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
||||||||
보도 |
‘19.12.23(조간) |
배포 |
‘19. 12. 20(금) |
|||||
담당부서 |
코스닥시장본부 기술기업상장부 |
문의 |
안현수 팀장(02- 3774- 9640) 윤성원 대리(02- 3774- 9643) |
제 목 : 2019년도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현황 및 주요 특징
Ⅰ |
'19년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현황 |
□ (신규상장 활성화) ‘19년 신규상장기업수는 108사로 ’02년 이후 2위 기록
ㅇ 기술특례기업수는 22사로 기술특례제도 도입(‘05년) 이후 역대 최다*
* (‘15년) 12사 → (‘16년) 10사 → (‘17년) 7사 → (‘18년) 21사 → (‘19년) 22사
연도별 코스닥 신규상장 현황(단위 : 사) |
□ (공모금액 증가) ‘19년 공모금액은 약 2.6조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
ㅇ 에코프로비엠(1,728억원), SNK(1,697억원) 등 대형공모기업*의 자금조달에 기인
* 공모 1,000억원 이상 기업수 : (‘16년) 4사 → (‘17년) 6사 → (‘18년) 1사 → (‘19년) 5사
연도별 코스닥 공모금액 현황(단위 : 조원) |
주) ‘17년에는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공모금액이 1조원에 달해 총 공모금액 급증
- 1 -
Ⅱ |
‘19년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주요특징 |
(기술특례 역대최다) 기술특례기업수는 22사로 제도 도입(‘05년) 이후 역대 최다치를 기록
연도별 코스닥 기술특례 신규상장 현황(단위 : 사)
|
ㅇ 非바이오 기업의 기술특례 상장이 증가하여, 기술특례 업종의 다변화 지속
업종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바이오 |
1 |
10 |
9 |
5 |
16 |
14 |
비바이오 |
1 |
2 |
1 |
2 |
5 |
8 |
ㅇ 기술특례 상장을 위한 사전단계인 기술평가*를 신청한 기업수는 48사로, 지속적으로 증가 ⇒ 향후에도 기술특례 상장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전문평가기관 평가등급이 일정 수준(A & BBB) 이상일 경우 기술특례 청구 가능
** (‘15년) 29사 → (‘16년) 33사 → (‘17년) 26사 → (‘18년) 36사 → (‘19년) 48사
(상장트랙 다변화) 기존 기술평가트랙 이외에 다양한 유형의 특례상장*기업 증가로, 코스닥 상장 트랙 다변화 정착
* ‘17.1월 주관사 성장성추천, 이익미실현, 사업모델 트랙 도입, ’17년에는 상장 실적 없음
최근 코스닥시장 상장트랙 다변화 현황
|
ㅇ (사업모델 기반기업) ‘19년 2사가 최초 신규상장되었으며, 사업모델 트랙을 통해 컨텐츠, 공유경제 등 新유형 기업들의 원활한 자금조달 가능
(1호) 플리토(19.7월 상장) : 인공지능번역, 아케이드, 전문번역 중개 등 서비스 운영 플랫폼 보유 기업으로, 최근 연평균 60%의 매출액 성장세 기록 (2호) 캐리소프트(19.10월 상장) : 키즈 콘텐츠 IP(Intellectual Property)를 기반으로 자체 기획‧ 제작한 콘텐츠(동영상, 애니메이션, 음악) 서비스 기업으로, 유튜브 구독자수 약 380만명 확보 |
- 2 -
ㅇ (주관사 성장성추천 기업) ‘18년 1사(셀리버리) 신규상장 이후 ’19년 5사*가 신규상장되어 특례상장의 주요 트랙**으로 정착
(2호) 라닉스, (3호) 올리패스, (4호) 라파스, (5호) 신테카바이오, (6호) 브릿지바이오 |
** ‘19년 기술특례 신규상장기업(22사) 중 23% 비중 차지
- 셀리버리(‘18.11월 상장)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으로 ’19년 성장성추천 트랙에 대한 수요 증가
* 공모자금 285억원 조달, 공모가(25,000원) 대비 약 125% 주가 상승(‘19.12.18일 기준)
ㅇ (이익미실현 기업) 카페24(‘18.2월)가 최초상장한 이후 ‘19년 2사*가 신규상장되어, 혁신 기업 지원을 위한 미래 성장성 중심의 상장정책 기조 정착
(2호) 제테마, (3호) 리메드 |
※ 상장트랙 다변화 관련 제도 개요 □ 미래 성장성이 높은 혁신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성장잠재력 중심의 심사기조 마련 및 진입요건 확대(‘17.1월) ① 사업모델 기반기업 : 지식 기반의 경쟁력 있는 독자적 사업모델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기술평가를 거쳐 기술특례상장 가능 ② 성장성추천 기업 : 상장주관사가 성장성이 있음을 인정하여 추천하는 기업에 대해 기술특례상장을 허용 ③ 이익미실현 기업 : 이익이 없더라도 일정수준의 시가총액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은 상장이 가능하도록 진입요건 마련 |
(소재·부품·장비 기업 최초상장) ‘19.9월 시행한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상장지원방안”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기업 최초 상장
ㅇ 메탈라이프(반도체 통신용 패키지 제조기업)가 12.24일 상장 예정이며, 그 외 3사(서남, 서울바이오시스, 레이크머티리얼즈)가 공모절차 진행중
【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상장지원방안 】
소부장 기업 심사우대 |
상장예비심사 기간 대폭 단축(45영업일→30영업일 이내) |
기술평가 부담 완화 |
기술특례상장 요건 적용시 평가기관 등급 요건 완화 (기존 2개 평가기관 A & BBB 이상 → 1개 평가기관 A 이상) |
- 3 -
(코넥스→코스닥 이전상장 활성화 지속) 이전상장 기업수는 전년에 이어 코넥스시장 개설(’13.7월) 이후 가장 많은 12사 기록
ㅇ 이전상장을 통한 성장사다리 체계 활성화로 성장성을 갖춘 중소벤처혁신기업의 자금조달 기회 확대 지속
【 연도별 이전상장 현황(단위 : 사) 】
구 분 |
'14 |
'15 |
'16 |
'17 |
'18 |
'19 |
이전상장기업수 |
6 |
8 |
11 |
7 |
12 |
12 |
Ⅲ |
향후 상장정책 |
□ 코스닥시장은 향후에도 성장잠재력이 높은 우량 기술기업이 코스닥 상장을 통해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상장활성화 정책을 지속할 예정
ㅇ 특히, 기술평가 등을 통해 기술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은 기업이 원활하게 상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
붙임 |
코스닥시장 상장 관련 주요통계 |
코스닥 신규상장 현황
구 분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일반기업 |
70 |
56 |
67 |
38 |
55 |
58 |
61 |
26 |
38 |
43 |
77 |
70 |
79 |
81 |
78 |
(기술특례) |
(2) |
(1) |
- |
- |
(3) |
- |
(3) |
- |
(4) |
(2) |
(12) |
(10) |
(7) |
(21) |
(22) |
SPAC |
- |
- |
- |
- |
- |
18 |
1 |
- |
2 |
26 |
45 |
12 |
20 |
20 |
30 |
합 계 |
70 |
56 |
67 |
38 |
55 |
76 |
62 |
26 |
40 |
69 |
122 |
82 |
99 |
101 |
108 |
기술특례 신규상장 현황
구 분 |
'14 |
'15 |
'16 |
'17 |
'18 |
'19(E) |
상장기업수 |
2 |
12 |
10 |
7 |
21 |
22 |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