(6.1) |
35,942 |
(7.3) |
30,030 |
(5.8) |
증 권 |
23,469 |
( 3.9) |
25,530 |
(4.4) |
21,926 |
(4.4) |
26,188 |
(5.1) |
|
여신 전문 |
95,300 |
(15.7) |
78,307 |
(13.6) |
50,151 |
(10.2) |
76,400 |
(14.8) |
|
상호 저축은행 |
444 |
( 0.1) |
634 |
(0.1) |
330 |
(0.1) |
489 |
(0.1) |
|
기타1) |
210 |
( - ) |
- |
(- ) |
249 |
(0.1) |
218 |
(0.0) |
|
소 계 |
153,000 |
(25.2) |
139,568 |
(24.2) |
108,599 |
(22.0) |
133,325 |
(25.8) |
|
일반기업2) |
100,894 |
(16.6) |
119,157 |
(20.7) |
136,875 |
(27.7) |
103,001 |
(19.9) |
|
공공 법인 |
한국주택 금융공사 |
353,262 |
(58.2) |
317,274 |
(55.1) |
248,484 |
(50.3) |
280,910 |
(54.3) |
소 계 |
353,262 |
(58.2) |
317,274 |
(55.1) |
248,484 |
(50.3) |
280,910 |
(54.3) |
|
총 계 |
607,155 |
(100.0) |
575,999 |
(100.0) |
493,958 |
(100.0) |
517,236 |
(100.0) |
1) 보험사, 농협협동조합자산관리회사, 수산업협동조합
2) 부동산 PF 기초 ABS 및 SOC 대출채권 기초 ABS를 포함
- 5 -
2 |
유동화자산 종류별 |
||
(단위 : 억원, %)
유동화자산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대출채권 |
388,416 |
(64.0) |
370,377 |
(64.3) |
298,987 |
(60.5) |
315,170 |
(60.9) |
|
(주택저당채권) |
353,262 |
(58.2) |
317,274 |
(55.1) |
248,484 |
(50.3) |
280,910 |
(54.3) |
|
(기업 및 개인여신)1) |
35,155 |
(5.8) |
53,103 |
(9.2) |
50,504 |
(10.2) |
34,260 |
(6.6) |
|
매출채권 |
195,270 |
(32.2) |
180,092 |
(31.3) |
173,044 |
(35.1) |
175,878 |
(34.0) |
|
(신용카드매출채권)2) |
22,867 |
(3.8) |
46,014 |
(8.0) |
25,523 |
(5.2) |
38,943 |
(7.5) |
|
(자동차할부채권)3) |
67,028 |
(11.0) |
29,801 |
(5.2) |
23,679 |
(4.8) |
35,592 |
(6.9) |
|
(리스료채권) |
3,945 |
(0.6) |
1,260 |
(0.2) |
360 |
(0.1) |
1,865 |
(0.4) |
|
(팩토링채권)4) |
1,460 |
(0.3) |
- |
( - ) |
- |
(- ) |
- |
(- ) |
|
(부동산 PF) |
13,519 |
(2.3) |
18,180 |
(3.2) |
16,909 |
(3.4) |
13,542 |
(2.6) |
|
(기업매출채권)5) |
86,451 |
(14.2) |
84,837 |
(14.7) |
106,573 |
(21.6) |
85,936 |
(16.6) |
|
증권 |
23,469 |
(3.9) |
25,530 |
(4.4) |
21,926 |
(4.4) |
26,188 |
(5.1) |
|
(채권)6) |
23,469 |
(3.9) |
25,530 |
(4.4) |
21,926 |
(4.4) |
26,188 |
(5.1) |
|
총 계 |
607,155 |
(100.0) |
575,999 |
(100.0) |
493,958 |
(100.0) |
517,236 |
(100.0) |
1) NPL, SOC 대출채권 기초 ABS 포함
2) 카드론 포함
3) 오토론 포함
4) 카드사의 단말기할부대금채권 ABS
5) 단말기할부대금채권, 항공운임채권, 휴대폰소액결제대금채권, 도시가스 판매대금채권 기초 ABS
6) P- CBO의 기초자산이 되는 회사채
- 6 -
3 |
자산보유자 및 유동화자산별 |
||
(단위 : 억원)
유동화자산 |
대출채권 |
매출채권 |
증 권 |
총 계 |
|||||||||
자산보유자 |
NPL |
주택 저당 채권 |
SOC 대출 채권 |
카드 채권 |
자동차 할부 채권 |
리스 채권 |
단말기 할부 대금 채권 |
기타 기업 매출채권 |
부동산 PF |
||||
금융 회사 |
은행 |
30,030 |
30,030 |
||||||||||
증권 |
26,188 |
26,188 |
|||||||||||
신용 카드사 |
|
38,943 |
10,880 |
49,823 |
|||||||||
할부 금융사 |
24,712 |
1,865 |
26,577 |
||||||||||
상호 저축 은행 |
489 |
489 |
|||||||||||
협동 조합 |
218 |
|
|
|
|
|
|
|
|
|
218 |
||
소계 |
30,737 |
- |
- |
38,943 |
35,592 |
1,865 |
- |
- |
- |
26,188 |
133,325 |
||
일반기업 |
|
|
3,523 |
|
|
|
80,936 |
5,000 |
13,542 |
|
103,001 |
||
공공 법인 |
한국 주택 금융 공사 |
|
280,910 |
|
|
|
|
|
|
|
|
280,910 |
|
총 계 |
30,737 |
280,910 |
3,523 |
38,943 |
35,592 |
1,865 |
80,936 |
5,000 |
13,542 |
26,188 |
517,236 |
-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