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두 글자를 쳐보세요 |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 1. 14.(화) 10:30 |
배포 |
2020. 1. 14.(화) |
|||
담당부서 |
핀테크혁신실 |
장경운 실장(3145- 7120), 김용태 부국장(3145- 7125) |
제 목: 은행을 사칭하는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확 줄어든다
(금융감독원의 레그테크・섭테크 혁신③)
※ <참고> 금융감독원의 레그테크・섭테크 혁신 |
- ① 보이스피싱과 대출사기문자, 이제 기술로 잡아낸다 |
- AI(인공지능)가 사모펀드 약관 심사를 지원한다 |
◈ 금융감독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은행권・농/수협중앙회・후후앤컴퍼니와 함께 급증하는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고, 본격 시행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20.1.14. 개최 * 대출사기문자: 수신자를 기망하여 대출을 매개로 수수료 등을 편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송되는 문자 ◈ ’20.1.15.부터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의 발신번호를 은행의 공식 전화번호와 대조하여 스팸문자로 확인된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차단하는 한편, ‘후후앱’을 통해 은행의 공식 발송 문자 여부에 대한 알림도 제공 ◈ 대출사기문자로 인한 피해가 대폭 감소하고, 스팸문자로 인한 불편함도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 |
1 |
배 경 |
□ 최근 금융회사를 사칭하는 대출사기 및 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
* KISA에 신고・탐지된 대출스팸문자: ’17.下 31만건 → ’18.上 45만건 → ’18.下 59만건 → ’19.上 75만건
◦ 대출사기문자로 인한 금융소비자의 피해 가능성뿐만 아니라 스팸문자로 인한 휴대폰 이용자의 불편도 증가
□ 이에 금융감독원과 KISA는 은행권・후후앤컴퍼니와 함께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에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고, 본격 시행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20.1.14.)
- 1 -
2 |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대응 시스템 |
<전체 개요> |
|
① KISA에 신고된 은행 관련 스팸문자 직접 차단 |
|
② 후후앱을 이용한 주의 알림 |
|
- 2 -
가. 개 요 |
□ ’20.1.15.부터 은행이 대고객 문자 발송시 사용하는 전화번호(이하 화이트리스트)를 이용하여 은행 관련 모든 스팸문자에 대응
① (KISA에 신고된 은행 관련 스팸문자*) 스팸문자의 발신번호를 화이트리스트와 대조하여 은행의 발송문자가 아닌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차단
* (참고) 휴대폰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스팸 간편신고 기능’을 이용하여 스팸문자 신고를 하면 해당 스팸문자는 KISA에 집적됨
② (아직 신고・차단되지 않은 은행 관련 스팸문자) 보완수단으로서 ‘후후앱(App)'을 통해 휴대폰 수신문자가 은행의 공식 발송 문자인지 여부에 대한 알림(안내문구)도 제공
나. 시범운영 결과 |
스팸발송 차단효과
◈ 4개 은행 대상 테스트 결과이며, 전 은행 확대 적용시 차단효과는 훨씬 커짐 |
◦ (차단가능 전화번호) 일별 최소 5개에서 최대 50개의 스팸발송 전화번호 차단 가능(월 환산시 150여개에서 1,500여개 차단)
◦ (차단가능 스팸문자) 월 평균 300만건의 스팸문자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
기대 효과
◦ (금융소비자) 대출사기문자로 인한 피해가 대폭 감소하고, 스팸문자로 인한 불편함도 크게 해소되는 등 금융소비자 보호 수준이 보다 두터워질 것으로 기대
◦ (은행 및 IT・보안기업) 은행은 사칭・사기 문자로 인한 불필요한 민원 및 평판하락 위험 감소, IT・보안기업은 자사 프로그램(앱)의 기능 개선・확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
- 3 -
3 |
업무협약식 |
□ ’20.1.14.(화) 금융감독원, KISA, 은행연합회, 농・수협중앙회, 15개 은행, 후후앤컴퍼니는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에 공동협력・대응하기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
◦ 그간의 추진경과 발표, 시범운영 결과 및 스팸발송 전화번호 차단 절차 소개 등과 함께 참여기관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
*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대응 체계는 참여기관이 자율적 의사에 의해 공동협력・대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각 참여기관의 역할 등에 대한 협약 필요
◦ 아울러, 참석자들은 금융범죄 집단과의 지속적인 싸움 의지를 천명하는 한편, 민원 및 평판하락 위험 감소 등의 효과에 대해서도 큰 기대를 표명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근절을 위한 업무협약식」 개요 ▪ (일시 및 장소) ’20.1.14.(화) 10:30~11:30 / 금융감독원 2층 대강당 ▪ (참여 기관) 금융감독원, KISA, 은행연합회, 농・수협중앙회, 15개 은행, 후후앤컴퍼니 ※ 기관장 참석(16개 기관): 금융감독원, KISA, 은행연합회, KB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 Sh수협은행, BNK부산은행, DGB대구은행, BNK경남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후후앤컴퍼니 대참(5개 기관): 농협중앙회, 수협중앙회, IBK기업은행, 한국씨티은행, 전북은행
|
- 4 -
4 |
향후 계획 |
□ 저축은행, 캐피탈 등을 사칭하는 문자도 많으므로 은행권 적용 안착 후 전 금융권으로 신속히 확대하고,
※ 한 곳(은행)을 누르면 다른 곳(저축은행, 캐피탈 등)이 팽창하는 풍선효과를 감안하면 전 금융권 확대는 필수적
◦ 고도화된 AI 알고리즘과의 접목 등을 통해 지능화되는 금융범죄에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
□ 아울러, 범 정부・관계기관 합동 「보이스피싱 종합대책」(’18.12월 금융위)과 연계하여 보이스피싱・대출사기문자에 대해 보다 다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추진해나갈 예정
5 |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
□ 은행은 고객의 사전 동의 없이 불특정 다수에 대해 대출을 유도하는 광고문자를 발송하지 않음
◦ 동의하지 않은 대출광고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휴대폰의 ‘스팸 간편신고 기능’을 통해 적극 신고하여 주시기 바람
<참고> 휴대폰 내 「스팸 간편신고 기능」
* 휴대폰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5 -
붙 임 |
은행사칭 대출사기・불법대출광고 스팸문자 예시 |
|
|
|
|
|
|
|
|
|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