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19.11.11.(월) 10:00 |
배포 |
2019. 11. 11.(월) |
|||
담당부서 |
금융감독원 |
정제용 팀장 (02- 3145- 8010) |
김보성 수석 (02- 3145- 8011) 윤찬송 조사역 (02- 3145- 8014) |
|||
금융결제원 |
조병대 팀장 (02- 531- 1720) |
김민수 계장 (02- 531- 1723) |
||||
서민금융진흥원 |
김금석 부장 (02- 2128- 8035) |
윤준호 과장 (02- 2128- 8041) |
||||
한국예탁결제원 |
고정재 팀장 (02- 3774- 3540) 권오훈 팀장 (02- 3774- 3275) |
문재원 주임 (02- 3774- 3209) 이장순 차장 (02- 3774- 3238) |
||||
전국은행연합회 |
유문선 부장 (02- 3705- 5326) |
김윤진 팀장 (02- 3705- 5336) |
||||
금융투자협회 |
이승정 부장 (02- 2003- 9420) |
윤상준 과장 (02- 2003- 9421) |
||||
생명보험협회 |
최종윤 부장 (02- 2262- 6614) |
김관철 팀장 (02- 2262- 6643) |
||||
손해보험협회 |
최종수 부장 (02- 3702- 8670) |
박승호 팀장 (02- 3702- 8652) |
||||
저축은행중앙회 |
정성문 부장 (02- 397- 8640) |
최성준 조사역 (02- 397- 8644) |
||||
신협중앙회 |
오윤록 부장 (042- 720- 1360) |
김영하 팀장 (042- 720- 1335) |
||||
농협중앙회 |
윤종기 부장 (02- 2080- 3200) |
김정룡 팀장 (02- 2080- 2313) |
||||
수협중앙회 |
민봉식 부장 (02- 2240- 2200) |
김용관 팀장 (02- 2240- 2228) |
||||
산림조합중앙회 |
김인철 부장 (02- 3434- 7220) |
김경희 팀장 (02- 3434- 7221) |
||||
새마을금고중앙회 |
조재범 부장 (02- 2145- 9220) |
박지현 과장 (02- 2145- 9226) |
제 목 : 소확행을 누리세요!
全 금융권 공동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실시
❑ ‘19.11.11.(월)~12.20.(금) 6주간 금감원과 全 금융권 공동으로 캠페인 실시 ◦ 금융회사별로 숨은 금융자산 보유 개별 고객에게 SMS∙이메일 등으로 찾는 방법을 안내하고 포스터, 홍보 동영상 등 對국민 홍보 병행 ❑ 잠자고 있는 금융재산 9.5조원을 찾고, 불필요한 계좌도 정리 가능 ◦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 포털 「파인(fine.fss.or.kr)」이나 금융결제원 「계좌통합관리서비스」 등을 통하면 全 금융권에 있는 본인 명의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및 휴면금융재산을 쉽게 조회하고 찾을 수 있음 |
- 1 -
Ⅰ. 추진 배경 |
□ 금융감독원과 금융권은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 등을 지속 추진하여 ‘15.6월 이후 약 2.3조원을 환급한 바 있으나,
◦ 아직도 금융소비자들이 잊어버리고 장기간 찾아가지 않은 숨은 금융자산이 ‘19.6월말 현재 9.5조원(휴면금융재산 1.2조원, 장기미거래금융재산 8.3조원), 약 2억개 계좌에 이르고 있음
- 상품별로는 예·적금 5.0조원, 보험금 4.1조원, 증권 0.3조원, 신탁 0.1조원 順
휴면금융재산 및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현황 (‘19.6월말 기준)
(단위 : 억원)
구 분 |
계 |
휴면금융재산1) |
장기미거래금융재산1) |
||||
잔 액 |
(비중) |
잔 액 |
(비중) |
잔 액 |
(비중) |
||
예·적금 |
은 행 |
36,713 |
(38.6%) |
1,633 |
(13.8%) |
35,080 |
(42.1%) |
저축은행 |
745 |
(0.8%) |
240 |
(2.0%) |
505 |
(0.6%) |
|
상호금융 |
12,471 |
(13.1%) |
1,026 |
(8.7%) |
11,445 |
(13.7%) |
|
보험금 |
41,456 |
(43.6%) |
5,219 |
(44.2%) |
36,237 |
(43.5%) |
|
신 탁 |
1,158 |
(1.2%) |
1,044 |
(8.9%) |
114 |
(0.1%) |
|
증 권 (휴면성증권, 미수령주식, 배당금) |
2,633 |
(2.8%) |
2,633 |
(22.4%) |
- |
- |
|
총 계 |
95,176 |
(100%) |
11,795 |
(100%) |
83,381 |
(100%) |
주 1) 휴면금융재산 및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정의는 3p 캠페인 대상 금융상품 현황 참조
□ ‘19.9월 금감원은 금융결제원과 공동으로 개인이 보유한 全 금융권(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 증권사, 보험, 카드 등)의 내 계좌를 일괄 조회하고,
불필요한 계좌는 해지하여 정리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인「계좌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 완료하여 '숨은 금융자산’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 인프라를 크게 확충하였으며
◦ 금년에는 금융협회와 공동으로 휴면금융재산 등의 신규 발생 예방 및 감축에 효과적인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금융회사에 전파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
⇒ 금융소비자가 소중한 금융자산을 쉽게 조회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全 금융권과 함께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을 추진 |
- 2 -
Ⅱ. 캠페인 실시 계획 |
1 |
개 요 |
□ (주관)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금융협회(은행연합회 등 5개 금융협회 및 상호금융중앙회) 공동 주관
◦ 특히, 금번 캠페인부터 휴면금융재산을 관리하는 서민금융진흥원이 참여*하여, 휴면예금·보험금 찾기 실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
* 금융소비자가 휴면금융재산을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계좌통합관리서비스」에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예금 조회사이트(sleepmoney.kinfa.or.kr)를 링크
□ (대상 상품) 예금, 보험금, 증권(휴면성증권, 미수령주식, 실기주과실), 신탁 등 全 금융권역에 걸쳐 금융소비자가 보유 중인 상품
캠페인 대상 금융상품 및 참여 기관
휴면금융재산 |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
참여 기관 |
|
휴면예금 은행의 요구불예금‧저축성예금 중 청구권 소멸시효(5년*)가 완성된 이후에 찾아가지 않은 예금 * 상호금융 조합원 및 금고회원의 경우 10년 |
3년 이상 미거래 중인 예·적금 보험금 신탁 (휴면성신탁 포함) |
서민금융 진흥원 |
은행 연합회 |
저축은행중앙회 |
|||
상호금융중앙회 |
|||
휴면보험금 보험계약 실효·해약(만기) 후 2년(2015.3.12. 이후 3년)이 경과된 해약환급금(만기보험금) |
생·손보협회 |
||
금융투자협회 |
|||
휴면성증권 6개월간 매매‧입출금이 없는 예탁자산 평가액 10만원 이하 계좌 |
|||
미수령주식(배당금) 주식 실물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에게 증자·배당 등이 발생했으나, 찾아가지 않은 주식배당금 |
한국 예탁결제원 |
||
실기주과실 투자자가 증권회사로부터 실물주권을 찾아간 후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주식으로부터 발생한 배당금 및 배당주식 |
□ (시기) ‘19년 11.11일부터 12.20일까지 6주간 실시 예정
□ (주요 내용) 금융회사별 대고객 개별 안내 및 全 국민 대상 홍보를 병행하고, 조회 및 환급 방법을 집중 안내할 예정
- 3 -
① 對고객 개별 안내 |
- 금융회사는 일정금액 이상 휴면금융재산 등을 보유하고 있는 개별고객에게 SMS, 이메일 등으로 보유사실 및 찾는 방법을 안내*
* 압류‧지급정지 등 환급 불가능 계좌 및 비용대비 효과가 낮은 소액 계좌 등 제외
② 對국민 홍보 |
- 全 국민 대상 미사용계좌 현황 및 계좌정리 절차 등을 안내하는 홍보동영상, 포스터, 안내장 등을 제작하여 홍보 강화
∙ (동영상) 금융회사 객장 모니터 및 ATM 등에 동영상을 통해 숨은 금융자산 주인 찾아주기를 홍보
∙ (포스터‧안내장) 금융회사 홈페이지, 영업점 등에 게시*하여 숨은 금융자산 종류별 조회‧환급방법 안내
* 전국 지방자치단체, 금융회사 영업점 등에 약 3만 장의 포스터를 부착하고, 500여 개의 입간판(배너)을 설치할 예정
③ 지역별 홍보 |
- 금감원 10개 지원은 금융회사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홍보 동영상 상영, 포스터 부착, 가두캠페인 등 홍보 강화
☞ 지원별 캠페인 세부 추진 계획은 11p <붙임3> 참조
- 금감원 사랑방버스가 지역을 순회하며 금융교육 및 캠페인 홍보 실시 예정
캠페인 기간 중 사랑방버스 운행 계획
11.14.(목) |
11.28.(목) |
11.29.(금) |
12.12.(목) |
12.13.(금) |
충북 진천군청 |
전남 순천시청 |
전남 화순군청 |
충남 예산군청 |
충남 논산시청 |
- 4 -
2 |
온라인을 통한 「숨은 금융자산」 종류별 조회 방식 |
☑ 금융소비자는 인터넷, 모바일을 통해서 쉽게 조회할 수 있으므로 숨은 금융재산을 먼저 조회한 후 환급 신청 하는 것이 편리
|
가. 금융소비자정보 포털「파인」을 통한 조회
□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 포털「파인」홈페이지(fine.fss.or.kr)에서는 모든 금융권의 ①휴면금융재산(“잠자는 내 돈 찾기”), ②장기미거래금융재산(“내계좌한눈에*”) 모두 조회 가능
*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별칭(別稱)
「파인」 홈페이지에서 「숨은 금융재산」을 찾는 방법
|
|
|
|
- 5 -
나. 휴면 금융재산 조회
□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 잔액은 은행연합회의 「휴면계좌통합조회시스템(슬립머니)」에서 조회* 가능
* 은행, 우체국, 보험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보유 중인 휴면금융재산 대상
(단,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 휴면예금은 저축은행중앙회 및 각 상호금융중앙회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 휴면성증권은 금융투자협회의「휴면성증권계좌 조회시스템」,
◦ 미수령주식(배당금)은 한국예탁결제원 등 명의개서 대행기관(한국예탁결제원, 국민은행, KEB하나은행) 홈페이지,
◦ 실기주과실(果實)은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에서 각각 조회 가능
다.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조회
□ 금융결제원「계좌통합관리서비스」에서 본인 명의 모든 계좌* 잔액을 한 번에 조회 가능
* 대상계좌 : 수시입출식 예금, 정기 예·적금, 신탁, 증권사 투자자예탁금 계좌 (휴면성신탁 포함)
◦ 특히, 1년 이상 장기미거래 중이고 잔액이 50만원 이하인 소액비활동성 계좌는 계좌통합관리서비스에서 즉시 본인의 다른 계좌로 이체 후 해지 가능
「숨은 금융자산」 온라인 조회방식
조회 대상 |
구 분 |
사이트 명 |
|
모든 숨은 금융재산 |
금융소비자정보 포털 「파인」 |
fine.fss.or.kr |
|
휴면 금융재산 |
|||
휴면예금∙휴면보험금 |
은행연합회 「휴면계좌통합조회시스템」 |
www.sleepmoney.or.kr |
|
휴면성증권 |
금융투자협회 「휴면성증권계좌조회시스템」 |
www.kofia.or.kr |
|
미수령주식 |
명의개서 대행기관 홈페이지 |
한국예탁결제원, 국민은행, KEB하나은행 홈페이지 |
|
실기주과실 |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 |
www.ksd.or.kr |
|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
금융결제원 「계좌통합관리서비스」 |
www.accountinfo.or.kr |
☞ 숨은 금융자산 종류별 조회 및 환급방법(세부내용)은 9p <붙임 2> 참조
- 6 -
3 |
캠페인 오프닝 행사 |
□ 금융감독원과 금융결제원 등 캠페인 공동 주관기관은 ‘19.11.11.(월) 오전 10시부터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캠페인 오프닝행사를 실시하였음
◦ 이 날 행사에서는 민병두 정무위원장, 캠페인 주관 기관장, 금융회사 임직원 등 약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캠페인 실시 개요 발표(금감원), 「계좌통합관리서비스」 시연(금융결제원), 휴면금융재산 관리 우수사례 소개(대구은행, 신한생명) 및 공동주관 기관 간 「숨은 금융자산 찾기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음
◦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이 날 행사에서
금번은 全 금융권이 모두 참여하는 첫 번째 캠페인으로,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통해 9.5조원의 숨은 금융자산이 크게 감축되기를 기대하였음
◦ 민병두 정무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고령층, 자영업자 등 금융거래에 취약한 금융소비자의 숨은 금융자산 찾기에도 관심을 가져 줄 것을 당부
Ⅲ. 기대 효과 |
□ 국민들은 본인의 소중한 금융재산을 보다 쉽게 찾아 생활자금(☞소확행) 등에 활용할 수 있고,
◦ 금융회사도 국민의 금융재산을 잊지 않고 찾아줌으로써 금융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 본 자료를 인용하여 보도할 경우에는 출처를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fss.or.kr)
- 7 -
붙임 1 |
「숨은 금융자산」 환급 사례 |
◈ 채무상담을 받으러 온 A씨는 휴면보험금 등을 찾아 채무를 상환
채무상담을 위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한 A씨(77세, 무직)는 상담 도중상담직원의 권유로 휴면예금 찾아줌 사이트를 접속하여 총 3건, 약 560만원의 휴면보험금과 휴면예금을 조회 A씨는 “이 돈으로 대출금을 상환하고 생활비에도 보탤 수 있게 됐다”며 채무상담직원에게 감사 |
◈ 프랑스 거주 중인 B씨는 미수령 주식을 교부받음
프랑스에 거주중인 B씨(39세, 사업가)는 이민 후 잊고 있었던 주식을 숨은 금융자산찾기 캠페인 기간에 그 존재를 확인하고 교부받음. 한국에 잠시 방문한 B씨는 명의개서대행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 내방하여 주식 보유사실을 확인한 후, 약 13만주의 주식을 찾을 수 있었음. |
◈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C씨는 휴면예금을 찾아 학원비로 사용
C씨(24세, 공무원 준비생)는 고등학교 2학년 때 전학을 하면서 1학년 초에 학교에서 일괄로 가입하여 매월 3만원씩 납입하던 3년 만기 장학적금 통장을 깜박 잊고 해지를 하지 못했음 대학교 졸업 후 공무원 임용시험을 준비하던 중 주거래 은행의 모바일 앱의 알림톡을 확인하고 은행에 문의한 결과 60만원의 휴면예금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학원비와 교재 구입비로 사용함 |
◈ D씨는 장기 미거래 예금을 찾아 가족여행 경비로 사용
D씨(43세)는 3년 전 주거래 은행을 변경하면서 기존 거래 은행에서 자동이체 등을 위해 개설한 수시입출금식 예금계좌가 남아있다는 사실을 잊고 지냄 기존 거래 은행으로부터 안내 문자를 받은 후 금융소비자 포털 파인을 통해 「내계좌 한눈에」에 접속하여 조회한 결과 48만원의 잔액이 있음을 발견하여 계좌를 해지 후 주거래 은행의 계좌로 잔액을 이체하여 휴가시즌에 가족여행 경비로 사용함 |
- 8 -
붙임 2 |
숨은 금융재산 종류별 조회 및 환급 방식(세부내용) |
1. 장기미거래재산
◦ (조회) 「계좌통합관리서비스」(www.accountinfo.or.kr)를 통해 본인의 예·적금, 신탁(휴면성신탁 포함), 증권사 투자자예탁금계좌 조회 가능
▪ 계좌통합관리서비스(accountinfo.or.kr) 접속 → ① 내계좌한눈에 → 은행권, 제2금융권, 증권사 중 택일 → ② 내카드한눈에 → 카드정보조회, 포인트조회 중 택일 → ③ 금융정보조회 → 보험가입정보조회, 대출정보조회 중 택일 ☞ 본인인증 등을 거쳐 필요한 정보 조회 |
* 단, 장기미거래보험금의 경우 「내보험 찾아줌」(http://cont.insure.or.kr)에서 조회 가능
◦ (환급) 은행 등 해당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을 통해서 찾을 수 있고,
1년 이상 입출금거래가 없고 50만원 이하 금액은 「계좌통합관리서비스」에서 즉시 본인의 다른 계좌로 이체*하고 해지 가능**
* 신탁은 불특정금전신탁만 환급 가능하고, 투자자예탁금은 주식 등 투자재산 없이 예탁금만 보유한 계좌만 시스템을 통해 환급 가능
** 압류 등으로 지급정지 되어 있는 경우 일부 환급 제한 가능 (이하 동일)
2. 휴면 금융재산
□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
◦ (조회) 은행연합회의 「휴면계좌통합조회시스템」에서 본인의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 잔액 조회 가능
- 은행, 우체국, 보험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보유한 휴면계좌 대상
▪ 휴면계좌통합조회시스템에 접속(sleepmoney.or.kr) ☞ 본인 인증 후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 계좌 조회 |
◦ (환급) 은행 등 해당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서 찾을 수 있고, 소액(50만원 이하)인 경우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찾을 수 있음
- 9 -
<참고> 저축은행·상호금융 휴면예금 조회 및 환급방법 |
||||||||||||||||
|
□ 휴면성 증권
◦ (조회) 금융투자협회의 「휴면성증권계좌 조회시스템」또는 거래 증권회사 홈페이지, HTS, MTS*에서 조회 가능
* 홈트레이딩시스템(Home Trading System),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obile Trading System)
▪ 금융투자협회 접속(kofia.or.kr) → 투자자지원센터 → 휴면성증권계좌 조회 ☞ 증권회사별 휴면성증권 계좌 조회시스템이 바로 링크되어 있어 접속 후 확인 |
◦ (환급) 해당 증권회사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거래 증권회사 홈페이지, HTS, MTS를 통해서 환급 가능
□ 미수령주식(또는 배당금)
◦ (조회) 한국예탁결제원 등 명의개서대행기관(한국예탁결제원, 국민은행, KEB하나은행)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 한국예탁결제원 접속(ksd.or.kr) → e서비스 → 주식 찾기 ▪ KB국민은행 접속(www.kbstar.com) → 기업 → 기업서비스 → 증권대행업무 → 주식찾기 ▪ KEB하나은행 접속(www.hanabank.com) → 거래중지/휴면계좌 조회 → 주식찾기 ☞ 본인인증 등을 거친 후 주식 조회서비스 이용 후 확인 |
◦ (환급) 해당 명의개서 대행기관 영업점을 방문하면 환급 가능
□ 실기주 과실(果實)
◦ (조회) 한국예탁결제원 홈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 한국예탁결제원 접속(ksd.or.kr) → e서비스 → 실기주과실 조회서비스 ☞ 해당 주권의 발행회사, 주권번호 등을 입력한 후 실기주 과실 유무 조회 확인 |
◦ (환급) 해당 증권사 영업점을 방문하면 환급 가능
- 10 -
붙임 3 |
금감원 지원별 캠페인 추진 주요 내용 |
지원 |
주요 내용 |
부산 울산 |
∙ 부산ㆍ울산광역시 및 산하 구청, 유관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대형전광판 및 전자시민게시판* 등을 통해 캠페인 홍보 동영상 송출 * 부산: 부산광역시청 등 7개 기관, 34개 대형전광판ㆍ전자시민게시판 울산: 울산광역시청 등 4개 기관, 5개 대형전광판 등 ∙ 부산머니쇼(11.7.∼11.9.)에 캠페인 홍보 리플렛 배포, 홍보동영상 상영 ☎ 문의처 : 051- 606- 1720, 1734 |
대구 경북 |
∙ 대구광역시 주관 ‘찾아가는 시민사랑방(11.13일)’ 현장 상담 시 캠페인 실시 등 * 코레일 대구역사/ 대구시와 지역 공공기관(17개) 합동으로 세무‧복지‧금융 등 22개 분야 고충상담부스(22개, 60명)를 설치, 현장 순회 상담 실시 ☎ 문의처 : 053- 760- 4030, 4020 |
대전 충남 |
∙ 관내 소비자보호 단체협의회의 연합 행사장에 포스터, 리플렛 등을 비치 ∙ 고용복지센터 등에서 실시되는 성인대상 금융교육 시 캠페인 홍보 등 ☎ 문의처 : 042- 479- 5103, 5110 |
광주전남 |
∙ 광주광역시청ㆍ전남도청 및 산하 구청, 유관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대형전광판 및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등에 캠페인 홍보 동영상 송출 추진 ∙ 광주전남지원, 광주광역시청, 전남도청 및 산하 구ㆍ군청, 동사무소 및 민원상담실 등에 캠페인 안내 포스터, 배너를 배포ㆍ게시 ☎ 문의처 : 062- 606- 1613, 1637 |
인천 |
∙ 관내 구청 민원실, 행정복지센터 등에 포스터 게시 및 전광판 홍보용 문구 송출 ∙ 인천시 반상회 회보를 통해 캠페인 안내 ∙ 성인 대상 금융교육(11월 5건) 시 홍보 동영상을 이용하여 안내 실시 등 ☎ 문의처 : 032- 715- 4802, 4803 |
경남 |
∙ 경남 도정홍보시스템(17개 시군에 연계), 터미널 등 대형 전광판 등에 동영상 송출 ∙ 도청, 창원시청 및 산하 구청 민원상담실 등에 안내 포스터, 리플렛 비치 ☎ 문의처 : 055- 716- 2325, 2328 |
전북 |
∙ 지자체 축제 진행 시 사전 행사로 숨은 금융자산 찾기 홍보활동 실시 * 고창군 고인돌마라톤대회(‘19.11월), 부안군 설숭어축제·완주군 곶감축제(‘19.12월) ∙ 지자체 홈페이지 배너파일 게시를 통한 지역민 대상 동영상 홍보 등 ☎ 문의처 : 063- 250- 5003, 5005 |
제주 |
∙ 지자체 홈페이지 배너파일 게시를 통한 지역민 대상 동영상 홍보 등 ☎ 문의처 : 064- 746- 4204, 4202 |
충북 |
∙ 도청, 시·군청, 고용센터, 상공회의소 등에 포스터 게시 ∙ 성인 대상 금융교육(11월 8건) 시 리플렛 및 홍보 동영상을 이용하여 안내 ☎ 문의처 : 043- 857- 9102, 9121 |
강릉 |
∙ 2019.11.11.(월) 오전10시 강릉역에서 지역 금융기관 공동 가두캠페인 실시 ∙ 지역축제 진행시 숨은 금융자산 찾기 홍보활동 실시 - 속초도루묵축제(11월) ∙ 지자체 민원실 내 홍보동영상 상영 ☎ 문의처 : 033- 642- 1902, 1905 |
* 추진 과정에서 세부 내용은 변경 가능
- 11 -
붙임 4 |
캠페인 포스터 |
- 12 -
붙임 5 |
캠페인 안내장 (리플렛) |
- 13 -