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 1. 8 (수, 조간) |
배포 |
2020. 1. 7 (화) |
|||
담당부서 |
유가증권시장본부 증권상품시장부 |
문의 |
김홍주 팀장(02- 3774- 9380) 김진호 과장(02- 3774- 9381) |
제 목 : 2019 ETF시장 동향 및 주요 특징 분석
(시장규모) 순자산총액이 50조원을 돌파(’19.12.23일)하고 상장종목수가 450종목을 기록하는 등 역대 최고 실적 달성 【 ETF시장 순자산총액 및 상장 종목수 추이 】 (단위 : 억원, 개)
ㅇ (순자산총액) 51.7조원으로 시장을 마감하여 전년말 41.0조원 대비 순자산총액이 26.1% 증가 - 기관투자자 선호 순자산총액 1천억원 이상의 대형 ETF는 62종목으로 전년말(53종목) 대비 9종목 증가 - 순자산총액 1위 종목은 ‘KODEX 200(9.3조원)’으로 ETF시장 전체 순자산총액의 18%를 차지 【 순자산총액 상위종목 】 (단위 : 억원, %)
ㅇ (상장종목수) 48종목이 새롭게 상장(상장폐지 11종목)되어 전체 종목수는 450종목을 기록 - 국내형 35개, 해외형 13개 종목이 신규 상장되었으며, 유형별로는 주식형 30개, 채권형 8개, 혼합자산‧원자재 8개등 이었음 - 전체 상장 종목수는 450개(국내형 335개, 해외형 115개)로 다양한 투자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 라인업을 구축 【 상품 유형별 라인업 현황 (총 450종목) 】
* 해외형(국내&해외지수 ETF를 포함) ㅇ (자금유입) ‘19년 추가 설정(신규상장 8,582억 포함)을 통해 시장으로 신규 유입된 자금은 6.7조원을 기록 - 자금유입 1위 종목은 ‘KODEX 200’으로 1.3조원이 신규 유입되었으며, ‘TIGER 200’이 1.1조원으로 2위를 기록 【 자금유입 상위종목 현황 】 (단위 : 억원)
(거래현황) 주식시장 전반의 거래부진 영향으로 ETF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1.33조원)은 전년말 대비 8.8% 감소* * 코스피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3.8%감소 (‘18년 6.5조원 → ‘19년 5조원) ㅇ (거래대금 상위종목) 일평균 거래대금 100억원 이상 고유동성 ETF는 15종목으로 전년(16종목) 대비 1종목 감소 - 일평균 거래대금 1위 종목은 ‘KODEX 레버리지(2,064억원)’로 ETF시장 전체 일평균거래대금의 15.3%를 차지 【 일평균거래대금 상위종목 현황 】 (단위 : 억원, %)
ㅇ (투자자별 거래동향) 투자주체별 거래비중은 개인 38.6%, 기관 32.7%, 외국인 28.7%로 균형잡힌 시장의 모습을 보임 - KOSPI시장 대비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높고,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 【 투자자별 거래대금 및 비중 현황】 (단위 : 억원, %)
* LP(유동성공급자) 포함 (수익률 현황) ETF 종목의 평균수익률은 6.54%로 상승종목(259종목)이 하락종목(143종목) 보다 많았음 ㅇ 특히, 국내주식형 ETF 평균수익률(7.83%)은 다양한 상품의 상장을 바탕으로 KOSPI 지수(7.67%)를 0.16%p 상회 【 ETF시장 연간 수익률 현황 】 (단위 : 개, %)
* ‘19년 ETF 전종목 연간 수익률(단, ’19.1.1 이후 상장종목은 산출에서 제외) ㅇ 종목별 수익률은 상반기 중국증시 상승에 힘입어 ’TIGER 차이나 CSI300 레버리지(합성)‘가 79.8%의 수익률로 1위를 차지 【 수익률 상위종목 현황 】 (단위 : %)
- 수익률 상위 5종목 모두 해외 시장대표(CSI 300, S&P 500 등) 지수를 추종하는 ETF(레버리지 4종목)가 차지 ㅇ 수익률 하위 1위는 ‘KODEX WTI 원유선물 인버스(H)’로 - 32.7%의 수익률을 기록 【 수익률 하위종목 현황 】 (단위 : %)
□ (순자산총액 최고치 경신) 지속적인 신상품 공급 및 최근의 국내 주가지수 상승 등에 힘입어 순자산총액이 50조원을 돌파 ㅇ ‘19년 51.7조원으로 시장을 마감하여 ‘02년 시장개설 당시 3,444억원 대비 17년만에 순자산 총액이 150배 이상 성장 ㅇ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국내 ETF시장의 순자산 총액 비율(2.8%)은 해외 주요시장(미국 11.7% 등)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으로 향후 한국 ETF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큰 상황 【 주요 국가별 주식시장 시총대비 ETF 순자산총액 비중 】 (단위 : 100만 USD, %)
* ‘19.11월말 기준(출처 : ETFGI, WFE) □ (인컴형 상품 상장 활성화) 저금리 기조 지속,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인컴형 ETF상품’ 상장이 활성화 ㅇ 채권이자, 배당금, 부동산 임대수익 등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현금수익을 기반으로 설계된 인컴형 ETF 상장이 활발하게 진행 【 ‘19년 상장 주요 인컴형 ETF 】
□ (인컴형 상품 상장 확대) 투자자들이 ETF를 자산관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인컴형 상품’을 지속적으로 공급 ㅇ 국내외 리츠, 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 공급을 확대하여 투자자들의 안정적인 수익 실현에 도움 □ (해외형 ETF 투자환경 개선) 투자자들의 해외 직접투자 수요를 국내로 흡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글로벌 상품 공급 추진 ㅇ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ESG, 원자재 등과 연동된 ETF를 신규 상장하여 해외 상품라인업 강화 ㅇ 아울러, 해외 직접투자와 비교하여 국내 상장 ETF에 적용되고 있는 불평등한 과세체계* 개선을 위해 정부당국과 지속 협의 예정 * 해외거래소에 상장된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 손익통산·기본공제(250만원) 적용 및 종합소득세 비대상
□ (글로벌 순위) 상장종목수 기준 글로벌 6위(아시아 1위), 순자산총액기준 11위, 일평균거래대금 7위를 기록(‘19.11월말 기준) 【 글로벌 ETF 시장 순위 현황 】 (단위 : 100만 USD, 개)
* ‘19.11월말 기준(출처 : ETFGI) □ (시장규모 성장세) 한국 ETF시장은 글로벌시장과 성장추세가 유사(동조화)하나, 연평균성장률은 한국시장이 글로벌 대비 높은 수준* * 최근 10년간(‘10년~’19.11) 연평균성장률 : 글로벌 19.6%, 한국 30% 【 글로벌·KRX ETF시장 순자산총액 추이 비교 】 (단위 : 10억 USD)
* ‘19.11월 기준(출처 : ETFGI)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